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사회와21세기 공통] ① 지속가능한 발전과 거버넌스, 마을 만들기(또는 마을 공동체)를 개념 정의하고 ② 마을 만들기 제도화와 주민참여의 관계, 제도화 방향에 대한 다양한 사례(또는 논의)를 정리한 후 ③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열린사회와21세기 공통] ① 지속가능한 발전과 거버넌스, 마을 만들기(또는 마을 공동체)를 개념 정의하고 ② 마을 만들기 제도화와 주민참여의 관계, 제도화 방향에 대한 다양한 사례(또는 논의)를 정리한 후 ③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속가능한 발전과 거버넌스, 마을 만들기
1) 지속가능한 발전
2) 거버넌스
3) 마을 만들기
(1) 개념
(2) 목적
(3) 의의
2. 마을 만들기 제도화와 주민참여의 관계, 제도화 방향에 대한 다양한 사례
1) 영국 코인스트리트 마을 만들기 : 사회적 기업에 의한 도시 재생
2) 한국 대구 삼덕동 마을 만들기 : 내가 살고 싶은 마을
3) 일본 쿠로카베 마을 만들기 : 쿠로카베(クロカベ) 유리공예관
4) 한국 신수동 마을 만들기 : 신수동 행복마을 주식회사
5) 미국 시애틀 마을 만들기 : 커뮤니티 정원 프로그램
3.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 활성화(또는 거버넌스 강화)에 대한 자신의 의견
1) 마을단위 주민의 생활관계망 형성 지원
(1) 성공적 사례의 발굴
(2) 마을 일꾼 양성
(3) 인프라 구축 지원
2) 행정적 지원방법
(1) 마을지향행정
(2) 민간 거버넌스
(3) 부문 간 시너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정부에서는 자금 지원, 커뮤니티에서는 노동력을 제공하여 주민들이 계획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
- 마을의 물리적 외관을 개선하는 등의 일에 다양한 계층의 참여 유도
- 커뮤니티 정원 프로그램
- 녹색의 오픈스페이스를 활용하여 건강한 커뮤니티 조성
- 매년 6천명 이상의 정원사가 70여 곳의 부지에서 재배하여 10톤 이상의 신선한 농산물을 지역 푸드뱅크에 공급
- 환경개선, 커뮤니티 소속감 증대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2000년 커뮤니티 정원 프로그램을 위한 5개년 전략계획이 시애틀 시의회에서 승인
- 마을서비스센터 운영
- 마을과에서 13개의 마을서비스센터를 운영하여 지역주민과 시정부를 연계 역할 수행
- 담당 공무원과 시민들이 파트너가 되어 커뮤니티 조성 및 풀뿌리 조직 지원
(5) 시사점
- 시·군에서 중장기적인 마을계획 수립
- 도시기본계획을 전략 및 정책 중심으로 수립하고 운용하고 마을계획 지침 마련 필요
- 마을 만들기 지원을 위한 매칭펀드 도입
- 특별히 시범사업을 선정하여 지원하는 방법보다 커뮤니티 참여 노력을 금액으로 산정하여 그 범위 내에서 지자체가 지원하는 방식을 통해 커뮤니티 형성 촉진
- 주민자치센터를 마을 만들기 활동 거점으로 육성
- 일반행정서비스 외 시청과 커뮤니티를 연결하여 마을 만들기 사업 조정자 역할 수행
- 조직 및 관계자에 필요한 정보 제공 및 마을 만들기 학습을 통해 공감대 형성 기대
3.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 활성화(또는 거버넌스 강화)에 대한 자신의 의견
1) 마을단위 주민의 생활관계망 형성 지원
(1) 성공적 사례의 발굴
주민들이 자신들의 협동적 시도에 대한 "하니까 되더라." 라는 성공적인 성취 경험을 갖도록 한다. 마중물지원, 불쏘시개 지원, 확장 지원 등 마을 수준별로 당면의 과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의 체계를 구비한다. 씨앗마을, 새싹마을, 희망마을 등 자치구 내 크고 작은 동네 단위의 마을을 호명하여 마을이 점진적으로 성장해가는 경로를 구체화 한다.
(2) 마을 일꾼 양성
주부, 자영업, 청년, 예술가 등 마을리더를 발굴하여 지원하며 부문별 코디네이터를 양성하여 마을 일꾼으로 성장 시켜야 한다.
