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다각다층양식 석탑에 대한 고찰 (고구려 석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시대 다각다층양식 석탑에 대한 고찰 (고구려 석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05
Ⅱ. 다각다층양식 석탑의 유행 배경 ···········06
1. 지역적 특수성····················06
2. 외래적 영향 ····················09
Ⅲ. 고구려 탑파양식과 고려 다각다층석탑의 개연성 ···12
Ⅳ. 결론························17
참고문헌 ·······················19

본문내용

신라삼국통일 이후 각종 석등과 부도에서 불교의 교리적 영향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신라인들의 이러한 조형의지가 곧 고구려의 팔각조형의식으로부터 기인한 점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고려의 건국이념과 같은 고구려 계승의식은 전통적으로 고구려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에 기반한 것이었으므로 과거 고구려에서 유행했던 팔각목탑의 전통 역시 옛 고구려지역 사람들에겐 커다란 자부심으로 받아들여진 것이 건국 초 다각다층석탑의 집중적인 건립으로 도출될 수 있었다. 홍대한, op.cit., p.198
이렇듯 고구려에서 불교의 입지가 변모함에 따라 희미해진 고구려의 탑이 나말여초를 전후해 내재되어 있던 고구려 국계의식의 발현과 함께 다시 다각다층 석탑으로 새롭게 재현되는 것은 역사적으로 커다란 의미가 아닐 수 없다.
Ⅳ. 결론
민족의 재통합이 이루어진 고려왕조의 개창, 그 속에서 500년 전 고구려양식의 석탑이 재현되는 과정은 당시 고려가 고구려의 정책·사상적인 전승뿐만 아니라 문화전통의 계승까지 충실히 진행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고려시대에 다각다층 양식의 석탑이 유행할 수 있었던 배경을 지역적 특수성과 외래적 영향으로 나누어 연구하고 현존하는 고구려 석탑의 부재로 인해 여전히 매듭짓지 못한 논쟁을 발굴·조사된 자료와 문헌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고구려의 석탑에 주안점을 두어 그 개연성을 살펴봄으로써 고려 다각다층양식석탑의 유행이 고구려계승의식에 있었음과 동시에 세계의 중심이었던 중국의 탑 형태변화와도 상당히 비슷한 맥락으로 흘러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국에 고루 분포된 지방적 특성이 가미된 석탑 중에서도 옛 고구려 영토 부근에서 다각다층양식의 석탑이 크게 유행하였던 것은 결국 이 지방에서 계승된 시원양식이 다각다층이었음을 의미하며, 이것은 통일신라시대와 후삼국시대를 거치며 더욱 짙어진 지역 특색이 여러 사상과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이루어낸 성과물이었다.
고구려의 향기를 물씬 풍기는 다각다층양식의 석탑을 건립함으로써 그 욕망을 표출하여 옛 고구려의 영광을 다시 되찾고자했던 고려인들에게서 우리는 감탄과 경이로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물론, 중국 탑의 형태변화가 고려에 끼친 영향도 간과할 수 없다. 고구려 역시 초기 불교의 형태를 그대로 수용하여 북위로부터 영향을 받아 특유의 탑파양식을 확립하였고, 그 형태는 이후 잠시 모습을 감추었다가 요·송대에 재등장하기 시작하는 다각다층양식의 영향을 중국과 밀접하게 교류하던 고려가 부분적으로 수용했을 가능성이 높아 시기적으로도 충분히 연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홍대한, 「한국석탑의 기단과 기초부 축조 방식 고찰:신라와 고려석탑의 기초부 축조방식과 목탑의 영향을 중심으로」(불교미술사학 제12집, 2011), p. 100
다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옛 백제와 신라지역에서도 그 지방의 양식을 계승한 석탑이 건립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의 옛 영토 내에서만 건립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는 다각다층양식의 석탑은 전국적으로 나타나던 문화 회귀현상의 일부로써 고려 특유의 석탑문화가 완성되는 과정이었다.
본 글은 고려시대 다각다층석탑의 유행 배경과 그 기원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자의 시각에 따라 현재까지도 대립이 계속되고 있는 논지를 고구려 석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고려의 석탑문화가 완성되어가는 과정 속에서 중국 탑파 양식과의 영향관계와 고구려 탑파 양식을 면밀히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하여 분단으로 인해 자세한 연구가 불가한 상황 속에서 오랫동안 여러 주장이 대립하며 감춰져 있던 고려시대 다각다층양식 석탑의 베일을 벗겨내고, 향후 한국의 석탑 연구에 있어 많은 연구 해결의 새로운 실마리가 되길 바란다.
주제어
고려, 고구려, 다각다층석탑, 팔각, 북위, 송, 석탑, 전탑, 목탑, Goryo, Goguryo, Multi-angled multi-storied stone pagoda, octagon, North Wei, Song Dynasty, stone pagoda, Brick Pagoda, Wood Pagoda
참고문헌
- 1차 사료 -
<사료>
『三國遺事』「塔像」
- 2차 사료 -
<단행본>
강현숙 외 9명,『고구려의 문화와 사상』(동북아역사재단, 2007)
고구려 연구재단,『고구려 문명기행』(고구려연구재단, 2005)
리창언,『고려유적연구』(백산자료원, 2003)
박경식,『우리나라의 석탑』(역민사, 1999)
박경식,『탑파』(예경, 2001)
박정근 외 8명,『한국의 석조문화』(다른세상, 2004)
방학봉,『고구려 성과 절터연구』(신성출판사, 2006)
이주형,『간다라 미술』(사계절, 2003)
정영호,『석탑』(대원사, 2001)
정영호,『북한문화재해설집-석조물편』(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홍윤식,『한국의 불교미술』(대원정사, 1986)
황수영,『불탑과 불상』(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9)
<논문>
강병희,「고려전기 사회변동과 불탑:11-12세기 불탑의 북방적 영향」, (이대 한국문화연구원 연구원, 2007)
이주형, 장석하,「고려시대 다각다층 석탑에 대한 고찰」(호연건축문화연구원;박사수료, 경일대 건축학부 교수, 2011)
천화숙,「국내 석탑에 대한 연구사:삼국시대를 중심으로」(강원대학교 역사·철학부 교수, 2007)
홍대한,「高麗石塔硏究」(단국대 대학원 국내 석사, 2011)
홍대한, 「한국석탑의 기단과 기초부 축조 방식 고찰:신라와 고려석탑의 기초부 축조방식과 목탑의 영향을 중심으로」(단국대 대학원 국내 석사, 2011)
강병희,「한국의 불탑-옛 양식을 계승한 고려시대 석탑」(한양대 대학원 국내 석사, 2015), p.61
김소형, 「삼국~통일신라시대 다각형건물의 발생 배경에 관한 연구」(한양대 대학원 국대 석사 , 2006)
오호석, 「고려 초기 죽주지역의 석탑과 건립 배경」(부여군문화재보존센터 정림사지박물관 부장, 2009)
한기문,「高麗時代裨補寺社의 成立과 運用」, 『한국중세사연구』21(한국중세사학회, 2006)
『고려사』권92, 열전2
황인규,「高麗裨補寺社의 設定과 寺莊運營」,동국역사교육6권, (동국역사교육회, 1998)
조선총독부,『조선사찰사료上』(도서출판 문현, 2010)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9.02.03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1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