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_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사상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학_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사상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플라톤의 예술론

2)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카타르시스는 어떠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까?
아리스토텔레스는 당시에 카타르시스에 대해서 종교적, 의학적 용어로 혼용했다. 종교적 측면의 카타르시스는 종교적 의식에서의 영혼의 정화를 의미한다. 의학적 측면의 경우 카타르시스는 하제를 통한 변의 배설을 의미했다. 이런 의미가 악에 적용되면서 종교적 용어인 카타르시스는 제의에서 \'감정의 정화\'로 표현되었고, 의학적 용어인 카타르시스는 정신적으로 유해한 \'감정에서의 배설로 표현했다. 카타르시스에 대한 해석은 대체로 레씽으로 대표되는 정화설과 베르나이스가 대표하는 배출설로 나뉜다. 정화설의 입장에서 관객의 잠재적인 연민과 함께 두려움의 감정이 작품관람을 통해서 순화된다고 보았고, 배출설의 입장에서는 관객의 잠재적인 연민과 함께 두려움에 대한 감정이 작품의 주인공을 통해서 배출된다고 보았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지적하고 넘어갈 것은 정화설과 배출설 가운데 배출설이 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에 가깝다는 것이다(서승원, 1994: 11). 가령 대부분의 사람들은 잠재적인 연민과 두려움으로 고통을 당한다. 그러나 비극작품을 감상하면서 이러한 감정들을 표면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비극은 해가 없는 안정을 줄 수 있다. 특히 극장에서 이러한
감정들을 배출하는 것은 행동의 모방인 비극작품에 의한 것이므로 더 유쾌하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예술의 기능은 비극의 기능에 대한 답변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는 비극공연은 중요한 요소들인 시, 음악, 춤이 결합되어서 나타난 종합예술이기 때문이다. 비극에 대한 고유한 기능이 \'카타르시스\'였고, 그것은 예술의 주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카타르시스는 감정의 순화 아니면 감정의 배출이든 간에 결과적으로 심리적 안정과 미적 쾌락을 부여하는 것으로 다시 보았다. 따라서 카타르시스에 의한 심리적 안정과 미적 쾌락인 것이다.
3. 결론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사제관계였지만 그들이 각자 주장했던 예술론은 정말 반대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무래도 예술이 주는 가치, 영향력 등 예술 그 자체에 대해 좋게 바라본 자는 아리스토텔레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에 반해 플라톤은 예술에 대한 그 자체로서의 가치성보다는 부수적인 역할로서 바라보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플라톤의 경우 예술이 주는 긍정적인 요소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서 깊이 고찰했다. 이처럼 똑같은 예술을 가지고서도 반대의 시각을 가질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시각의 흐름이 플라톤의 시각이 먼저 나온 것이 예술을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줄 수 있었을 것이라 보인다. 이 예술 그자체로 바라본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각으로 인해 미학에 까지도 많은 영향과 가치를 부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윤영돈.(2005).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술론과 도덕교육애 함의. 도덕윤리과 교육연구. 21. pp. 387-410
예술하며 힐링하는 사람들. [upkorea].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50000.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5.22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9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