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보도의 문제점과 전망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언론사 주관의 여론조사의 문제점과 배경
1) 문제점
2) 배경원인

3. 언론사가 주도하는 여론조사의 새로운 역할 : 선거 이슈여론조사 강화
1) 정책결정자와 공중을 잇는 가교로서 균형성 회복이 필요
2) 무엇을 조사할 것인가?

4. 4개 중앙일간지의 16대 총선 여론조사, 무엇을 조사했나?

본문내용

년 3월에 선포한 한국조사연구학회의 한국조사윤리강령에 입각해서 해나가야 할 것이다. 한편, 이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방송사가 16대 총선 예측조사에 대한 조사자료를 공개하고 이에 대한 연구자의 접근을 가능케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이번 총선 예측조사의 오류라는 역사적 경험을 우리 나라 조사업계의 발전을 위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조치일 것이다.
아울러 총선의 경우 투표 종료 후 3시간이면 대체적인 당선의 윤곽을 알기 시작하고 6시간이면 거의 전부를 알 수 있는 한국적 상황에서 방송사의 예측조사가 갖는 사회적 기능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예측조사가 단순하게 당선자 예측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보다는 투표를 마치고 나오는 사람들에게 총선 의 의미를 물어서 총선에 임하는 유권자의 생각과 투표결과를 종합적으로 파악해볼 수 있도록 질문의 구성 등을 새롭게 설계해야 할 것이다. 투표결과 누가 당선됐는지도 중요하겠지만, 왜 당선됐는지, 그리고 유권자가 투표를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를 여론조사를 통해 파악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방송3사가 하나의 조사협의체를 구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방송사간 경쟁체제로 조사에 임한 것도 조사 및 보도의 문제를 낳는데 일조를 한 것은 아닌가에 대한 반성을 해보아야 할 것이다. 방송사간의 속보 및 특종경쟁의식이 한국조사업계의 현실적인 역량을 고려치 않은 상황에서 조사를 무리하게 강행토록 한 것은 아닌지를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16대 총선 예측조사의 오류는 15대 총선에 이어 한국의 조사와 보도의 현주소를 다시 한번 파악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역사의 교훈"으로 삼아 개선의 노력을 기울일 때, 총선 예측조사의 실패는 되풀이되지 않을 것이다.
2) 남은 과제와 대안 모색 : 여론조사에 대한 보다 진지한 접근들
그렇다면, 우리는 언론이 주관하는 여론조사의 기능이 여론과정에 보다 긍정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한가?
무엇보다 선거에 대한 언론사의 시각을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거는 민주주의에서 핵심 제도이다. 선거과정은 단순히 정당간의 세력 싸움을 하는 기간이 아니라 공중이 공공사안을 학습하고 태도를 형성해나가는 역동적인 여론형성과정이다. 선거과정이 공중으로부터 외면당하고 언론이 공중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한다면 그것은 민주주의의 위기로 이어진다.
따라서 언론은 선거과정에서 자신들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보다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특히, 선거에서 중요한 정보 소스인 여론조사를 단순하게 유권자 개인들의 생각을 총합한 숫자로 다루어서 이른바 숫자 이벤트를 기획하기보다는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보다 중요한 문제를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요한 공공사안에 대한 공중의 여론은 후보자나 정책결정자들의 정치활동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선거기간은 각종 정책이 발표되는 시기로서 많은 사회적 문제가 해결되는 기간이기도 하다. 이 기간동안 언론이 선거의 결과에만 주목하지 말고 더 중요한 사안을 발굴하는데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언론사들은 선거기간에 여론조사를 어떻게 그리고 무엇에 대해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전문위원회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해봄직 하다.
선거에서 여론조사의 기능과 언로의 역할에 대한 문제는 공중여론에 대한 보다 깊은 논의와, 여론조사와 관련된 언론활동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힌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가 이 글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 글의 한계로 삼고자 한다.
앞으로의 대안이나 과제로 피스킨의 숙의적 여론조사(dleiberative polling)나 미국 지역언론의 공공저널리즘의 여론조사 활용에 대한 학문적 검토도 필요하리라 본다.
참고문헌
유재천(1993), "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와 과제 : 언론사 보도관행을 중심으로", 언론과 커뮤니케이션의 제문제, 나남.
조성겸(1993), "국내신문의 여론조사 보도분석", 여론조사보도, 한국언론연구원.
한국언론연구원,(1998), "여론조사보도", 한국언론연구원.
박동숙(1995), "선거 여론조사 보도", 선거와 미디어 - 6.27 지방자치제 선거보도연구, 한국언론연구원.
안병찬(1996), "연구논문 :4.13 총선 여론조사 오보 사례 연구", 신문과 방송, 10월호, pp.103-113.
김동규(1996), "15대 총선 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 신문과 방송, 5월호., pp.26-33.
양승찬(1998), 미디어 정치시대의 선거보도, 한국언론연구원.
선우동훈, 윤석홍, 여론조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p.53-54.
김영석, 여론과 현대사회, 나남,1996.
Mccomb, M. E. & D. L. Shaw,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Mass Media", Public Opinion .Quartery, Vol. 36, 1972, pp. 176-187.
Gerald M. Kosicki, "Problems and Opportunities in agenda-Setting Research", Journal of Communication, 43(2), spring, 1993, pp. 110-120.
Iyenger, Shanto, Donald R. Kinder, News That Matters : Television and American Opinion, (Chiago and London : The , Univ. of Chicaco Press, 1987), pp. 63-65.
한흥수, "제14대 대통령선거의 쟁정과 전망", 《선거와 한국정치》, 한국정치학회 1992년 하계학술대회 발표집, pp. 53-54.
Jowett, Garth S. & Victoria O'Donnell, Propaganda and Persuasion, (London : Sage, 1985), p. 13.
James S. Fishkin, "the House Mazine", A Publication about the British Houses of Parliament, July 17, 1995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2.02.16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