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신발에 대해......(신발의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경기도 박물관 송미경 교수님의 글에서 발췌
신발에 대한 .......

문헌에 나타난 삼국시대 신발의 형태는 크게 화(靴)와 이(履)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신의 목이 있는 장화처럼 생긴 신발을 화(靴)라고 한다. 화는 말을 타거나 사냥을 할 때 발목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발이다. 그리고, 요즈음의 고무신같이 생긴 신발의 목이 없는 것을 이(履)라고 한다. 이 두 가지 신발 중 어느 것이 먼저 발생하였는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화는 주로 말을 타고, 사냥을 하는 북방민족의 신이었을 것으로 생각하고, 이(履)는 농사를 짓는 남방계 민족이 많이 신었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민족의 특성과 지형적인 이유로 이 두 가지 신발을 함께 신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문헌에 남아 있는 신발 명칭을 통해 고대 우리 나라에서는 가죽·비단·풀 등의 다양한 재료와 여러 가지 색깔의 신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삼한과 삼국시대의 신발 형태는 고구려 고분벽화와 각 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식리(金銅飾履) 토기(土器) 등에서 그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유물 중에 제일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신발은 낙랑(樂浪)시대 채협총(彩 塚)에서 출토된 것이다. 이 신발은 이(履) 형태로서, 얇은 짐승껍질을 사용하여 상부와 바닥을 꿰매어 합치고 표면에 흑칠(黑漆)을 하였다.
고구려시대 이(履)의 형태를 잘 나타내고 있는 고분벽화는 통구(通溝) 사신총(四神塚) 동벽(東壁)의 역사상(力士像)의 신인데, 형태로 보아 요즈음 신과 아주 비슷하다. 그리고 통구 17호분의 수문장의 신은 `곤돌라`같은 형을 한 매우 화려한 형태의 것으로 신 앞이 둥글게 위로 올라갔다. 무용총의 무용수들은 남자들은 이를 신었고, 여자들은 이와 화의 중간형을 신고 있다. 그 외, 통구 삼실총 서벽 예갑무인(禮甲武人)의 이는 신발 바닥에 못을 박아 스파이크처럼 되어 있다. 이처럼 바닥에 못을 박은 고구려의 이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금동리가 있다. 화의 형태는 매산리 사신총 현실 북벽과 쌍영총 후실 북벽 벽화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이 벽화에서는 인물 앞에 신이 놓여 있다. 이 벽

본문내용

엄비도 구두를 신게 되어 많은 논란이 있었다. 1895년 상류 귀족사회의 남자들이 구두를 신기 시작하였다.
개화기 때 여성의 구두는 굽이 낮은 이브닝 슈즈가 주로 신겨졌다. 그후 1900년대 초기의 신교육을 받는 여학생의 신발은 짚신 미투리 나막신 진신이었다. 개화기 때 일반인들에게 주류를 이루고 있던 신발은 초혜였다. 대원군은 사치스럽고 비경제적이고 비활동적인 신발을 없애야 한다면서 비단으로 만든 신발들을 신지 못하게 금령을 내렸고, 재료를 섞어 만든 초혜(草鞋)도 신분질서를 어지럽힌다고 사용금지령을 내렸다. 신분질서가 무너지기 시작한 갑오경장 이후, 사치스러운 신발이 없어져 가기는 했지만 오직 초혜는 유행을 했는데 이것을 개화짚신이라고 했다.
여지껏 엄격하게 지켜지던 신분표시로서의 신발의 역할은 점차 약해지고, 실용적인 면과 옷과 어울리는 아름다움의 발산도구로서 더 큰 위치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일제시대의 신문 만화란에 보면 구두 값이 비싸기 때문에 구두를 신는다는 것은 경제적 사회적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기도 하다.
길이가 짧아진 양장과 통치마의 등장으로 1910년대 양말과 구두가 들어 왔지만, 극히 일부에만 소개되었다. 이 시기에는 전도부인과 통치마의 개화여성도 구두에 버선을 신고 다녔다. 당시의 신발은 부잣집 자녀들은 삼색의 아름다운 올로 된 미투리를 신었고, 서민의 자녀들은 짚신 나막신이 고작이었다. 당시 미투리는 지금 서린동 광화문 우체국 자리에 있었던 전옥서(典獄署)의 죄수들이 옥중에서 삼은 것을 최고로 여겼었다. 서린동 미투리로 불리우는 이 삼색 미투리는 학생들 사이에 선망의 대상이 되었으며, 가짜 서린동 미투리가 나돌기까지 하였다.
1920년대 초 고무신이 처음 소개되었다. 우리고유의 당혜 운혜모양을 본 딴 것이었다. 당시 순종(純宗)도 고무신을 최초로 신은 분 중에 한 분이었다. 이 고무신은 우리 고유의 신발을 새로운 소재인 고무를 이용하여 문화의 토착화를 성공한 좋은 예이다. 당시 우리 나라에서는 바닥만 고무로 하고 울은 가죽이나 베로 만든 신발을 편리화 경제화 경편화(輕便靴)라고 불렀으며 대단히 유행을 했다. 이 고무구두'가 들어오기가 바쁘게 고무신 공장이 난립했다. 이와 함께 1920년대에는 구두와 양말이 유행을 했다.
1930년대 지방에서는 미투리나 짚신을 신었고, 그 외의 대도시에서는 고무신이 보편적이었으며, 신여성은 고무신 외에 경제화(운동화)를 신었다.
일제시대와 해방이후 물자가 귀하여 양화점과 신발제조 공장 등이 생길 무렵, 한국전쟁으로 신발이 부족하게 되었다. 학생들간에는 고무신과 운동화가 귀해져 군용 자동차 타이어의 안팎을 분해해서 만든 타이어 신이 질긴 것으로 유명했다.
전쟁 이후 1960년까지도 일반적인 신발은 고무신이었다. 시골에서는 운동화를 베 구두라고 하여 아이들 사이에서는 재생타이어로 만든 검정 고무신이 아닌, 흰 고무신과 운동화가 선망의 대상이었다.
1960년대 후반까지도 지방에 따라서는 명절 때 고무신을 선물하기도 하였으며, 1970년대 이후 경제성장과 함께 한복이 일상복에서 멀어지고, 예복화 됨에 따라 신발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양복이 일상복으로 자리하게 됨에 따라 신발은 고무신에서 구두나 운동화가 주로 신겨지게 되었다. 각 시대에 유행하는 구두는 서구 패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서구의 유행과 나란히 가고 있는 현상이 시작되었다.
1980년대 초반에는 세계적인 브랜드의 운동화가 도입되면서, 운동화는 값싸다는 개념에서 벗어난 고가의 운동화가 청소년층에서부터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 이후 빠른 패션주기와 함께 옷에 맞는 다양한 구두와 운동화가 혼용되어 신겨지고 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06.15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