(3) 인프라 구축 지원
① 마을활동에 절실한 거점공간의 지원
② 다양한 교육시스템 지원 : 관내대학과 연계 마을 대학, 마을 차원의 교육지원체계
③ 마을아카이브 시스템 지원 : 마을기록, 활동기록 , 활동가 기록
④ 마을미디어 : 다양한 매체 마을단위로 접근 구성
2) 행정적 지원방법
(1) 마을지향행정
지원내용을 성장 단계별로 구분하여 준비하고 주민당사자가 수준에 맞도록 선택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자격요건과 심사 평가 장치 마련) 즉, 정부가 단일한 기준을 정하고 심사하여 자원을 주는 것이 아니라 주민이 자기 수준에 맞는 지원책을 선택하여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2) 민간 거버넌스
들러리가 아닌 향식적 거버넌스에서 실질적인 거버넌스로 관행과 제도 모두에서 변화를 만들어야 하는 어려운 과제이며 마을 사업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대를 확장시켜 나가야 한다. 또한 마을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3) 부문 간 시너지
복지, 자활, 문화, 자원봉사, 여성, 노인, 아동청소년 등 여러 분야의 정책과 자원이 마을단위에서 시너지 효과를 내도록 종합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특히 복지는 취약계층의 마을만 들기로서 마을 만들기 사업의 사회적 정당성에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사회적자본이 취약하여 각별한 공을 들여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조직적 자립은 사업의 지속성과 이를 유지하는 재정적 기반 확립에 의해 가능하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사회적 기업이나 커뮤니티기업 이라 불리는 비영리 마을 만들기 사업체의 설립이며 지역의 모든 자원(토지, 건물 등 물적 자원과 인적 자원)을 이용하면서 사업운영, 즉 에셋 매니지먼트, 그리고 에셋 매니지먼트가 파트너십 정책에 유지되어 지역의 다양한 인적, 조직적인 네트워크에 의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비영리 마을 만들기 사업체의 사업 운영에 따른 수익이 주민의 생활 능력이나 생활 향상과 커뮤니티 전체의 사회 서비스에 둘러싸여 개인과 커뮤니티의 엠파워먼트(자립)으로 이어짐을 검증한다. 거버넌스형 마을 만들기에 있어서 볼런터리 섹터의 자립이란 마을 만들기 현장을 담당하는 마을 만들기 조직의 자립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마을 만들기 사업체가 사회적 기업화됨으로써 자립을 획득하는 과정에 주목했다. 즉 마을 만들기 사업체가 커뮤니티에 숨은 자원을 발견하고 토지나 건물 등의 자산을 경영하며(에셋 매니지먼트), 지역 주민에게 살아갈 힘과 사회성을 키워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조직적 자립을 획득해나가는 것이다. 또한 파트너십에 의한 사업을 전개해나가는 중에 볼런터리 섹터에게 다양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마을 만들기 사업체의 자립을 유지하는 힘이 되며 나아가서는 주변 지역의 생활환경을 바꾸는 힘이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이창언 외(2014) 갈등을 넘어 협력 사회로(로컬 거버넌스 시대의 지방의제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살림터
김성균, 이창언(2015) 함께 만드는 마을, 함께 누리는 삶, 지식의 날개.
니시야마 야스오, 니시야마 야에코 저(2009) 영국의 거버넌스형 마을 만들기 사회적 기업에 의한 도시 재생, 기문당
이필련 장영기(2007) 교양환경론, 따님
최일섭 최성재(2011)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나남
최영길 외(2009) 환경과 인간, 교학사
박수영 외(2004) 현대사회와 행정, 대영문화사
김석준 외(2005) 뉴거버넌스와 사이버거버넌스 연구, 대영문화사
오세덕, 신공공관리주의와 행정개혁, 행정문제연구, 2001
ICLEI, (사)한국지속가능발전센터 역(2013) 세계 지방의제21 20년사, 리북
월드워치연구소, 오수길 외 역(2013) 지속가능성의 도전 2013 지구환경보고서, 도요새
카트린느 스테른, 양진희 역(2007) 지속 가능한 발전 이야기 어린이와 함께 살리는 지구, 상수리
월드워치연구소, 이종욱 외 역(2014) 지속가능성을 위한 거버넌스(2014 지구환경보고서), 도요새
  • 가격4,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09.19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88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