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다. 법의 내용도 선의와 동기를 앞세우고 문제가 될 조항이 일부 포함돼 있다. 사회적경제 조직의 제품 구매가 \'국가적 의무\'라고 보기는 어렵다. 모든 국민이 자신의 의지로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헌법상 소비자 주권이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구매 시 일정한 구매비율이나 우대를 설정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다.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가 \'국가적 의무\'라는 법과 합리적인 가족·사회적 경제조직의 등장으로 전국적으로 2만7000여명(2019년)이 만연한 현실을 무시할 수 없다. 자율적으로 구조조정을 하거나 좋고 나쁨을 구분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고, 이 숫자는 선거 후에 증가할 것이다. 결국 저급 행정이 야성화하고, 후진적 정치가 사회경제 생태계의 최상위에 군림하며 모든 것을 좌우하는 상황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