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평가) 중국문화산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0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평가) 중국문화산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중국인(한족)의 전통적인 내세관을 서술하고, 그것이 조상숭배 의례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설명하세요. (35점)
1, 중국인의 전통적 내세관
2, 조상숭배에 투영된 내세관
3, 중국의 다양한 장례문화
4, 중국문화의 이해

2. 중국인(한족)의 전통적인 세계관은 공간과 건축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 사례를 들어 설명하세요.
1, 중국문화의 이해
2, 중국의 전통문화
3, 공간과 건축에 표현된 세계관

참고문헌



1. 중국인(한족)의 전통적인 내세관을 서술하고, 그것이 조상숭배 의례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설명하세요. (35점)



1, 중국인의 전통적 내세관

본문내용

원은 정원을 작게 만들어 시원한 그늘을 확보하였다. 이중 사합원은 화북ㆍ화중지방(북방)에서 시작되어 중국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족들의 가장 대표적인 주택양식이다. 한나라 때 정립되어 시대를 거치며 또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면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변형되었다. 4개의 건물이 중앙의 정원을 둘러싸는 형태를 취한다는 점에서 \'사합(四合)\'으로 불린다. 중축 선을 축으로 각각의 건물이 모두 안쪽을 향한 채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며 건물들은 외벽 담장으로 둘러싸인 폐쇄적인 형태다.
이러한 사합원 양식은 환경적 요인 외에도 중국의 유교 전통과 봉건적인 사회사상이 반영되었다. 중국인들의 우주관과 세계관이 건축 및 주거 양식에 반영된 사례라 할 것이다. 중국의 전통 주거는 사회적 신분에 따라 사합원 규모가 달라지며, 신분 및 직급을 문당, 호대 등으로 외부에 표시되었다. 남쪽에 면하는 건물-정방, 동과 서 좌우의 건물-상방, 바깥쪽의 건물-도방. 정방의 중앙에는 조상의 위패를 모시는 \'조당\'이 있는데 각 주택의 실질적ㆍ상징적 중심이 되는 곳. 이에 비해 대잡원(大雜院)은한 가구만 살던 사합원이 10여 가구가 모여 사는 공동 주거형태로 바뀐 것으로써 중국 서민문화를 상징한다. 또 중국의 건축물과 원림(정원)에는 윤리의식과 계급의식이 분명히 드러나고, 담장은 폐쇄성과 내향성을 상징한다. 중국의 원림은 자연산수에 대한 동경과 인공적으로 어떻게 재현할 것인지에 중점을 두는 편이고, 한국의 원림은 좋은 터를 잡아서 어떻게 자연을 활용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는 것이 특이점이다. 후퉁(胡同, 호동)은 중국 북방에서 도시의 좁은 뒷골목. 좁은 의미로 베이징의 뒷골목을 의미한다. 후퉁(胡同은 몽골어로 우물을 뜻하는 \'후퉁(忽洞)\'에서 유래.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으로 베이징의 후퉁은 오늘날의 2환도로 안쪽인 내성 지역에 밀집되어 있다. 참고로 베이징의 사합원은 후퉁(胡同)이라는 골목 안에 지어졌다. 중국식 정원인 유원(留園)은 사가원림으로 중국 4대 명원(졸정원, 창랑정, 사지림, 유원)중 하나이다.
