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역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모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서도 이런 아버지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지하는 가족친화적인 정책과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좋은 아버지역할은 정립될 수 있다.
II. 어머니역할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머니가 자녀를 임신하고 출산하는 과정에서 생물학적으로 심리적으로 자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자녀의 신체적 심리적 욕구를 가장 잘 충족시켜줄 수 있고 이는 \'모성본능\'에 의한 자동적인 것이라 생각한다. 전통사회에서 어머니는 자녀양육을 전담하고 자녀의 정서안정과 인성형성에 최초의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모성본능은 타고난 자질에 의해서라기보다 사회화에 의해 강화되며 여성은 자기발전보다 자녀양육이 우선되어야 하고, 아이는 반드시 어머니가 키워야 한다는 \'모성이데올로기\'도 사회문화적으로 학습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사회활동 하는 어머니들이 증가하면서 어머니역할의 분답이 필요해졌고, 융통성 있는 아버지역할과 어머니역할이 자녀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 설득력이 커지면서 전통적 어머니 역할 개념이 변화하였다. 그리고 여성들이 양육부담과 여러 비용 때문에 자녀를 낳지 않으려는 문제가 사회적 저출산 문제로 부각되면서 이들의 양육부담을 감소시켜주고 비용을 지원해주는 제도적 대책이 마련되고 있다.
좋은 어머니가 된다는 것에 대해 여러 의견이 있지만 한 가지 육아이론에 의지하거나 생각 없이 유행만 쫓기보다는 여러 정보를 참고하여 어머니가 아이에 대해 제일 잘 안다는 자신감을 갖고 소신 있게 자녀양육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머니가 시대변화에 맞게 어머니 되기를 배우고 훈련받아서 자신의 자녀양육 철학을 갖고 어머니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어머니만이 자녀양육 역할을 전담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와 역할을 공유하고 가족 나아가 이웃, 보육시설과 자녀양육을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6.06
  • 저작시기201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22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