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복식문화 3학년 공통] 자수와 조각보를 중심으로 공예로서의 한복에 대해 서술하시오. 한국복식 유물 중 자수와 조각보가 있는 유물을 3점 찾고, 왜 그 복식을 선택했는지와 그 복식의 특징 및 아름다움에 대해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복식문화 3학년 공통] 자수와 조각보를 중심으로 공예로서의 한복에 대해 서술하시오. 한국복식 유물 중 자수와 조각보가 있는 유물을 3점 찾고, 왜 그 복식을 선택했는지와 그 복식의 특징 및 아름다움에 대해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수가 있는 유물 - 흉배
1) 영조 어진의 용보 – 용흉배 복식을 선택 이유
2) 영조 어진의 용보 – 용흉배 특징 및 아름다움

2. 자수가 있는 유물 – 복온공주 활옷
1) 복온공주 활옷을 선택 이유
2) 복온공주 활옷의 특징 및 아름다움

3. 조각보가 있는 유물 - 모시 조각보
1) 당채화문보를 선택 이유
2) 당채화문보 특징 및 아름다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형태를 만든다.
조각보는 쓰다 남은 색색의 천 조각을 이어서 만든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쓰다 남은 천을 활용한다는 생활 속 지혜의 소산이므로 주로 일반 서민층에서 통용되었다. 세모, 네모, 마름모, 거침없이 잘려진 천 조각들은 서로 겹겹이 붙어 보자기가 된다. 그 모양이 마무리 모났어도 서로 뭉쳐진 모습이 화가의 그림 못지 않다. 혹자는 우리나라 전통 조각보에 몬드리안이 있고 파울 끌레도있다고 했다. 자투리천의 의도치 않은 결합은 보는 이에게 추상적 작품처럼 느끼게 한다. 한 땀 한 땀 이어진 조각보는 정확히 떨어지는 형태 속에서 편안하고 부드러움이 느껴진다. 천이라는 재료의 물성과 함께 바느질이라는 수공이 더해지면서 딱딱한 형태의 기하학적 이미지는 어딘가 모르게 우리에게 정감을 주는 요소로 인식된다. 남은 천을 활용한다는 생활의 지혜 속에서 나온 조각보들은 조형작품으로 손색이 전혀 없다. 버려질 운명이던 가지각색의 보잘것없는 조각을 모아하나의 작품으로 통합하는 능숙한 솜씨와 미적 감각은 조각보를 예술적평가의 대상이 되게 하기에 충분하다. 특히, 안감과 겉감을 잇고 고정나사 역할까지 고려한 장식들은 단순한 장식성을 위한 보자기가 아닌 실용성까지 갖추는 섬세함도 엿볼 수 있다.
조각천이 결합된 양상은 매우 다양하지만 몇 가지 패턴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조각 천 자체의 모양이 정사각형이거나 이등변 삼각형의 조각이 두 개나 네 개 모여 정사각형 모양을 이룬 것이 질서정연하게 결합되어 있는 패턴이 있다. 둘째, 보자기 중앙부의 네모꼴을 중심으로 동심원이 퍼져 나가듯 조각 천이 점차 확대되어 나가는 구조가 있다. 셋째, 여의주문보(如意珠紋褓)라 하여 극히 작위적인 디자인을 보이는 조각보로, 여의주가 겹쳐져 있는 것 같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구성미가 뛰어난 조각보는 위와 같은 일정한 패턴의 양상을 띠지 않고 자유롭게 결합된 것이 더 많다. 크기와 모양, 색상이 각양각색인 천 조각이 규칙성을 갖지 않아도 산만하다거나 전체 속에 통합되지 못한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데, 이것은 계산된 미보다 한층 더 높은 미적 감각아래 조각 천들이 통제되었음을 말해 준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자수와 조각보를 중심으로 공예로서의 한복에 대해 서술해 보았다. 비교적 많은 자수 작품들이 전해지고 있는 조선시대의 유물들을 통해 자수문양과 기법들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한국의 전통자수와 동양의 자수는 문양 및 기법의 측면에서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상호 공통적인 측면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또한 동서양을 막론하고 자수는 직물과 복식자수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발달해왔으며, 각 나라마다의 풍습과 풍토 그리고 민족성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경향과 특징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한국의 자수는 여성생활의 중요한 일부를 차지하면서 민중에 가까웠던 관계로 일상생활에 필요한 實用性과 민족적풍토적 특색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풍토적 특색을 지닌 소박함과 아기자기하고 향토적인 멋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계층에 따른 신분과 권위를 표시하는 주요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윤성노, 2010-10-14, 경향신문, 한국자수박물관 허동화 관장, https://www.khan.co.kr/feature_story/article/201010142117152
서울공예박물관, 자수 꽃이 피다, https://craftmuseum.seoul.go.kr/exhibit/plan/view/31
서울공예박물관, 보자기 일상을 감싸다, https://craftmuseum.seoul.go.kr/exhibit/plan/view/32
서울공예박물관 블로그, https://blog.naver.com/PostList.naver?blogId=semoca_official
국립고궁박물관, 안녕 모란전, https://youtu.be/9phzx2NQAGc
박소영, 「전통조각보 이미지를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연구」. 경성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5.
조유정 「조각보를 응용한 두루미기형 의상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1.
국립고궁박물관(2010), 영친왕 일가 복식.
국립고궁박물관(2015), 조선 왕실의 어진과 진전.
신명호(2016), 조선왕실의 책봉의례, 세창출판사.
심재우 외(2011), 조선의 왕으로 살아가기, 돌베개.
최충식, 한국전통문양의 이해와 응용, 창지사, 2006.
김현희. 2009. 『아름다운 우리 전통 보자기 만들기』. 서울: 미진사.

키워드

자수,   조각보,   한복,   유물,   아름다움,   복식,   특징
  • 가격6,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1.09.24
  • 저작시기202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60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