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루트에 있는 재래시장의 관광자원화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재래시장의 관광자원화 관련 사항 고찰
1)재래 시장의 개념과 성격
2)연구지역 재래시장의 변천
3)관광자원화의 개념과 방법

3.연구방법의 설계

4.재래시장의 관광자원화 관련사항 분석

5.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함으로써 재래시장의 관광자원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관광루트로 여행하는 사람이나 잠재이용자들 모두가 재래시장을 방문하는 목적이 고향의 옛 정취를 맛보고, 풍물을 구경하며, 그리고 토산품이나 특산품을 구매하려는 것이 주가 되고 있었고, 풍물구경의 경우에만 기존 여행자와 잠재이용자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연구대상 관광루트 주변의 상설 및 정기 재래시장이 활기를 찾을 것이라고 전망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은 가운데, 이러한 전망은 연구대상 관광루트로 여행하는 여행자나 잠재이용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연령별로는 20대와 30대도 상당히 높았으며, 여행기간별로는 1박2일자가 재래시장이 활기를 찾을 것이라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셋째, 연구대상 관광루트 주변의 유명한 재래시장에 대한 방문의사는 기존 방문자 비율보다 2배이상 높고, 기존 여행자와 잠재이용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이러한 방문의사는 인구사회적 변수와 여행 행태변수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선호하는 재래시장의 조건에 대해서는 기존 여행자나 잠재이용자 모두가 자연발생적 재래시장을 더 선호하고, 5일장을 가장 선호하며, 주변볼거리가 있는 재래시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재래시장 조건세트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볼 때 기존 시가지 내에 있는 자연발생적 5일 시장으로서 주변에 볼거리가 있는 재래시장이 가장 선호되고 있다.
이상에서 보면, 앞으로 연구대상 관광루트 주변의 재래시장이 재래시장에 대한 선호조건을 적절하게 구비한 상태에서 재래시장의 고유성을 지님으로써 고향의 옛 정취를 맛보고, 풍물을 구경하며, 토산품이나 특산품을 구매하는 곳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갖춘다면, 교통여건 변화를 기회인자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높다고 하겠다.
본 연구결과 재래시장의 활성화 관련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풍물도입, 특산품 판매 등 재래시장의 고유성 요소를 구비하여 재래시장이 고향의 옛 정취를 맛볼 수 있게 해야 하겠다. 둘째, 교통여건이 개선되고 주말여행이 활성화되면 재래시장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 지역 관계자들은 이러한 전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겠다.
셋째, 앞으로 이 지역 유명 재래시장에 대한 방문의사도 40% 나 되고 있는데, 이를 현실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재래시장 자체를 관광객들에게 노출시키는 적극적인 홍보가 있어야 하겠다. 넷째, 재래시장 선호조건 세트가 이 지역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시가지 외곽에 있는 자연발생적 5일 시장을 가장 선호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 지역 재래시장의 접근성이 상당히 열악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이 지역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 지역의 재래시장 고유성 요소에 대한 조사, 재래시장의 제반 조건의 실사와 지역주민과 상공인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그리고 지역여건의 분석 등이 따라야 하겠다.
참고문헌
국립민속박물관(1995). 「강원도 시장민속」. pp.42~66.
김희만·박석희(1999). 다여행목적지 선택유형별 특성분석. 『관광학연구』, 23(1): 104~121.
대한상공회의소(1997). 「전국도소매업 총람」.
문화관광부(1999). 「관광진흥 5개년계획」. p.36.
박석희·이미혜(1996). 전통민속 놀이의 관광자원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0(1): 182~184.
설성희(1992). 관광자원으로서의 장터·장날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상옥(1994). 한국 재래 시장의 변천과 유통 근대화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 21(1): 139~141.
이재하(1991). 정기시장의 본질에 대한 연구 성과와 과제. 『경북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 51: 122.
이재하·홍순완(1992). 『한국의 장시』. 민음사.
이토마사미, 박석희 옮김(1995). 『사람들이 모이는 테마파크의 비밀』. 일신사. p.95.
정신문화연구원(1982). 『한국민속자료』. 양서문화사. p.545.
Berg Jr., R.L.(1966). The Impact of Modern Economy on the Traditional Economy in Zoogocho, Oaxaca, Mexico and its Surrounding Area,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36~37.
Bochannan, L. and Bochannan, P.(1968). Tiv Economy, Evanston, Northwestern Univ. Press. p.195.
Bromley, R.J., Symmansky, R. and Good, C.M.(1975). The rationale of Periodic markets. Annals of A.A.G., 65: 530~537.
Jeong, Won il(1997). The Preference for Tourism Resources and Tourist Behavior in Kyongju City. 『관광학연구』, 20(2): 223~240.
Lue, C., Crompton, J.L. and Fesenmair, D.R(1993). Conceptualization of Multi-Destination Pleasure Trip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0: 289~301.
Ryan, Chris(1997). Similar Motivations: Diverse Behaviours. Ryan, Chris. ed. The Tourist Experience. p.25.
Smith, R.H.T.(1980). Periodic Market-Places and Periodic Marketing: Review and Prospect Ⅱ. Progress in Human Geography, 4(1): 11.
1999년 10월 14일 원고접수
1999년 12월 21일 수정본 접수
2000년 3월 24일 최종 수정본 접수
3인 익명심사 畢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08.05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2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