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학정책 다양화의 평가 - 대학입학전형 대학입학제도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분석 설계 및 방법론

III. 분석 결과

IV.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을 해 본다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입학 전 수능 총점/등급은 입학 후 첫 학기 평점 평균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점(
r``=``0.061
), 둘째, 수시1과 수시2의 비수능 전형자 또는 제약적 수능 전형자의 입학 후 평점 평균이 수능 전형자의 평점 평균에 비해 높다는 점(즉, 학생부 성적을 위주로 하여 선발한 학생들의 입학 후 평점 평균이 정시의 수능 등급 및 총점을 위주로 하여 선발한 학생들의 입학 후 평점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 셋째, 인문고 출신과 비인문고 출신간의 평점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점(따라서 교육부에서 권장하고 있는 농어촌 고등학교 출신이나 실업계 출신의 학생들이 대학의 기대만큼 낮지는 않다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교육부의 입학전형방법의 다양화라는 목표는 적어도 대학 현장에서는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분석이 A대학교 한 대학에 한정되었고, 첫 학기의 평점 평균을 다뤘다는 점에서 보다 세밀한 분석은 이들의 전 학년 평점 평균을 다룰 때 보다 일반적인 판단이 내려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학 생활을 하면서 사람이 변화될 수 있는 여지가 남아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입학 후 첫 학기 평점 평균에 대한 분석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부차적으로 밝혀진 것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여학생들의 평점 평균이 남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으며, 표준편차는 낮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학생들의 취업률이 남학생들에 비해 일반적으로 낮은 것을 고려한다면 대학이나 교육부는 이 점에 대해 보다 깊은 배려를 해야 할 것으로 본다. 다른 하나는 입학 전 수능 점수가 높은 학생들이 입학 후 평점 평균이 낮아질 개연성이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에서 이들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학사지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교육부(1995). 「대학입학전형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 보고서. 서울: 교육부.
교육부(1999). 「대입 전형의 다양화 방안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 보고서. 서울: 교육부.
교육인적자원부(2001a). 2003학년도 대학입학전형기본계획. (2001.8.31). http:// www.moe.go.kr. (2002.09.30)
교육인적자원부(2001b).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총점제 폐지 취지와 대학의 수능 적용방식. (2001.12). http://www.moe.go.kr. (2002.09.29)
교육인적자원부(2002). 2003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개선내용 및 신입생 지원·등록에 관한 유의사항. (2002.6.1). 대학지원국 유인물.
박동서(2001). 「한국행정론」. 제5전정판. 서울: 법문사.
백순근 외(1998). 「대학 신입생 선발제도 개선 방안 연구: 대입 전형의 다양화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RRE 98-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성태제(1993). 입시위주의 교육과 과열과외. 「교육학연구」, 31(2): 67-85.
성태제(1998). 2002학년도 대학입학 전형제도의 분석. 「교육진흥」, 11(2): 18-28.
이상주(2002). 학문적 수월성 실현을 위한 대학정책의 방향. <2002년도 하계 대학총장 세미나> 유인물, 2002년 7월 4일. 제주 롯데호텔.
이종승(1998). 대학 입학 제도의 변천 과정과 새 제도의 의의. 「교육진흥」, 11(2): 7-17.
이종재(1998). 대학 입학 전형 제도의 개혁 방안. 「교육진흥」, 11(2): 164-179.
이준형(1998). 「통계분석」. 서울: 대영문화사.
이진재 외(1986). 우리나라 입시제도 변천사. 서울: 중앙교육평가원, 201-251.
Birnbaum, Robert(2000). Management Fads in Higher Education: Where They Come From, What They Do, Why They Fail. San Francisco: Jossey-Bass, A Wiley Company.
Campbell, George, Jr.(2002). Changing Assumptions about Who Can Learn. New Directions for Higher Education, No. 119, Fall.
Duderstadt, James J.(2000). A University for the 21st Century.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Hamburg, M., & Young, P.(1994). Statistical Analysis for Decision Making. Fort Worth: The Dryden Press.
Kerr, Clark(2001). The Uses of the University. With a New Chapter and Prefac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Kleinbaum, D.G., & Kupper, L.L. (1978).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Multivariate Methods. North Scituate, MA: Duxbury Press.
Kolodny, Annette(1998). Failing the Future: A Dean Looks at Higher Educ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Lucas, Christopher J.(1996). Crisis in the Academy: Rethinking Higher Education in America. Griffin: St. Martin's.
Merton, Robert K.(1957).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Glencoe: Free Press.
Wonnacott, T.H., & Wonnacott, R.J.(1990). Introductory Statistics. 5th ed. New York: Wiley & Sons, Inc.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2.10.20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