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산업의 산업연관 파급효과(항공산업 산업연관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항공기산업의 특성
우리 나라 항공기산업의 구조

2.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국은행, 「1995 산업연관표」, 1998. 8..
일본 행정관리청 「소화 55년 산업연관표」, 1984. 2.
주 : 제조업평균은 1985년 자료이고, 일본자료는 1980년 자료임
요약 및 결론
(1) 낮은 부가가치 및 미흡한 산업연관효과
우리 나라의 항공기산업은, 그 부가가치 율이 27.6%로서, 자동차 30.6%, 가전 31.3%, 통신 기기 29.9% 등에 비해 현저히 낮은, 산업고유의 고부가가치특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산업은 전체 산업에 대해 높은 파급효과를 끼치는 산업으로서, 산업연관분석의 결과로 생산유발계수, 영향력계수, 부가가치 유발계수 등이 높게 나올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우,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산유발계수가 1.59로 자동차산업의 2.23에 비해 현저히 낮으며, 영향력계수 및 부가가치유발계수도 각기 0.87 및 0.53으로, 자동차산업의 1.23 및 0.75에 훨씬 못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것은 우리 나라 항공기산업이 그 산업발전의 초기단계에 위치하고 있어, 중간재 및 최종재에 관한 국내수요의 대부분을 해외로부터의 수입으로 충당하고 있음에 그 원인이 있는 것이다.
〈표 10〉산업연관지표 요약
계수
구분
부가가치율
생 산
유발계수
영향력
계 수
감응도
계 수
부가가치
유발계수
수 입
유발계수
항공기산업
0.276
(0.259)
1.59
(1.64)
0.87
(0.87)
0.60
(0.55)
0.53
(0.52)
0.47
(0.48)
제 조 업
0.272
(1.99)
(1.33)
(2.04)
(0.68)
(0.32)
항공기 일본
0.457
1.94
-
-
0.73
0.27
자료 : 이기상, 「항공기 산업의 산업연관 구조분석」
- 90년도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
주 : ( )는 1990년도 산엽연관자료를 사용함
이에 따라 국내에 잔류되어야 할 파급효과의 대부분이 해외로 누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파급효과의 해외유출을 국내화하기 위해서도, 항공기산업의 수입대체산업으로서의 적극적인 육성이 요구된다 하겠다.
면허생산 또는 하청생산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항공기산업은 우리의 경제적인 규모나,
) 경제적인 규모는 시장수요를 결정하며, 우리 나라의 항공산업의 수입수요는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의 수요의 1/4 내지 1/2에 달하는 높은 수요를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술적인 기반, 또는 제반 관련산업의 발전단계에 비추어 볼 때, 그 기회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비교대상이 되는 대만, 멕시코, 브라질, 인도네시아, 인도 등의 개발도상국들이 각기 자국 실정에 맞게 독자적인 산업발전을 이루어 나가는 것을 볼 때 우리의 항공기산업은 그 걸맞은 수준에 비해 현저하게 낙후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2) 고립된 산업
우리 나라 항공기산업의 낙후성은 산업의 과도한 대외의존성에서 가장 큰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국내 완제기 수요의 대부분이 외국으로부터의 수입으로 충당되고, 국내 생산의 대부분은 외국으로 수출되며, 또한 그나마 국내생산을 위해서는 소요되는 대부분의 소재 및 부품을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극도의 대외 의존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대외의존성은 항공기산업이 본원적으로 가지는 높은 부가가치 및 산업연관효과를 전부 해외로 누출시켜, 지리적으로는 국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국내의 여타 연관산업으로부터 거의 완전히 유리된 "고립된 산업(Island-Industry)"의 상황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MD-500 헬기 및 제공호(F-5E/F)의 기술도입 면허생산에서 경험한 바와 같이, 사업의 지속성이 단절되고 기술적인 연관성이 결여되어, 일부의 단순조립 및 가공기술 이외에 보다 바람직한 설계, 체계결합(System Integration) 및 시험.인증기술 등의 축적이 미흡하거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 잔류되어야 할 파급효과의 대부분이 해외로 누출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파급효과의 해외유출을 국내화하기 위해서도, 항공기산업의 수입대체산업으로서의 적극적인 육성이 요구된다 하겠다.
참 고 문 헌
노희목, 1985, 항공산업의 경제적 효과 , 「항공산업과 국방경제연구」, 제 11집, 항공산업연구소.
노희목, 1984, 일본 항공기산업의 산업연관분석 , 「항공산업과 국방경제연구」, 제 10집, 항공산업연구소.
산업연구원 항공기산업 분과위원회, 1994, 「2000년대 첨단기술산업의 비전과 발전과제」.
산업연구원, 1989, 「이륙기를 맞이한 일본의 항공기산업 - 기술입국에의 견인차역으로서 -」
생산기술연구원, 1992, 「 92 공업기술수요조사 산업현황 및 중기기술예측보고서」(항공방위산업분야).
유영기, 1979, 항공기 제조업의 산업연관분석과 정책적 함축성 , 「항공산업과 국방경제연구」, 제 1집, 항공산업연구소.
Saw, David, "The Emergence of the Third World Aircraft Industry," Military Technology, 1988.4.
Cairncross, 1991, Sir Alec Planning in Wartime : Aircraft Production in Britain, Germany, and the USA, St Martins Pr Text.
Hayward, Keith, 1989, British Aircraft Industry (British Industries in the Twentieth Century), Manchester U Pr.
Klepper, G., 1990, "Entry into The Market for Large Transport Aircraft." European Economic Review 34, No. 4: 775-803.
Tyson, Laura, 1992, Who`S Bashing Whom? Trade Conflict In High-Technology Industries,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es, Washington DC
  • 가격3,3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