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개발과평가3)마을활동가로서 ‘마을공동체’와 ‘행복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로그램개발과평가3)마을활동가로서 ‘마을공동체’와 ‘행복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상자 욕구 및 현 문제점
3. 프로그램 목적 및 필요성
4. 사업명 작성
5. 성과목표
6. 세부 사업내용
7. 결론(기대효과)
8. 참고 자료

본문내용

동조합을 구상하고 어르신, 장애인, 취약아동, 다문화 가정 등 소외계층을 위한 교육의 재분배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다.
7. 결론(기대효과)
‘행복한 꿈빛마을 만들기’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 수행기관, 마을 등 운영인력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각 기관은 적합한 역할 분담을 한다. 주민사업설명회 개최, 주민 요구조사를 매월 실시하여 주민맞춤형 의견을 반영할 수 있고, 마을운영에 대한 문제점은 마을운영기관과 마을학교 운영진이 주민과 소통하여 가능한 즉시 해결할 수 있다.
둘째, 평생학습마을의 주도적인 운영인력인 마을리더, 학습코디, 주민강사에게 평생학습의 이해 및 열정과 사명감을 갖게 한다.
셋째, 주민강사, 학습코디네이터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의 인재가 지역의 리더로 봉사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시스템을 정립한다.
넷째, 마을학교 동아리, 지역유관 기관, 의왕시 내의 세 개의 평생학습 마을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평생학습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다섯째, 평생학습마을 운영 정관제정 및 업무 매뉴얼을 작성하여 행복학습마을 운영에 따른 체계적인 운영기준 및 시스템을 마련하여 운영의 효율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
‘행복한 꿈빛마을 만들기’는 그 운영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학습마을을 기반으로 선순환되는 “학습-일-복지문화”가 자생력 있는 평생학습마을 공동체로 만들어 마을 주민간의 협동학습 과정을 통해 살기 좋은 마을공동체 형성 및 애향심과 정주의식을 고취한다.
8. 참고 자료
강영희(2019). 마을활동가의 성장을 위한 교육실천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권봉관(2013). 도시의 ‘마을만들기’에 따른 공동체의 형성과 메티스(mtis)의 기능. 민속연구. 27. 145-179.
권병욱·이준우(2014). 마을의 자치조직과 공공성: 한나 아렌트의 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1). 149-166.
김민·이희정(2016). 도시근교 농촌형 마을만들기 사업의 주민역량 효과분석. 도시 정책연구. 7(3). 27-46.
김은희(2012). 마을만들기는 운동이다. 김기호 외. 우리, 마을만들기. 경기도 고양: 나무도시.
김찬동(2012). 마을공동체 복원을 통한 주민자치 실현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찬호(2002). 도시는 미디어다. 서울: 책세상. 김혜빈(2016). 아파트 마을공동체의 변화과정과 주민의 참여구조에 대한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3.25
  • 저작시기202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5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