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흥운동의 성격과 결과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의의와 목적
2. 연구의 방법

Ⅱ. 부흥운동의 역사적 배경
1. 시대적 배경
2. 부흥운동의 발단
1). 1903년 원산기도회
2). 1906년 평양 장대현교회 사경회
3). 1907년 사경운동

3. 부흥운동의 경과
1). 평양과 기타 지역의 부흥운동
2). 백만명 구령운동

Ⅲ. 부흥운동의 성격과 결과
1. 새로운 신앙형태의 구형

2. 공동체적 교회와 교세 변화

Ⅳ. 결 론

본문내용

기독교문사, 1976.
김 득 황, 한국 종교사, 해문사, 1963.
김 양 선, 한국 기독교사 연구, 서울: 기독교문사, 1971.
김 응 조, 부흥의 불꽃, 성일인쇄사, 1957.
김 의 환, 기독교회사, 서울: 성광문화사, 1982.
김 정 현, 한국의 첫 선교사,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1982.
김 진 환, 한국교회 부흥운동사, 크리스챤 비전사, 1976.
민 경 배, 한국기독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3.
교회와 민족,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1.
박 완, 실록 한국기독교 100년, 6권 성문출판사, 1971.
방 위 량, 그는 이렇게 믿었다,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1.
백 낙 준, 한국 개신교사,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73.
서 명 원, (Roy E.Shearer), Wildfore: Church Growth in Korea, 이승익역
한국교회성장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6.
양 주 삼, 조선 남감리교회 30년 기념보, 1926.
오 윤 태, 한일 기독교 교류사, 혜선문화사, 1980.
유 동 식, 한국 종교와 기독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5.
이 광 린, 한국교회사 연구, 서울: 일조각, 1969.
개화기 관서지방과 개신교, 한국기독교 문화 연구소편,
한국의 근대화와 기독교, 서울: 숭전대학교출판부, 1983.
이 만 열, 한국 근대 역사학의 이해,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1.
한말 기독교와 민족운동, 서울: 평민사, 1980.
이 만 열 외, 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 서울: 보성, 1986.
이 영 헌, 한국기독교사, 서울: 컨콜디아사, 1983.
이 호 문, 한국기독교 부흥 인물사, 서울: 초석출판사, 1978.
장 성 식, 한국교회의 회고와 전망, 서울: 성광문화사, 1977.
조 승 제, 목회여화(牧會餘話), 서울: 향린사, 1965.
채 기 은, 한국교회사,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83.
코 흐, 한국교회의 어제와 오늘, 서울: 세종문화사, 1970.
한국교회사학회, 조선예수교 장로회사기(상), 한국교회사학회, 1968.
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 기독교의 역사Ⅰ, 서울: 기독교문사, 1991.
김 경 행, 한국교회 부흥운동에 관한 역사적 고찰, 장신대, 1974.
김 기 범, 길선주의 부흥운동, 한신대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83.
심 상 래, 한국교회 성장의 역사적 고찰과 재해석,
장신대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85.
박 노 춘, 1907년 대부흥운동고찰, 총신대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84.
Blair,W.N., Gold in Korea. Topeka: H.M.Ives and Sons, 1957.
The Korean Pentecost and Other Experience on the Mission Field.
New York, 1908.
Gale,James.S., Korea in Transition. 신복용역, 전환기의 조선,
서울: 평민사, 1986.
Martha Huntley, Caring,Growing,Changing: A History of the Protestant Mission
in Korea. 차종순역, 한국 개신교 초기의 선교와 교회성장,
서울: 목양사, 1985.
Mckenzie,F.A. The Tragedy of Korea. London: Hadder & Stoughton,1908.
Rhodes,H.A. & Campbell,A.,
History of the Korean Mission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1884-1936). Seoul: Chosen Mission Presbyterian Church,1934.
사 전 류
기독교문사, 기독교 대백과 사전, 기독교문사, 1980.
류 형 기, 성서사전, 감리교 총리원, 1968.
정 기 간 행 물
곽 선 희, 교회 부흥운동 새생명, 1973. 6. PP.31-36.
교회 연합신보, 제501호 1977. 8. 7.
김 동 수, 부흥운동과 그 부산물 기독교사상, 1965. 4. PP.92-99.
김 소 영, 부흥회의 새방향 모색 복된말씀, 1976. 4. PP. 16.
김 용 복, 한국역사와 메시야 정치 기독교사상, 1978. 8.제22권 PP.41-55.
김 인 서, 영계 선생전 후편 신앙생활, 1936. 5. 1.
김 중 기, 한태동교수 회갑기념 논문집 신학논단, 1983.11. 제16집,
연세대학교출판부.
김 태 복, 교회 부흥과 부흥회 복된말씀, 1976. 4. PP.17-21.
마 경 일, 한국교회와 부흥회 기독교사상, 1961. 9. pp.18-25.
신 용 하, 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 기독교사상,
이 영 헌, 한국교회역사를 결정한 1907년의 대부흥운동
새생명, 1973. 8-9. p. 73.
주 재 용, 한국교회 부흥운동의 사적비판
기독교사상, 1978. 9. pp.62-72.
한 완 석, 부흥회에 대한 소고 (상)복된말씀, 1971. 2-3. p.49.
Baird,W.W., Thd Spirot Aong Pyeng Yang Students. K.M.F. Vol.Ⅲ.1907. May.
Candler, W.C., An Broken Hearted Nation Turning to Christ. (Atlanta Journal,
An eminent opinion). The Korea Revew. Vol.6.No.12.1906.
Lee, G., How the spirit came to Pyeng Yang K.M.F. Vol.Ⅲ. No.3.
1907. March.
Mc Cune,G.S., Opening Day at the Theological Seminary. K.M.F. Vol.Ⅲ.No.6.
1907. June.
한국 개신교 선교 초기의
부흥운동에 관한 연구
指導 차 종 순 敎授
이 논문을 졸업논문으로 제출함.
1992 년 10월 6일
호 남 신 학 대 학 교
라 윤 호
謝 辭
본 논문을 작성함에 있어서 처음부터 끝
까지 친절하게 지도하여 주신 차종순 교수
님께 심심한 사의를 표합니다.
1992년 10월 6일
제출자 라 윤 호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2.10.04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2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