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작물학1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용작물학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과 전체 소비량 을 조사 분석하고 앞으로의 대책에 대해 논하시오.

2. 벼의 기상생태형에 따른 국내 육성 벼 장려품종을 분류하고, 재배적 특성을 설명하시오.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피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수확기가 빠르기 때문에 조기 출하가 가능하다. 그러나 수량성이 낮고,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감온형 벼 장려품종의 재배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생육기간: 120일~130일
수량성: 450~550kg/10a
병충해 저항성: 약함
재배 적지: 중부 이북 지역, 냉해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2) 중간형(중생종 벼 장려품종 2개)
중간형 벼는 생육기간이 중간으로, 감온형과 감광형의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 수량성이 감온형보다 높고,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도 어느 정도 있다.
중간형 벼 장려품종의 재배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생육기간: 130일~140일
수량성: 550~650kg/10a
병충해 저항성: 보통
재배 적지: 중부 지역, 병충해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3) 감광형(중만생종 벼 장려품종 16개)
감광형 벼는 생육기간이 길어 수량성이 높고,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도 강한다. 그러나 생육기간이 길기 때문에 냉해 피해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고, 수확기가 늦어져 조기 출하가 어렵다.
감광형 벼 장려품종의 재배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생육기간: 140일~160일
수량성: 650~800kg/10a
병충해 저항성: 강함
재배 적지: 중부 이남 지역, 병충해 피해가 심한 지역
이상과 같이, 벼의 기상생태형에 따른 국내 육성 벼 장려품종의 재배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농업인은 재배 지역의 기후 조건과 재배 목표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벼 품종의 선택
첫째, 벼 품종은 재배 지역, 생육 기간, 수량, 품질, 병충해 저항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둘째, 재배 지역에 따라 생육 기간이 적합한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남부 평야지에서는 생육 기간이 짧은 조생종을, 북부 평야지에서는 생육 기간이 긴 중만생종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셋째, 생육 기간에 따라 수확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생종을 선택하면 일찍 수확하여 쌀값이 높은 시기에 판매할 수 있다. 넷째, 수량이 높은 품종을 선택하면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다섯째, 품질이 좋은 품종을 선택하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여섯째, 병충해 저항성이 높은 품종을 선택하면 병충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3) 벼 품종의 재배
벼 품종을 성공적으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적절한 시기에 파종해야 한다. 파종 시기가 너무 빠르면 벼가 생육 기간 동안 충분한 온도를 받지 못하고, 파종 시기가 너무 늦으면 벼가 생육 기간 동안 충분한 수분을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 둘째, 적절한 시기에 모내기해야 한다. 모내기 시기가 너무 빠르면 벼가 생육 기간 동안 충분한 일조량을 받지 못하고, 모내기 시기가 너무 늦으면 벼가 생육 기간 동안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
셋째, 적절한 양분을 공급해야 한다. 벼는 생육에 필요한 다양한 양분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벼의 생육 단계에 따라 적절한 양분을 공급해야 한다. 넷째, 적절한 제초를 실시해야 한다. 잡초는 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과 물을 빼앗아갈 수 있다. 그러므로 잡초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초를 실시해야 한다. 다섯째, 적절한 병충해 방제를 실시해야 한다. 병충해는 벼의 생육을 저해하고, 수확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병충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제해야 한다.
이러한 벼 품종의 선택과 재배는 벼농사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재배 지역, 생육 기간, 수량, 품질, 병충해 저항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한 품종을 선택하고, 적절한 재배 방법을 적용하여 성공적인 벼 농사를 지어야 한다.
결론
벼는 익어서 노랗게 변하면 수확한다. 수확은 기계로 하는 경우와 손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기계로 수확하는 경우, 트랙터에 부착된 수확기로 벼를 베어준다. 손으로 수확하는 경우, 낫이나 기계로 벼를 베어준다. 세계 벼 생산량은 2023년 기준으로 약 502.7백만 톤이다. 이는 전 세계 식량 생산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규모이다. 세계 벼 생산량은 중국이 약 2,150만 톤으로 가장 많고, 인도가 약 1,300만 톤으로 두 번째로 많다. 한국은 약 470만 톤으로 세계 10위권에 랭크되어 있다. 벼는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주식으로 사용하는 주요 식량 작물이다. 벼는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등이 풍부하여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작물이다.
참고문헌
식용작물학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11.15
  • 저작시기202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0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