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간호연구의 개념과 연구방법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연구의 필요성

2)연구목적

3)문헌고찰

4)연구방법
1. 연구설계 및 자료
2. 연구도구
3.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4. 자료분석방법

5)연구 결과
1. 한국 간호연구 실태와 경향

6)결 론

본문내용

영 란
간호학탐구 2권 2호 본 저자들의 논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계획과정-관절염 대상자를 중심으로"에 대한 이 선자 교수의 논평에 대해 먼저 감사를 드리며 몇 가지만 덧붙여 설명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 교수가 제시한 문제점에 대한 연구자로서의 입장을 밝히며 본 논문을 다듬는 의미에서 더 많은 조언을 기대한다.
본 논문은 주된 아이디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써 Philosophical Inquiry적 단계를 밟아 나갔다. Philosophical Inquiry라 함은 과학적 실험의 기초가 되는 과정으로 주된 Idea를 검증하는데 있어 기존의 경험주의적 실험(Empirical Experiment)과는 접근방식을 달리한다. 우선 주된 Idea(본 논문에서는 건강증진)와 관련된 문헌을 조사하며 그 조사에 기초하여 Idea를 분석하고 나아가 Idea를 확대시키는 방법이다.(Smith, 1981). 이때 사용되는 방법은 논리적, 비평적 토의(Critical discussion)이다.
논평에서 논문형식에 대한 것이 지적되었는데 위에 설명한 대로 경험주의적 실험에 앞서 주된 Idea를 분석, 확대시키기 위한 논문이었기 때문에 기존의 논문 형식과는 달리 논리적 전개에 주력하였음을 밝힌다. 또한 본 논문은 저자들의 사고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의도로 구성되었음을 알린다.
논평자는 간호연구 방법이 과학적 연구방법이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는데 논평에서 제시된 과학에 대한 정의 '자연현상의 사실적 현상을 객관적, 과학적 방법으로 증명하여 자연현상의 진실 혹은 진리를 밝혀 나가는 것'에 비추어 볼 때 논평자가 의미하는 과학적 연구 방법은 경험주의적(Empirical) 연구방법이며 과학 또한 경험주의적 방법에 의해 쌓여지는 지식체 만을 의미하는 것임이 주목되어 흥미로웠다. 간호학 뿐 아니라 순수과학의 분야에서조차 오래 전부터 파라다임 전환(Paradigm Shift)을 논해왔고 간호학계 내에서는 이미 과학철학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믿었는데 논평에서 경험주의적 과학철학이 과학의 전부로서 제시되어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 과학적 연구는 경험주의적 연구보다 훨씬 포괄적이며 광범위한 것이다.
오랫동안 논리적 경험주의(Logical Empiricism)가 모든 분야의 과학철학으로서 지배적이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간호 분야에서는 선구자적으로 파라다임 전환을 기해 과학을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정으로(Problem Solving Process) 보며, 경험주의적이 아닌 다른 종류의 지식에(예를 들면 윤리적 지식, 개인적 지식, 미학적 지식 등) 대해서도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고 본다. 또한 이러한 과학철학적 신념 아래 많은 간호연구가들이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를 수행하고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본 논문을 경험주의적 형식에는 적합하지 않을 지 모르나 논리적 흐름을 중시한 과학적 연구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어긋나지 않음을 감히 밝히는 바이다. 그리고 논문의 형식에 대한 논평보다는 본 논문이 추구한 주된 Idea의 분석이나 확대 혹은 건강증진 계획과정에 대한 논평이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본 논문은 만성질환(관절염)을 가진 그룹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로 적용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적 평가연구(Evaluation Research)를 시행하기에 앞서 관련된 문헌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프로그램 계획에 반영함으로써 앞으로 개발될 프로그램의 성공도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 하에 전반부에서는 건강 개념화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앞으로의 연구가 목표로 할 건강 정의에 도달하는 과정을 보였고 후반부에서는 이렇게 정의된 건강에 입각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 과정에서 건강 개념화와 건강증진 프로그램사이의 연계성을 이해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그 점에 대해 부연 설명하고자 한다. 전반부의 건강 개념화 단계는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 있어 어떠한 차원의 건강을 증진시킬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기존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건강에 대한 제한된 정의(예를 들면 임상적 지표를 주로 포함하는 건강 정의)를 실현하는 목적으로 개발되고 그러다 보니 건강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편협된 인식이 있어 왔다. 또한 이러한 정의 하에 개발된 프로그램은 대상 그룹의 독특성을 배제한 일률적인 양상을 띄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건강에 대한 제공자와 대상자의 개념화를 고찰함으로써 건강에 대한 다차원적 요인들을 제조명했으며 "질병과 상관없이 처해 있는 현실에서 그 모든 건강의 다차원적 요소들이 총체적으로 통합됨으로써 얻어지는 충만감의 살아있는 체험"이라는 정의에 도달했다. 이러한 포괄적(Comprehensive) 정의에 입각하여 만성질환을 가진 대상자(본 연구에서는 류마치성 관절염)를 위해서도 건강의 다차원적 요인들을 통합시키며 목표로 하는 그룹의 독특성을 고려하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제시했다.
건강에 대한 개념화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프로그램이 제공된 후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도 필수적인 단계이다. 만약 건강에 대한 개념화 및 정의가 선행되지 않고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계획된다면 지표나 목표가 없어 방향감각을 잃는 프로그램이 되기 쉬우며 또한 어떤 근거를 가지고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을 지 의문이다.
이러한 논리적 연관성을 참고한다면 논문의 전반부에서 제시되었던 건강에 대한 개념화와 논문 후반부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계획 과정 사이의 상호관계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건강에 대한 개념이나 정의는 논평에서 표현된 것처럼 "추상명사"에 대한 작업이라 보기 어려우며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실질적이며 필수적인 단계라 강조하여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참고문헌
1. Smith, J.(1981). The idea of health: A philosophical inquir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3-50.

키워드

한국,   간호,   연구,   자료,   사람
  • 가격3,3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2.02.15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