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고전함께읽기 중간과제물) 논어 학이편에서 말하는 배움이 무슨 의미인지 백성이 찾아오는 정치라는 말의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고, 현대 정치에 적용한다면 어떠한 통치가 되어야 할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3년 1학기 방송통신대 고전함께읽기 중간과제물) 논어 학이편에서 말하는 배움이 무슨 의미인지 백성이 찾아오는 정치라는 말의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고, 현대 정치에 적용한다면 어떠한 통치가 되어야 할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논어』 학이편에서 말하는 ‘배움’이 무슨 의미인지, 교재의 학이편 2~12쪽을 참조하여 자기 글로 서술하시오(교재의 내용을 그대로 옮기지 마시오). (A4용지 1쪽 분량, 15점)

2. 교재 13쪽에 보면 『논어』 위정편의 제목을 ‘백성이 찾아오는 정치’로 정했다. 백성이 찾아오는 정치라는 말의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고(A4용지 0.5쪽 분량), 현대 정치에 적용한다면 어떠한 통치가 되어야 할지 각자 자기의 생각을 개진해 보시오(A4용지 0.5쪽 분량). (총 A4용지 1쪽 분량, 15점)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부는 백성들의 이익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공정하고 투명한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국가와 사회의 안정과 번영을 이룰 수 있다. 이것이 \"백성이 찾아오는 정치\"라는 논어 위정편에서의 이상적인 정치 철학이다.
2) 현대 정치에 적용
‘백성이 찾아오는 정치’는 현대 정치에 유용한 틀을 제공합니다. 그것은 지도자와 대중 사이의 양방향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지도자들이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서는 유권자들의 요구와 의견에 반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논어』 위정편에서 나오는 \'백성이 찾아오는 정치\'를 현대적인 관점에서는, 정치 지도자가 국민과의 소통을 통해 그 니즈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정치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현대정치의 근간은 국민주권이다. 이는 우리의 헌법에도 규정되어 있다. 주권자는 자신의 생각을 있는 그대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언론과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시스템이 제도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자의 ‘백성이 찾아오는 정치’는 결국 백성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언제든지 마음껏 할 수 있고, 백성의 권리를 당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정치라고 이해할 수 있다.
공자의 춘추시대에는 칼과 창이 말하는 시대였다. 백성은 그 칼과 창을 들고 정치인의 이익에 봉사해야 하는 존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백성은 자신이 원할 때가 아니라 정치가 원할 때 정치를 찾아갈 수 있었다. 공자는 물은 배를 띄우기도 하지만 때로는 배를 뒤집기도 한다는 것을 춘추시대의 정치에 경고하고 싶었을 것이다.
물론 현대사회에서는 백성이 찾아오는 정치뿐 아니라 백성을 찾아가는 정치도 강조된다. 그러나 가장 기본은 백성이 정치를 찾아가는 것이다. 자신의 니즈는 그 자신이 가장 잘 안다. 따라서 자신이 필요할 때 제때 찾아가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임은 자명하다. 찾아가서 이미 자신의 문제를 해결했다면, 더 이상 정치가 수고롭게 백성을 찾아갈 일은없을 것이다. 괜히 찾아가면 오히려 백성을 더 수고롭게 할 뿐이다. 이러한 상태가 공자가 이상으로 삼은 정치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백성이 찾아오는 정치’는 현대 정치에서도 유효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백성이 찾아오는 정치\' 에 따라, 정치는 국민의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수용하면서도 국가나 지역 사회의 발전을 위해 대안적인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가장 핵심적인 것이 소통이다. 곧 덕치의 핵심은 소통인 것이다.
백성이 정치를 찾아가지 못하는 것은 소통의 부재 때문이다. 싫어하는 대상은 찾아가지 않게 되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따라서 정치인은 소통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소통이 원활하게 되도록 법과 제도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문제의 대부분은 소통의 부제에서 오는 것이므로, 그 해결 또한 소통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공자의 덕치는 곧 소통이고, 그 소통은 국민의 소리를 들으려는 경청의 태도인 것이다.
3. 참고문헌
전호근, 『고전함께읽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 가격9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3.26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17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