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의 영양 장애 사정 대체영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아의 영양 장애 사정 대체영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걸대에 장착시켜 분리해서 사용
지속적인 장영양을 하는 모든 튜브에 밝은 색상의 테이프와 라벨을 붙임
뷰렛(burette)과 같은 비경구용 장비 대신에 지속적인 영양액을 담도록 특수 제작된 백을 사용하도록 함
연결할 때마다 환자의 백에서 나오는 모든 관을 따라가보고 올바른 관을 선택
1) 위관영양(Gavage feeding)
비강이나 구강에서 위까지 통과되는 관(tube)을 통해 간단하고 안전하게 영양공급 가능
→ 영양공급 후에 그대로 남겨두거나, 영양공급 때마다 매번 삽입되고 제거 가능
나이든 아동은 영양공급을 하는 사이에 테이프를 이용하여 관에 몸에 고정시켜주는 것이 외상을 줄일 수 있는 방법
(1) 준비
아동의 신체크기, 주입될 영양액의 점도, 예상되는 치료기간에 적합한 관
용액을 담는 그릇과 주사기
관이 삽입된 후에 위 내용물을 흡인하는 데 필요한 10ml 주사기
관이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돕는 물 또는 수용선 윤활제(영아는 증류수 사용)
관에 표시하고 아동의 뺨에도 튜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종이/항알레르기 테이프
위에 관이 정확하게 위치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pH 종이
주입할 영양액
(2) 절차
영아는 먼저 미이라 억제대로 싸면 통제가 쉬움
영아가 영양공급을 받는 동안 이러한 절차와 신체접촉의 편안함이 연결될 수 있도록 영아를 안아주고, 비영양 인공 젖꼭지를 물려주도록 함
→ 불가능할 때 영아나 아동을 등에 업거나 우측으로 눕혀서 머리와 가슴을 올려준 상태에서 위관영양 수행
관의 위치 확인
- 방사선촬영 → 가장 정확
- 위장관에서 흡인한 내용물의 색깔과 pH를 확인
2) 위루술 영양(Gastrostomy Feeding)
위루술 또는 G관(tube)를 통한 영양공급은 입, 인두, 식도, 위의 분문부를 통한 영양공급이 불가능하거나 금기가 된 아동에게 종종 시행되는 방법
장기간 대체 영양공급이 필요한 아동에게 위관영양으로 인한 지속적인 자극을 피하기 위해서 사용됨
위루관 장치는 전신 마취하에 행하거나 아동을 진정시키거나 국소마취시켜 내시경을 이용하여 피하로 설치하는 것
튜브는 복벽을 통해 위로 삽입되고, 주머니끈 봉합방식으로 안전하게 지켜짐
위는 수술 부위에서 복막 쪽으로 안전하게 고정시킴
튜브는 Foley, wing-up 또는 머쉬룸 카테터가 이용됨
수술 후 즉시 카테터를 열고 24시간이나 그 이상 중력을 이용해 배액함
수술 후 상처부위는 감염과 자극을 예방하는 방향으로 직접 간호함
환부는 적어도 매일 소독하고 배액이 안 될 때까지 필요시기마다 소독함
환부가 치유되면 피부 찰과상과 암염을 예방하기 위해 관이 삽입된 주변 부위를 깨끗하게 소독하고 건조시키는 세심한 간호가 필요함
처방받은 항생제 연고나 다른 약물을 환부의 치유를 돕고 자극을 예방할 수 있음
삽입된 관이 감겨져 삽입구를 넓히고 피부를 자극하는 위액이 환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간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
관을 복부에 안전하게 고정시키되 환부의 긴장을 방지하기 위해 출구의 관을 작은 고리로 만들어 줌
피부 수준의 장치(skin-level device; MIC-KEY, Bard-Button)
장기간 위루술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는 아동에게 피부 수준의 장치는 어느 정도 도움
을 제공함
→ 작고 유연한 실리콘 장치는 복부에 살짝 튀어 나와 있어 외형적으로 거부감이 없고,
편안함과 운동성을 증가시켜주고, 간호하기 쉬우며, 완전 방수가 됨
→피부 수준의 장치는 위루술 부위가 양호해야 하고, 일반적인 관보다 비용이 비쌈
→밸브가 막힐 수 있고, 밸브는 공기가 관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는 기능이 있어 아동은
자주 거품을 토해낼 수 있음
물, 영양액이나 죽을 먹이는 방법과 속도는 위관영양과 동일함
기계 펌프와 같은 장비가 영양물의 양과 주입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
영아나 아동은 영양공급 후에 몸을 우측으로 돌려주거나 반좌위를 취하게 하여 아동의 상태에 따라 영양공급 사이마다 관을 막거나 열어둘 수 있도록 함
관을 막아놓는 경우에 아동의 활동이 더 자유로울 수 있으나, 아동이 구토 없이 간헐적인 영양공급을 받고 장기간 저장을 받아들일 수 있을 때에 관을 막도록 함
관이 풍선부분이 위루의 개구부에 오도록 고정해서 위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고, 관이 유문부 깊숙이 밀려들어가 통로가 막히지 않도록 함
주의사항
: 수술 이후에 삽입된 관의 길이를 측정하고 각 교대 시마다 관의 길이를 재측정하여 관이 이탈하지 않았는지 확인함(아동의 피부 위에 표시하는 것도 관의 위치를 확실히 함으로 도움 됨)
위루관이 더 이상 필요 없을 때→바로 제거하도록 하며, 관이 제거된 다음에 피부의 개구부는 근육수축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닫힘
3) 비십이지장 영양
위마비, 기계적 환기나 뇌손상이 있는 아동은 역류나 흡인의 위험이 높아 유문후관 영양관(postpyloric feeding tube)로 교체
탐침이 필요한 관 : 천공 가능성, 잘못된 위치에 관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전문가가 삽입
관의 폐쇄를 막기 위해 약물투여 전후 4시간마다 관에 물을 관류시킴
지속적인 영양은 양과 속도를 조절하는 기계펌프에 의해 주입
→ 한꺼번에 1회로 영양 공급은 금기
구토와 같은 위장장애 → 관의 위치가 잘못된 것
4) 완전정맥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
위장관을 통한 영양공급이 불가능하거나 영양공급이 부적절하고 위험할 때 생명의 위협을 받는 영아나 아동의 전체적인 영양요구를 위해 제공됨
단백질, 당, 그 외 영양소가 고농도로 농축된 용액을 정맥 내로 주입하는 것을 포함
자극성이 높고 농축된 포도당은 대개의 경우 작은 말초정맥을 사용하지 않음
장기간의 영양을 위해서는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이 일반적으로 사용
완전정맥영양은 특별히 훈련받은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고, 엄격한 무균상태에서 준비되어야 함
5) 가족교육과 가정간호
장기간 대체 영양방법이 필요할 때 가족은 비위관과 위루관을 가지고 있거나 완전정맥영양을 처방받은 아동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을 배워야 함
가족에게 아동간호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이 있음을 확인시키고, 감독하에 절차를 수행하며 배울 시간을 충분히 갖도록 계획을 세움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9.02.24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7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