[고전문학] 황진이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생애 작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 황진이의 문학사적 의의 연구 - 생애 작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황진이의 삶
1. 사회적 배경
2. 황진이의 생애

Ⅲ. 황진이의 문학작품

Ⅳ. 황진이의 문학사적 의의

Ⅴ.결론

본문내용

뤘던 ①번의 <청산리 벽계수야>, ②번의 <청산은 내 뜻이오>, ③번의 <산은 옛 산이로되>라는 시조가 그러하다. 그녀는 자연의 속성을 너무 잘 알고 있었고, 자연물 간의 대조를 통해 인생을 노래했다. 그녀가 노래한 인생은 허무하고 무상했고, 그녀는 인생무상에 대한 철학을 이야기 했다. 이는 당대의 남성 문인들과 같이 인생의 허무를 시로써 멋스럽게 승화시킨 것이다.
둘째, 산과 물의 대립을 주로 사용하였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그녀는 자연물을 통해 인생무상의 철학을 이야기했다. 그런데 여기에서 쓰인 자연물은 ‘산’과 ‘물’이다. 이 또한 ①번의 <청산리 벽계수야>, ②번의 <청산은 내 뜻이오>, ③번의 <산은 옛 산이로되>라는 시조에서 그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황진이는 산과 물의 속성을 대립 시켰다. 산은 항상 고정된 것으로 영원불멸한다는 의미로 쓰였다. 반면에 물은 흘러간다는 그 속성상 변질되는 것, 한번 가면 돌아오지 않는 것 등의 가변적인 의미로 쓰였다. 그리고 이 물의 의미는 주로 인간의 삶을 나타낸다. 이렇게 그녀는 영원불멸의 산과 가변적인 물을 대립하여, 인간의 삶이 영원불멸의 저 산과는 다르게 한번 가면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것이어서, 허무하다는 것, 즉 인생의 무상함을 드러내었다.
셋째, 순수한 인간적 정서를 솔직하게 표현하였다. 황진이는 ④<동짓달 기나긴 밤을>에서 사랑하는 임과 함께 오랫동안 밤을 지새우고 싶다는 인간의 본능적인 정서를 표현하였다. 이 시조에서는 그런 정서를 표현하고자 잡히지도 보이지도 않는 추상적인 시간을 베어내, 이불 밑에 숨겼다가 임 오신 날 이어붙인다고 하였다. 또한 ⑤<어지어 내 일이야>에서 시어의 적절한 도치를 통해 이별에 익숙해진 화자가 이별 후 겪는 미묘한 감정의 상태를 잘 표현하였다. ⑥<내 언제 무신하여>에서는 초장에서 임에 대한 원망이 따지는 듯한 어조해서 들어나지만 종장에서는 결국, 임이 오지 않아 가슴 아픈 화자의 정서를 솔직하게 표현하였다. 이렇게 황진이는 사랑에서 오는 순수한 인간적 정서를 과장하는 것 없이 솔직하게 표현하였다.
넷째, 황진이는 중의적인 시어들을 사용하여 한 편의 시조에 다양한 의미를 담아내었다. 이는 그녀의 생애로부터 나온 것이다. 물론 본 연구가 작품 자체에서 그녀의 문학사적 의의를 찾아내는 것이지만, 작품과 작가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없다는 이유에서 잠깐 다뤄보고자 한다. 그녀는 인생을 노래한 위의 세 시조에서 ‘산’과 ‘물’이라는 시어를 썼다. 이 시어들을 위에서는 영원불멸의 것과 가변의 것으로 양립하여, 후자를 인생이라 분석하였다. 하지만 그녀의 생애를 돌아봤을 때, 영원불멸의 산은 황진이 본인이고, 가변의 물은 자신을 거쳐 간 남자들이라 설명할 수 있다. 이렇게 그녀는 시어 하나에도 인생이라는 철학과 기생으로서의 자신의 삶을 함축시킴으로써 다양한 논의를 가능하게끔 하였다.
이렇게 황진이는 기녀문학이나 여성문학이라 국한시켜 그 문학사적 의의를 규정하기에는 그 가치가 너무 크다. 서론에서도 언급했듯이 그녀의 문학사적 의의는 남성 문인들의 것과 대등한 지위를 갖는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여섯 개의 시조를 살펴만 보아도 그러하다.
Ⅴ.결론
지금까지 황진이의 문학사적 의의를 새로이 정립해보았다. 그녀가 살았던 사회를 살펴보는 것을 기본으로, 그녀의 생애를 둘러보며 그녀가 어떤 문학 세계를 가졌는지, 그녀의 생애가 그녀의 문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녀가 쓴 시조 6수를 분석하고 감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그녀가 가진 문학사적 의의를 알아보았다.
먼저 그녀가 살았던 사회를 둘러보았다. 당시는 사림세력과 훈구세력의 대립이 주를 이루며 이로 인해 정국이 불안했다. 하지만 중종의 왕도 정치로 유교 문화가 정착되며 남자와 여성의 구분이 뚜렷해졌고 여성들만의 규방문학이 형성되었다. 그러면서 그 속에서 갖는 기생들의 문학은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고 하였다. 다음으로는 그녀의 생애를 출생과 출가, 그녀가 교류한 사람들, 마지막으로 죽음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녀는 서자로 태어나 양반의 교육을 받아 시와 서, 거문고에 능했다. 뿐만 아니라 그녀는 유교적 속박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었기 때문에 자유로운 성정을 지녔었다. 이를 바탕으로 그녀는 기가에서 명성을 날렸고, 뭇 남성들과 교류를 하며 사대부들과 동등한 위치에 자신을 올렸었다. 당시의 여성들과 달리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삶을 살며 화려하게 살았지만 그녀의 죽음은 소박하였다. 어떻게 보면 그녀이기에 가능한 죽음이었다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그녀의 작품 시조 6수를 살펴보았다. 시조 6수는 ‘자연을 통한 인생의 무상’과 ‘애정의 정한을 통한 인생의 모습’이라는 주제로 나눠진다. 이들을 분석하며 시조들에 대한 감상을 언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그녀의 문학사적 의의를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애초에 언급했듯이 본 연구의 기본은 그녀의 문학사적 의의를 기녀문학이나 여성문학에 국한시키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작가의 삶이 작품에 미친 영향력이 너무 커 그 영향력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것을 느꼈다. 하지만 최대한 기녀문학이나 여성문학의 특징을 제외시켜 그녀의 문학 작품을 분석하였고, 그를 바탕으로 문학사적 의의를 재정립하였다. 이것이 문인으로서의 황진이를 다시 보는 계기가 되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본 연구를 통해 문이 황진이의 그 가치가 크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는 좀 더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국설화 인물유형), 한국콘텐츠진흥원, 2005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한국사전연구사, 1998
신미경, <황진이 문학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하성란, <허난설헌과 황진이의 문학에 대한 페미니즘 의식 연구>, 강남대학교, 1997
이현정, <이매창과 황진이 문학의 비교 연구>,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김정미, <황진이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이해리, <황진이 시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김흥년, <황진이 시문학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 가격2,2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9.02.04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