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타당도와 신뢰도
1) 타당도와 신뢰도의 의미
2)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3) 타당도와 신뢰도의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례
2. 문항 유형별 제작과정
1) 선택형 문항 유형별 제작과정
2) 서답형 문항 유형별 제작과정
출처 및 참고문헌
1) 타당도와 신뢰도의 의미
2)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3) 타당도와 신뢰도의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례
2. 문항 유형별 제작과정
1) 선택형 문항 유형별 제작과정
2) 서답형 문항 유형별 제작과정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력을 측정하기에 좋다. 하지만 문항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문제군과 답지군의 동질성이 없을 경우엔 쉽게 해답을 인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연결형 문항을 제작할 때는 단순한 지식과 정보와 관련되는 것을 선별하여야 한다. 그리고 개념, 사실, 현상, 법칙 등이 동질성 문항을 하나의 묶음(5±2개 정도)으로 제시한다. 연결 방법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다른 문항을 통해 정답 유추가 안 되게 해야 한다.
2) 서답형 문항 유형별 제작과정
서답형 문항 유형에는 단답형, 완성형, 논문형이 있다.
단답형 문항은 간단한 단어나 구, 절 등으로 응답하는 문항 형태이다. 단답형 문항의 장점으로는 문항 제작에 용이하고, 광범위한 내용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추측에 의해서 정답을 맞힐 요인을 배제시킨다. 다만, 단순 지식을 측정할 가능성이 있고, 선택형 문항에 비해 채점의 객관성 보장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답의 다양성으로 인한 논란이 생길 수도 있다.
완성형 문항은 질문을 위한 문장의 끝에 응답을 하게 하는 문항 형태이다. 완성형 문항의 장점으로는 광범위한 내용의 측정이 가능하고, 추측요인을 배제하므로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다. 또한, 문항 제작이 수월하고 채점의 객관성도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단순한 지식, 개념, 사실만을 측정할 수 있고, 정답이 복수일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논문형 문항은 주어진 질문에 제한 없이 여러 개의 문장으로 응답하는 문항 형태이다. 논문형 문항의 장점으로는 피험자의 응답을 제한하지 않아서 모든 정신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선다형이나 단답형에 비해 문항 제작이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다만 많은 문항 출제의 어려움이 있고, 광범위한 내용을 논술하는 문제는 난이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채점하는 것에도 일관성 문제가 있어서 채점의 객관성이 필요하다. 논문형 문항의 제작시 평가할 교수-학습 목표를 상세하게 파악해야 한다. 목표 파악을 위해 이원분류표를 활용하고, 평가에서 다룰 지식과 정보 등을 선별해야 한다. 학습자가 다루고 있는 지식인지 검토해야 한다. 문항의 구조를 결정하고 요구하는 지식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제한 범위를 분명하게 밝히고, 논리력, 창의력, 분석력 등을 골고루 섞어 제시해야 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강의 자료] 교육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희태
신뢰도와 타당도. 커뮤니케이션 통계 방법. 류성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 서답형 문항 유형별 제작과정
서답형 문항 유형에는 단답형, 완성형, 논문형이 있다.
단답형 문항은 간단한 단어나 구, 절 등으로 응답하는 문항 형태이다. 단답형 문항의 장점으로는 문항 제작에 용이하고, 광범위한 내용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추측에 의해서 정답을 맞힐 요인을 배제시킨다. 다만, 단순 지식을 측정할 가능성이 있고, 선택형 문항에 비해 채점의 객관성 보장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정답의 다양성으로 인한 논란이 생길 수도 있다.
완성형 문항은 질문을 위한 문장의 끝에 응답을 하게 하는 문항 형태이다. 완성형 문항의 장점으로는 광범위한 내용의 측정이 가능하고, 추측요인을 배제하므로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다. 또한, 문항 제작이 수월하고 채점의 객관성도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단순한 지식, 개념, 사실만을 측정할 수 있고, 정답이 복수일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논문형 문항은 주어진 질문에 제한 없이 여러 개의 문장으로 응답하는 문항 형태이다. 논문형 문항의 장점으로는 피험자의 응답을 제한하지 않아서 모든 정신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선다형이나 단답형에 비해 문항 제작이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다만 많은 문항 출제의 어려움이 있고, 광범위한 내용을 논술하는 문제는 난이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채점하는 것에도 일관성 문제가 있어서 채점의 객관성이 필요하다. 논문형 문항의 제작시 평가할 교수-학습 목표를 상세하게 파악해야 한다. 목표 파악을 위해 이원분류표를 활용하고, 평가에서 다룰 지식과 정보 등을 선별해야 한다. 학습자가 다루고 있는 지식인지 검토해야 한다. 문항의 구조를 결정하고 요구하는 지식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제한 범위를 분명하게 밝히고, 논리력, 창의력, 분석력 등을 골고루 섞어 제시해야 한다.
출처 및 참고문헌
[강의 자료] 교육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희태
신뢰도와 타당도. 커뮤니케이션 통계 방법. 류성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추천자료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교육평가) 공통형: 타당도와 신뢰도를 각각 설명하되 교육현장...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교육평가) 공통형, 타당도와 신뢰도를 각각 설명하되 교육현장...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교육평가) 공통형, 타당도와 신뢰도를 각각 설명하되 교육현장...
교육평가4)타당도와 신뢰도를 각각 설명하되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례를 포함하여 구...
교육평가2022)타당도와 신뢰도를 각각 설명하되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례를 포함하여...
교육평가 타당도 신뢰도 문항구성
교육평가 - 타당도, 신뢰도. 각각 설명.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례를 포함하여 구체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