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사회복지의 발달사적 구분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시작하는 말

Ⅱ. 일제시대의 사회복지
1. 제 1기 일제 직전의 조선왕조기: 근대 사회사업의 태동기
2. 제 2기 무단정치기: 근대 사회사업의 성립기
3. 제 3기 문화통치기(1919-1931): 근대 사회사업의 발전기
4. 제 4기 민족문화말살기(1932-1945): 근대사회사업의 왜곡기

III. 맺는 말

본문내용

재로서 사회법칙 속에서 그 실체를 파악하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역사적으로 사회복지가 생성, 전개, 성숙되어 가는 과정과 이를 필연화시킨 사회상황은 그 시대가 갖는 독특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이루어진 만큼 역사적 연결 속에서 이를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사회복지학에 있어 역사연구는 일정한 사회사상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에 대한 법칙을 규정하는 작업과 관련된다. 사회복지가 어느 시대 어느 사회의 어떠한 상황 속에서 어떻게 성립되었고 전개되어 왔는가를 앎으로써 비로소 현상을 바르게 분석하고 미래의 전망도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現時點에서 오늘의 사회복지의 이론적 근거가 무엇이며, 現今의 사회복지 제도 및 정책의 根源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가를 탐색하는 작업은 현재의 사회복지에 대한 평가척도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더욱이 일제시대는 한국 사회복지발달사에 있어 매우 의미있는 시기이다. 조선조 말 싹트기 시작한 근대 사회사업이 일제시대에 드디어 성립을 보게 되었고 그 열매를 맺어 발전하다가 정치적. 상황적 논리에 밀려 비틀리고 왜곡되는 다양한 과정들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일제시대 사회복지에 대한 발달사적 구분에 대한 연구는 연구 자체로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지만, 일제시대를 사이에 두고 마치 공백인 것처럼 건너 뛰는 한국 사회복지발달사를 자연스럽게 연결시키는 작업의 일환으로서도 큰 의의를 지닌다고 생각되는 만큼, 이에 대한 지속적이고도 활발한 연구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강연택, "조선에서의 공동노동의 조직과 그 사적 변천", 『농업경제연구』17권 4호
강재언, 조선근대사연구, 일본평론사, 1970
김경일, "일제하 도시 빈민층의 형성"한국사회사연구회 논문집, 제 3집, 『한국의 사회신분과 사회계층』문학과지성사 1986
김성례외, "일제말기 노동력 수탈정책-법령을 중심으로 하여-"『광복 50주년 기념논문집』, 1995
김용섭, 조선후기농업사연구, 1971, 서울PP. 180-197
김운태,「조선왕조행정사」(근세편), 박영사, 1981, PP. 220∼240 참조
신용하, 『조선토지조사사업연구』, 한국연구원판, 1979, P. 93
유택일, 삼국유사 문헌변화의 양상과 변인, (삼국유사 上, 영남대학교), 1983. P. 277.
정남기역, Marc Bloch, Apologie pour I'histoire ou metier d'Historien, 한길사, 1980, P. 45
정종섭, 김창록"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구조의 성격", 『광복50주년 기념논문집』, 한국학술진흥재단, 1995
정진성, "일제시대의 여자근로정신대의 실상, 제1부 일제시대 여성 노동의 착취-여자근로정신대를 중심으로-" 『광복50주년기념논문집』, 한국학술진흥재단, 1995, P. 86
조동걸, "1910년대 독립운동의 변천과 특성, "「한국민족주의의 성립과 독립운동사 연구」, 서울: 지식산업사, 1989, PP. 362∼382.
「조선총독부관보」, 『아시아문화사, 제1권』, 1984∼1988, P. 13
홍금자외역, 조선통치비화, 형설출판사, 1992
Charles Zastrow,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Dorey Press, 1982, P. 13.
旗田魏, 「朝鮮史」, 岩波書店, 1951, P. 8.
遠藤與一, 「植民地支配期의朝鮮社會事業」(1), (明治學院論叢第449號 社會學, 社會福祉學硏究第82號), 1989, P. 108.
吉田久一, 社會事業理論의歷史一粒社, 1981, P. 10
一番ヶ賴康子, 「講座社會福祉2 社會福祉의歷史」, 有斐閣, 1981, P. 2
吉田久一昭和社會事業思史ミネルヴァ書房1971, P. 28
朝鮮社會事業硏究會, 『朝鮮社會事業』, 第6卷 1號- 12號
朝鮮社會事業硏究會, 『朝鮮社會事業』, 第6卷 1號- 12號
星野辰雄, "社會政策及び事業의根基としての社會連帶思想", 『社會事業硏究』第23卷 2號, 1935, P. 22
朝鮮總督府, 『朝鮮事情』, "社會事業"1940PP. 346-3581
酒井利男 "土幕民の朝鮮人の住宅問題" 「社會事業硏究」
花形倉吉, "敎化團體聯合會の沿革と發達", 『朝鮮社會事業』, 第12卷 7號, PP.17-19
愼英弘, 「近代朝鮮社會事業史硏究」, 綠蔭書房, 1984
朝鮮總督府, 『市政25年史』, 1935, P. 948
日本社會事業硏究會編, 『日本社會事業新體制要綱-國民厚生事業大綱』, 常磐書房, 1940, P. 4
岸田到述, "最近に於ける方面事業の動向と今後方面委員の進むべき途"『朝鮮社會事業』 第20卷 7號, 1943, P. 14
堀和生"日本帝國主義의植民地支配史試論朝鮮における本源的蓄積의一側面"『日本史硏究』281號(19861)PP. 67-101
橋川文三外 1篇,「近代日本政治思想史」1, 有斐閣, 1971, PP. 86∼97.
上衫愼吉, "敎育勅語の構成" 「國體憲法及び憲政」, 有斐閣, 1915, P. 83
宮田節子, "內鮮一體. 同和と差別の構造"(季刊三千里第31號(1882. 8), P. 62
朝鮮社會事業協會,『朝鮮社會事業』, 第20卷 1號P. 18
朝鮮鐵道協會, "非農業部門勞動者に關する資料"1928年 調査報告表 參照
朝鮮土木建築協會, 『朝鮮工事用各種勞動者實態調』,1928.
日野春吉, "我皇室朝鮮社會事業發達" 『朝鮮及び滿洲』350, 1937年 1月號, PP. 18-21
勞動科學硏究所,「炭鑛で의半島人勞務者」,1942: 朴景植篇,「在日朝鮮人關係資料集成」, 第5卷, P. 761
飛田雄一·金英達外, "朝鮮人戰時動員に關する基礎硏究,"「靑丘學術論集」,第4輯, 東京: 韓國文化振興財團, 1994.
花形倉吉, "敎化團體聯合會의沿革과發達", 『朝鮮社會事業』, 第12卷 7號, PP.17-19
日野春吉, "我皇室朝鮮社會事業發達" 『朝鮮及び滿洲』350, 1937年 1月號, PP. 18-21
鈴木敬夫, 「法を通した朝鮮植民地支配に關する硏究」, 高大民族文化硏究所出版部, 1989, P. 349.
洪金子, "韓半島における古代社會福祉史考"(日本女子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3.
洪金子, 韓國社會福祉發達史-古代篇-, 螢雪出版社, 1994
洪金子, "各國の社會文化と福祉1.韓國"『21世紀의社會福祉學』ドメス出版, 1994PP. 264-272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07.30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8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