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화어 생성과 정착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 -기존 외래어와 순화어 사용 실태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순화어 생성과 정착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 -기존 외래어와 순화어 사용 실태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사
3. 연구 방법 및 범위

Ⅱ. 본론
1. 외래어 사용의 실태
1) 외래어 사용과 그 이유
2) 외래어 사용의 문제점

2. 순화어 사용의 실태
1) 순화어 예시 및 분석
(1) 정착이 잘 된 순화어 예시 및 분석
(2) 정착이 잘 되지 않은 순화어 예시 및 분석

3. 대안 방안
1) 언어 순화 활동에 다방면의 관점을 제시할 노력 필요
2) 국어 의식 교육 노력의 필요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필요
먼저 이번 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국어 순화를 위해서는 다방면의 관점을 중시하고 이를 실천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제대로 사용되지 않는 순화어들은 대체로 단어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거나 의미 파악이 어렵거나 발음상에 어색함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국립국어원을 포함한 여러 단체에서는 이를 전부 고려해서 순화어를 생성해야 될 것이다. 물론 실제로 시행하기 매우 까다로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적합한 인재 육성을 주도하고 경제적으로 지속적인 지원을 해야 하며 국민들은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우리만 쓰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모두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2) 국어의 의식 향상 교육의 필요
본문1에서도 말했듯이, 외래어를 쓰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외래어를 쓰는 것이 더 지적으로 보이고 명망 있어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순화어가 제대로 쓰이지 않는 요인에도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어 의식 향상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지금 우리가 쓰는 말의 가치와 의의에 대해 지속적으로 배운다면 우리 스스로도 우리말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고 지나친 외래어 사용이 줄어들 것이다. 게다가 순화어의 사용도 보다 쉽게 이루어질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정부의 지원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Ⅲ. 결론
국제화 사회가 되면서 우리는 수많은 외국어가 유입되고 많은 외국어들이 외래어로 정착되는 것을 막을 수 없어졌다. 물론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외래어 유입이 잘못되었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수많은 외래어를 무분별하게 쓰면서 우리는 우리 스스로도 인식하지 못한 채 우리말의 가치를 경시하게 된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우리말에 이미 있는 단어조차 굳이 외래어로 바꿔서 말하기도 하고 우리말로 순화한 단어를 도외시하는 경우가 그 예이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막기 위해 순화어를 제시하고 있고 많은 이들의 관심과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우리말 다듬기’ 같은 사이트 우리말 다듬기 사이트 주소, http://www.malteo.net/
를 개설해서 매달 순화어를 함께 만들어가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순화어들이 외래어의 의미를 살리지 못해서 원래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기 힘들어 그 사용이 꺼려지기도 하는 반면, 어떤 경우에는 의미 전달에만 치중하다보니 정작 단어의 구어(口語)적 혹은 문어(文語)적인 특징을 살리지는 못하는 경우도 대다수이다. 의미에 치중해야 하는지 용법에 치중해야 하는지는 단어마다 서로 균형이 이루어져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특징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외래어 순화는 굉장히 복잡하고 세밀한 작업이 이루어져야하는 작업이다. 각 단어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억지로 끼워 맞춰 만든 순화어는 사람들에게 반감만 일으키고 그 단어의 사용도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애석하게도 많은 순화어들이 이러한 상황에 놓여있다. 다양한 분야의 외래어들이 순화만 되고 전혀 쓰이지 않는 이유는 위에서 말했듯이, 의미와 용법을 완전히 파악하지 못한 채 순화를 한 외적인 문제와 우리 스스로 순화어를 도외시하게 되는 경향인 내부적인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 둘의 문제는 굉장히 밀접하고 연쇄적인 관계라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두 문제는 정확히 이분법 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해서 완전한 하나의 문제로도 볼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많은 전문가들의 깊이 있는 관찰과 세심한 연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할 문제이고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국민들의 관심이 지대하게 요구 될 것이다. 앞서 제시한 대안을 참고하고 여러 사례들을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 많은 이들이 외래어에 대해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보다 자신들의 주체성을 가지고 판단하는 모습을 보였으면 하고 마찬가지로 순화어에 대한 관심을 좀 더 기울였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 논문을 마친다.
Ⅳ. 참고 문헌
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r
우리말 다듬기 사이트 주소, http://www.malteo.net/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3014100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미나, 「한국어 학습용 외래어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2쪽
최용기, 「광복 이후 외래어 투 순화 실태와 문제점」,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국립국어연구원, 2002, 323~327쪽
남택승, 「국어의식 향상 방안 연구 : 외래어,외국어 사용 문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7쪽
고황경(1976: 경향신문) - 이병학, 「외래어 증가 원인 분석 시론」, 『明大』, 명지대학교 교지편집 위원회, 1977, 195쪽 재인용
변지현, 「우리말 순화어의 수용 실태와 교육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김남중, 「인터넷 일본어 신조어의 특징과 생성 배경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문학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3
김미영, 「신조어의 생성과 보급에 대한 사회 · 심리 언어학적 분석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10~16쪽
이사위, 「신조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전형국 등, 「일상 생활어의 순화를 위한 방안 연구」, 『인문과학』,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제 38집, 1977
Lyle Campbell, Historical Linguistics An Introduction,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4, 57~63쪽, 이 책에서는 영어에서 왜 외래어를 사용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정리가 되어있지만 필자는 이러한 이유가 우리나라의 외래어 사용 이유에도 충분히 적용이 된다고 생각해서 논문에 쓰게 되었다.
「"글로벌 모바일 비전 개최"…외래어 좋아하는 정부」, <서울경제>, http://www.sedaily.com/NewsView/1L2LOD549Q, 2016.10.7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3.0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