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복음주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가. 현대 미국의 복음주의
나. 한국의 복음주의

결론

본문내용

울선언'의 내용은, 복음전도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한국복음주의자들의 독자적인 노력이 별로 없을 뿐만 아니라 로잔언약을 수용한 흔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거의 대부분 진보적인 기독교운동을 비판하는데 그 내용을 할애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후 제3차 아시아 선교대회가 1982년 8월 서울에서 열렸으나 한국사회의 정치적 억압 현실(5.18광주민주항쟁)과 민중들의 빈곤에 대한 언급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1980년의 '세계복음화대성회'를 로잔운동의 일환으로 보는 사람도 있으나, 그 내용상 로잔언약의 신학적 정신을 벗어난 부흥주의적 전도운동일 뿐이라고 본다. 그 이유를 이 글은, 한국의 복음주의 지도자들 거의 모두가 처음부터 제1세계의 근본적인 복음주의자들과 연대했고, 그들의 영향권을 벗어날 수가 없었던 데서 찾는다. 결국 한국복음주의 지도자들은 지금까지 '로잔언약'마저도 한국교회에 제대로 소개하지 않았다고 그 책임을 물으며, 한국복음주의운동의 희망을 한국복음주의 청년학생들의 자발적인 운동에서 찾고 있다.(『복음과 상황』 1992.11: 40-43)
. 이와 비슷한 글로, "복음주의운동의 평가와 전망", 『복음과 상황』 1992년 11월호가 있다. 이로 보건대, 『복음과 상황』은 1980년대까지의 한국복음주의 운동을 매우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1990년대의 복음주의 운동은 두레공동체의 김진홍목사와 서울대 손봉호 박사를 중심으로 한 "복음과 상황"이라는, 언뜻 진보적인 기독운동잡지로 보이는 월간 간행물을 만단다. "복음과 상황" 1993년 4월호에는 "변화된 상황과 복음주의 사회선교의 방향"이라는 제목 하에 행해진 복음주의 단체들과 시민운동, 문화운동, 신학연구원들의 좌담이 실려 있다. 1980년대 이후 복음주의 사회선교운동의 활동과 성과를 정리하면서, 향후 김영삼의 문민정부 아래서의 방향을 진단해 보는 자리다. 내용들만을 놓고 볼 때 사용 언어와 사회분석 및 김영삼 정권에 대한 비판에서 여타 진보적인 운동권의 그것과 다를 바 없다. 그렇지만 1990년대 초, 청년들 중심의 한국복음주의 운동의 현주소를 알아 볼 수 있다. 요약컨대, 1980년대 중반 복음주의 사회선교의 시작이 교회가 아닌 학원이었기에 교회내적 운동으로 발전되지 못했다는 점, NCC권과 비교되는 개념으로서의 복음주의권은 없으며, 재야적 성격을 지닌 사회참여 흐름을 대표한다는 점, 기독교 문화운동은 없었고 단지 수단으로만 사용했었다는 점, 또한 문화운동과 사회운동이 단절되어 있다는 점, 운동의 주체로서 교회의 중요성이 부각되어야 한다는 점등이 지적되며 반성되고 있다.
. 『복음과 상황』 1994년 12월호는 복음주의 운동 단체들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기독교청년학생협의회,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기독교학문연구회, 남북나눔운동, 선교한국, 외국인노동자피난처, 전국신학교공동체모임연합회, 학원복음화협의회, 희년선교회 등을 들며, 그들의 94년과 95년의 활동 상황을 소개하고 있다.
결 론
이상으로 미국 복음주의 운동의 역사와 한국 복음주의 운동의 역사를 거칠게나마 고찰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도출되는 몇 가지 점들을 정리한다.
먼저, 한국교회 운동이 지나치게 미국 의존적이라는 점이다. 이 점은 한국교회 역사 연구에서 줄곧 제기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한국교회는 선교사들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선교가 이루어지기 전에 한국인 스스로에 의해 이루어진 성경번역과 매서 또는 권서 활동에 의한 복음전도의 역사가 있다. 그리고 1907년의 신앙대부흥운동을 통해 형성된 한국적인 신앙 양태들이 있으며, 미국은 경험하지 못한 식민지와 분단, 그리고 군사 정권을 경험했고 경험하고 있다. 이런 한국 교회만의 독특한 경험은 한국 주체적인 기독교 운동도 충분히 가능하리라는 희망을 준다. 이것은 통일 한국에서 북측 선교에 유익한 운동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다음으로, 현재의 한국 복음주의가 일관된 운동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것은 <복음과 상황>을 중심으로 충분히 논의되고 있는 점이기도 하다. 복음주의 운동의 일관성에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은 '사회참여'의 구체성 문제이다. 이 문제 앞에서 한국교회는 오합지졸이 되고 만다. 이것 역시 한국교회의 사회-역사적 경험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기독교는 일제 식민지 시기와 해방후 전쟁, 그리고 극악하고 장기적인 독재 정권의 폭악을 거치면서 한국교회 초기의 실천적 기독교 신앙을 잃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문제들은 한국교회사 연구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과제로 남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1.09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3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