한편 중국의 남부 지역에서는 사합원 가옥의 기본 형식을 따르면서도 강한 햇빛을 피하기 위해 벽을 높이 쌓고, 집 내부에는 최소한의 햇빛만 들어오게 한 독특한 형태의 주택이 발전하였다. 흙벽돌을 쌓아 만든 주택인‘토루(土樓)’는 \'커자인(하까인)\'들의 폐쇄적이고 자립적인 공동체형 복합주택으로써 커자인은 남방의 토착인 또는 선이주민들과 융합하거나 현지문화에 적응하지 않고 황허의 중원문화를 고수한 소수민족이다. 외형에 따라 원형(\'원채토루\'라고 부르기도 하며, 방어 기능을 중요시한 양식으로 사각형, 반원형, 팔괘형이 있다. 토루의 중앙에는 종족 집단의 조상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이 있고. 토루에는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고대 중국의 우주관이 반영되어 가장 자리에 원형으로 건물이 들어선다. 원형 건물 가운데에는 우물, 식량 창고 등 여러 사람들이 함께 사용하는 시설물이 들어서고, 주민들이 축제 등을 여는 공동의 공간으로 사용한다. 토루가 생기게 된 것은 사람들이 따로 떨어져 사는 것보다 같이 모여 사는 것이 더 나았기 때문이었다. 적들과의 싸움에 대비한 방어의 필요성 때문에 토루의 바깥벽을 보면 창문이 거의 없고 구멍 정도만 보인다. 또 남방의 수변가옥은 물길을 따라 바로 옆에 만들어진 주택양식으로서 중국의 베니스라고도 불리며, 남방가옥을 대표하는 가옥형태로서 유네스코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황토 고원 지역의 동굴집(야오둥)과 고산식(가파른 산에 동굴 판 형태), 하침식(지하로 파고 들어간 형태) 등 자연적 지리, 풍토와 기후를 반영하여 중국대륙 전역의 가구 및 거주형태는 다양하다. 이를 남창북봉(南敞北封) 즉, 남방은 튀어 있고, 북방은 닫혀 있다고 표현한다. 역사적으로 주택 양식이 남북으로 뚜렷이 구분되기 시작한 데에는 환경적 요인이 가장 컸다. 중국 주택 양식의 남북 차이는 남창북봉(南敞北封)으로 표현되는데, 남방은 내외 공간이 연결되어 있는 대신 층차가 분명한 높은 건축 양식으로 대표되고, 북방은 남방과 달리 내외 공간이 담 등을 통해 분명히 구분된다.
현대의 수도이자 고도의 수도였던 천년고도 베이징은 원ㆍ명ㆍ청시기에 황제 중심 사상과 천인합일(天人合一)사상을 바탕으로 계획, 설계된 도시이다. 베이징(연경, 대도성)의 도시구조는 환형(環形)구조로써 6환도로는 베이징과 톈진(천진)의 산업시설에 시너지 효과를 구축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베이징의 주요 건축물들은 남북 방향으로 일직선이 되게 중축선(中軸線)위에 축조되었다. 베이징의 건축물들은 지구의 남극점과 북극점을 연결하는 자오선(子午線)과 거의 일치할 정도로 정남-정북을 향하고 있지만, 자오선위에 축조된 것은 아니다.(지구ㆍ하늘의 운행 원리에 따라 설계) 또 외성의 남쪽 문(영정문), 내성의 남쪽 문(정양문), 황성의 남쪽 문(천안문), 자금성의 남쪽 문(오문), 황제의 집무실인 태화전, 자금성의 북쪽 문(현무문), 경산, 고루, 종루, 올림픽 경기장, 올림픽 공원이 중축선상에 축조되어 있었는데 오늘날 중축선이 오히려 더 확대 되고 있다. 이 중 고궁은 곧 자금성(紫禁城)으로, 명·청 때 500여 년간 24명의 황제가 살았던 궁전이다. 명나라의 3대 황제 영락제는 권좌에 오른 지 4년째 되던 1406년 수도를 난징에서 베이징으로 옮기고 만리장성 이후 중국 최대의 역사라 불리는 자금성 쌓기에 나섰다. 자금성은 자미원(紫微垣)이라는 별자리 명칭에서 유래되었는데, 자색은 기쁨과 행복을 상징하는 빛깔이며 동시에 우주의 중심인 북극성을 상징한다. 북극성은 하늘의 중심으로, 하늘의 아들 즉 천자인 황제가 사는 궁전 역시 그 하늘을 상징하는 자색으로 지었다. 남과 북의 긴 축 위에 놓인 자금성의 건축물들은 모두 남향인데, 이는 남쪽의 양기를 받고 북쪽의 바람과 음기로부터 황궁을 보호하려는 의도다. 남북 961m, 동서 753m의 면적으로 총 890개의 건물이 있으며, 10m 높이의 담과 52m 폭의 해자(筒子河)로 둘러싸여 있다. 남쪽으로는 천안문 광장이 있고 북쪽으로는 경산(景山) 공원이 있다.
참고문헌
중국문화산책,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가격4,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0.06.12
  • 저작시기2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24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