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 4학년)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사 4학년)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약용‘의 생애
1) 어린 시절의 교육
2) 실학에 빠지다
3) 정조와의 만남
4) 유배생활
5)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

2. ‘정약용‘의 사상적 배경

3. ‘정약용‘ 교육사상의 특징
1) 개혁적 교육관
2) 실용 교육
3) 아동중심의 교육관
4) 인성중심의 교육관
5) 전인교육
6) 도덕교육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론은 인성론이자 수양론으로 연결된다. 정약용은 주자 성리학을 비판하면서 원시유학인 공자의 인륜(人倫)개념에 주목한다. 즉 원시유학의 인본주의, 인간다움의 가치로 회귀하여 인물성 동이론 등과 같이 극도로 관념화된 당대 사상체계의 한계를 지적하고 공자의 인(仁)개념에기초하여 실천으로서의 인(仁)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정약용이 「논어」를 해석하면서 그 중에서도 인(仁)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이해하는 것은 도덕교육의 관점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금장태,2003).정약용은 인(仁)을 형이상학 개념으로 파악하는 것을 비판한 후 이를 사람과의 관계 측면으로 해석하면서 인(仁)이란 그 글자의 어원처럼 사람〔人〕과 함께 하는 일(「心經密驗」,1986: 182)”을 강조한다. 즉 인(仁)개념이란 인간의 관계 측면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교육의 방향을 전개해 나가는 것이다.
정약용은 인을 설명함에 있어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임을 거듭 강조하며 인(仁)을 형이상학적 관념으로 이해하는 것을 비판한다. 다산이인(仁)을 관계적 측면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실제적인 활동, 실천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을 함께 설명하는 것이다.“인의예지(仁義禮智)라는 이름은 본래 우리 인간의 행사(行事)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나 아울러 마음 속에 잠재된 현리(玄理)가 아니다. 사람이 하늘에 받은 것이라고는 영명스러운 마음이다(「中庸講義補」,1986:264)”는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인(仁)은 실천과 유리된 형이상학적 도덕 덕목이 아닌 행사(行事)를 통해서만 형성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행사의 원리는 도덕교육에서의 지식과 실천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산의 해석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약용의 도덕교육 관점은 “행사(行事)의 윤리”로 집약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실천을 통해 획득되는 결과로서의 인(仁)이 아니라 인간 사이의 바른 관계맺음 과정과 그 결과 모두 총체적인 인(仁)으로 보는 것이다. 인(仁)으로 설명되는 도덕은 인간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때, 이는 곧 실천이나 행동으로 나타나야만 인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덕(德)은 도덕을 실천하는 행위 그 자체에 붙여진 이름 이라기보다는 도덕 실천을 통해서 성취한 “자신이 소유하고 스스로 행해야 할 일(「論語古今註」衛靈公,1986:67)”즉 인격적 역량을 말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인격적 역량으로서의 인(仁)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이에 다산은 인을 실천하는 방법 혹은 원리로서의 서(恕)를 제시한다.
4. 나의 의견
다산은 주자학의 인성 개념에 대해 부정하면서 다산이 새롭게 정립한 성기호설(性嗜好說)을 기반으로 다산 도덕철학의 인성 개념을 제시하였다. 다산은 새로운 성(性)의 개념으로서 성을 심의 기호로서 강조한다. 다산은 맹자의 대체와 소체의 개념을 연결하여 심과 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체는 형체가 없는 영명함이며, ‘대체를 따르는 것’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본성을 따르는 것이다. 심의 기호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먼저 형구의 기호는 육체적 인간이 절제해야할 것이며, 영지의 기호는 선을 즐기고 악을 부끄러워하는 인간의 본질이며 도덕의 근원이다. 주자학의 관점에서 볼 때, ‘본연(本然)’의 면에서는 사람의 성과 동물의 성 간에 차이가 없지만, 다산은 주자학의 본연지성 개념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본연지성 개념을 세운다. 인간에게는 동물과는 근본적으로 차별되는 인류 고유의 ‘본연’의 성이 따로 품부된다는 것이 다산의 인성 개념이다. 오직 사람에게만 품부되어 있는 또 한 부류의 본성이 있다. 그것이 도덕의 본성인 도의지성(道義之性), 즉 인류 고유의 본연지성이다. 다산의 성기호설은 심(心)의 공부 또는 교육과 관련하여 기반이 되는 인성론의 역할을 한다.
다산은 ‘인성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교육이란 결국 그 도의지성(道義之性)과 관련하여 사람의 내면에 도덕 역량을 갖추고 확장하는 노력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다. 다산의 도덕철학에서 인간은 왜 인간 본연의 성을 함양해야하는지, 그리고 인간의 본성을 기르는 노력이 공부론상의 어떠한 근거 위에서 가능한 것인지를 논의하였다.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근거를 인륜의 지선이자 완성된 덕으로서 ‘인(仁)’의 논의를 통해 살펴보았다. 인은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타인을 향해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인성교육의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자율적 선택능력을 가진 권형(權衡)과 자주지권(自主之權)을 바탕으로 도덕적 주체가 인간임을 명시하였다. 또한 도덕적 책임감과 자유의지에 따라 도덕적 선택을 할 수 있는 권형을 통해 교육에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해 보았다. 다산의 도덕철학에서 실천과 인성교육 두 가지 키워드를 바탕으로 다산의 인성교육사상을 논의하였다. 새롭게 정립한 다산의 인성(人性) 개념에 대해 정리하고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근거를 찾아 인성교육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대의 인성교육에 적용하는 방안 또한 모색해보았다. 다산의 인성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덕과(道德科) 수업에서 실제 학습지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삶의 방법이자 인성을 함양하는 삶을 사는 실천의 밑거름으로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박석무, 『다산에게 배운다』, 파주: 창비, 2019.
조화태, 박종배. 『교육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박석무(2014). 다산 정약용 평전. 민음사.
박승용, ‘다산의 교육사상 연구’,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정약용/편역 다산연구회(2005). 정선 목민심서. 창비.
정창우,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파주: 교육과학사, 2015.
함규진, 『정약용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서울: 한길사, 2012.
백민정, 「정약용 철학의 형성과 체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장승구, 「정약용의 윤리교육론」, 『한국철학논집』, 제59집,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키워드

교육사,   방통대,   교육사상가,   교육사상,   특징,   실천가,   정약용,   생애,   다산,   교육,   실천,   인간
  • 가격6,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2.09.25
  • 저작시기202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5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