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의 간호중재 전략개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노인성 치매간호에 대한 이론적 개념들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본문내용

in this research suggest that maintaining or improving the functional ability is possible with a nursing intervention, which was a highly structured and systematic approach that involved modifying the environmental and behavioral context, through strategies including prompting and social.
치매노인의 간호중재전략 개발에 대한 논평
송 미 순
저자설명:
1985년 이후 서울대학교에서 성인간호학, 노인간호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현재 부교수로 재직중이다. 1974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졸업 후 한국과 미국에서 임상경험을 하고 1981년 위스컨신 주립대학에서 노인간호전공으로 간호학 석사를, 1991년에는 서울대학교에서 간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흥미연구영역은 노인의 환경중재, 신체적문제간호, 노인기능상태모형 등이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치매노인의 간호는 의료전문가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노인 중에서도 고령노인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최근의 인구변화는 치매노인의 증가를 예견하고 있으며, 노인간호 분야에서도 치매노인의 간호가 커다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까지 치매는 뚜렷한 원인이나 예방법이 확실하지 않으며 일단 발생하면 거의 치료가 불가능한 채 지속적으로 인지기능은 물론 신체기능도 악화되기 때문에 환자는 가족이나 의료인의 간호에 의존하여 나머지 생애를 보내게 된다. 이 기간에 환자의 일상생활의 독립성은 점차로 나빠지고 나중에는 완전히 보호자에게 의존하게 되어 가족은 신체적, 경제적, 정신적인 부담에 시달리게 된다.
지금까지 간호계에서 일반 노인이나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기능정도에 대한 서술적 연구는 상당수 보고되었으나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수행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간호중재 방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우리 나라나 미국에서 모두 거의 시도가 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현실에서 연구자가 이 분야의 연구를 시도한 것은 매우 높이 평가할 만 하다. 그러나 앞으로 치매노인을 위한 간호중재 방법을 개발하는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점을 같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간호중재의 내용이 치매노인이 네 가지 개인위생을 스스로 하도록 노인에게 촉진적 자극, 강화적 자극, 물리적 환경조정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명확하게 본 연구에 사용된 중재의 내용이 정의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중재의 내용이 무엇인지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또 치매노인이 개인위생을 하기 전에 노인이 직접 시도하도록 5초간 기다리는 중재방법도 사용된 것으로 연구절차와 논의에서 밝히고 있는데 이것은 중재의 내용으로 연구 절차나 방법에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중재의 내용이 일반적으로 자기간호가 부족한 사람에게 상식적으로 적용하는 내용과 너무 유사하여 연구자가 준 간호중재와 평소 간호조무사가 주는 도움의 내용과 큰 차이가 없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이 있다. 중재전 후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은 실험처치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도 한가지 요소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개인위생을 스스로 하는 비율이 중재기간만 증가하고 중재가 끝난 후에는 다시 저하된 것을 보였다. 그 원인이 중재기간이 길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도 있으나 대상자가 인지기능이 계속 저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장기적 중재가 된다해도 학습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의 개념적 기능에 대한 부분이 생략되어 명확하지 않으나 인지기능의 지속적인 감소가 주 증상인 치매노인, 특히 중증 치매노인의 경우 어떤 학습효과를 기대하는 중재의 효율성이 있는 것인지 의문이 생긴다. 학습효과는 기대하지 않고 환자 옆에서 간호사가 중재를 하는 동안에만 기능적 행위율을 향상시킨다면 그로 인한 이득은 무엇인가? 자기가 스스로 할 때 치매환자가 감정적 혹은 신체적 이득을(물론 매우 평가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얻는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환자가 직접 했기 때문에 좋다고 할 수 있는가?
연구자도 내적 타당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 영향을 제한점으로 들었지만 치매노인은 흔히 환경 변화가 있을 때 혼돈이 심해지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간호중재하는 환경을 평소와 너무 다른 환경에서(생소한 화장실 사용, 비디오 촬영 등) 시도하는 것이 꼭 필요한 것이었는지 의문시된다. 이런 대상자라면 비디오 촬영보다는 참여 관찰이 더 적절하지 않았을까?
논의에서 중요한 연구 결과로 노인에게 개인 위생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반응할 시간을 제공해 주면 노인이 개인위생의 동작을 할 수 있다 하였는데, 실제로 기다리는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만으로 가능해진 동작이 어느 것이었으며 어느 정도의 비율로 가능하였는지 제시되지 못한 것은 아쉬운 점이었다. 또 인지능력이 심하게 손상되지 않는 경우에는 물리적 환경자극이 기능적 행위율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는데 연구자는 간호중재의 결과를 간호중재의 내용에 따라 분리해서 분석한 것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해석하는 것은 지나친 확대해석은 아닌지 하는 염려가 된다.
대상자가 중증치매 3명, 경증치매 3명으로 매우 제한된 숫자였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앞으로의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경증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간호중재 연구는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보이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 고려할 점이다.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치매노인을 위한 환경조정과 행동적 자극에 관련된 간호전략은 실무에 임하는 노인간호사와 치매노인의 가족에게 유용한 참고자료가 되리라고 생각된다.
연구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축소한 일부분을 평가하는 이러한 행위가 연구자의 학문적 노력을 저하시키는 결과가 되지 않기를 바란다. 끝으로 한국에서도 이러한 치매노인의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바라며 다른 사람이 시도하기 힘들어하였던 인지적 장애가 있는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간호중재를 하여 논문을 완성한 연구자에게 치하를 보내고 한국노인간호학에 큰 기여를 기대하는 바이다.

키워드

치매,   노인,   간호,   중재,   연구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02.15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4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