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회화수업에서 컴퓨터매개/대면 의사소통방식과 외향성/내향성의 상호작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가설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
내용미리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방식이 상이한 두 가지 영어회화수업, 즉 대면 및 컴퓨터매개(Chatting)수업에서 학습자의 성격유형 중 외향성/내향성이 학습 참여도와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구체적인 가설과 네 가지 하위가설을 설정하여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검증하였다. .

본문내용

방법을 찾는 시각도 함께 가져야 함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방식은 대면에 의한 의사소통 방식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외향적인 학습자들을 위해 학습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방식이 익숙하게 되어 학습효과를 보기까지 어느 정도의 적응기간과 타자 실력이 뒷받침이 되어야 함을 감안할 때 본 연구결과는 매우 의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으로 영어회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어서 장기적인 채팅 수업의 활용에 따른 효과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하며, 특히 본 연구에서 기본적으로 가정한 쓰기와 말하기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확인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인애(1997), Higher tech, high touch, 그 역설적 결합의 교육적 가능성-경희대학교 교육 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Online Educa Korea 발표자료집, 148-172.
구병두(1996). 학업성취 관련변인. 서울: 양서원.
권오량(1994). 교과교육학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김덕기(1996). 영어교육론. 서울:고려대학교 출판부.
박인우(1997). 대학교육에서 인터넷 가상토론의 비동시성과 토론자의 내향성/외향성간의 상호작용 효과 연구. 교육공학연구, 14(2), 25-49.
박인우(1996). 학교교육에 있어서 구성주의 교수원리의 실현매체로서의 인터넷 고찰. 교육 공학연구, 12(2), 81-103.
백영균, 강숙희, 설양환, 심웅기(1999).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방안에 관한 중간 연구 보고 자료집. 서울: 교육부.
백영균, 설양환(1997). 인터넷과 교육. 서울:양서원.
원성옥, 정승영 (1996). 英語敎授理論과 授業指導. 서울:螢雪出版社.
장신재(1996). 영어를 어떻게 배우고 가르칠 것인가: 2언어학습과 교육. 서울:신아사.
Bordia, P.(1997). Face-to-face vers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 synthesis of the experimental literature. The Journal of Business, 34(1), 99-120.
Berge, Z., & Collins, M. (1995).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and the online classroom(III): Distance Learning. NY: Hampton Press.
Brown, D. (1980).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Englewood Cliff, New Jersey: Prentice-Hall.
Eysenck. S., & Eysenck H. (1963). The validity questionnaires and rating assessments of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and their factorial validity.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54, 51-62.
Harasim. L. (1990). Online education, In N. Harasim, Online Education(ed)., pp.137-183. N.Y: Praeger.
Holden, M & Wedman, J.(1993). Future issues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a Delphi study. ETR&D, 41(4), 5-24.
Jonassen, D. (1996). Computers in the classroom: Mindtools for critical thinking.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Jonassen, D., & Grabowski, B. (1993).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rttunen, M.(1996). Argumentation analysis of the content of E-mail studi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AERA(New York, NY, April 8-12, 1996).
Naiman, N., Frohlich, M., & Stern, H. (1975). The Good Language Learner. Toronto: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Rice, R. E.(1984).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n R. E. Rice & Associates, The new media: Communication, Research, and Technology(pp.129-54). CA: Sage Publications.
Ruberg, L., Moore, D., & Taylor, D.(1996). Student participation, interaction, and regulation in a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nvironment: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14(3), 243-288.
Singer, M. (1994). Psychology of Language. 정길정, 연준흠 역, 언어심리학. 서울 : 한국문화사.
Yellen, R. E., Winniford, M., & Sanford, C. C.(1995). Extraversion and introversion in electronically-supported meetings. Information & Management, 28(1), 63-74.
* 박 인우(계명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전화(학교) 053-580-5316
박은실(계명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전화(학교) 053-580-5315
  • 가격3,300
  • 페이지수162페이지
  • 등록일2002.05.08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4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