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모더니즘과 예술(미학, 영화적 측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랩 음악 속의 포스트모더니즘 미학
책 제목 : 리차드 슈스터만의 《프래그머티스트 미학》
2.포스트 모더니즘과 영화
책 : 포스트 모더니즘과 예술(1991,청하출판사)` 중에서

본문내용

것은 그에 대한 관객의 인지와 참여이다. 과거의 형식과 장르, 다른 텍스트들 간의 관계, 허구와 영화적 사실의 구분, 지배적인 이념과 그에 대한 전복, 이 모든것이 응축된 채로 스스로의 해체와 재구성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이다.
대표적인 예로 '백 투더 퓨쳐 3편'을 보기로 하자. 이 영화에서 주인공 마티 맥플라이는 옛날 서부에 기착한다. 자신을 클린트 이스트우드라고 부르고 결정적인 대결을 위해 큰길로 나서면서 서부영화의 산투적인 것들을 흉내낸다. 여기에 묘사된 영화 장면은 요즈음 상업 영화에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대부분의 특성을 설명해준다.
-----세번째 '백투더 퓨쳐' 시리즈
-----미국 NBC TV 네트워크의 가장 인기있는 시츄에이션 코미디 '가족의 유대'에서 극우파의 기회주의자이며 가장 자본주의적인 영악한 경영학도로 나오는 마이클 J.폭스.
-----스파게티 웨스턴 영화들에서 프로페셔날 총잡이, 그리고 '더티해리'시리즈에서 <내가 곧 법이다>라는 말을 만든 형사로서의 이미지를 굳힌 클린턴 이스트우드.
-----이제는 우주를 중심으로 한 공상 과학물의 원형인 서부극 장르.
-----옛날의 서부라는 상황과 그 속에서 나오는 프론티어 정신과 정의에 대한 향수.
-----시간을 거슬러 가기도 하고 앞서가기도 하는 기계.
모방이라기보다는 무언가 다릉 <연작물.이라는 점은 같은 이야기 구조를 상황만 달리하여 보여주는 장르에 대한 풍자와 함께 더 이상의 새로운 형식의 부재를 의미한다. 로널드 레이건 시대의 이념이 가장 잘 응축되어 있는 텔리비젼 시츄에이션 코미디의 스타인 마이클 J.폭스의 기용은 관객에게 익숙한 그의 퍼소우나(*퍼소우나는 한 배우가 여러 편의 영화등 작품을 통해 쌓아놓은 이미지가 종합되어 나타나는 개성을 의미한다.)를 이용하는 것과 동시에, 미국 사회의 지배젓인 이념의 표상을 쉽게 전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클린트 이스트우드라는 또 다른 퍼소우나는스파게티 웨스턴이라는 장르와 '더티해리' 시리즈 같은 형사물의 영화에서 제시되는 서술 구조를 예측가능하게 하며 보수적인 정의에 입각한 이념을 표상한다. 공상과학 영화와 서부극의 접합은 장르에 대한 반영과 함께 그로 인한 서술에의 예측성, 그리고 그에 대한 유희를 목표로 한다. 서부로 거슬러감은 그 시대와 이념에 대한 향수를 재현하는 동시에 그것을 새로이 테스트 해본다. 타임머신이라는 테크놀러지의 이용은 영화속의 현실과 허구 간의 혼동을 일으키게 한다. 테크놀러지와 인간 혹은 자연의 융합은 인간이라는 개체의 이성과 합리성을 해체하며 인간이 상상할 수 없는 상황의 불가피성을 제시 하기도 한다. 장르의 혼합, 그리하여 명백하게 드러나는 서술 구조의 예측성은 허구 속의 그럴싸함을 감상하게 하기보다는 허구 그 자체에 대한 인지를 즐기게 한다. 그외에도 다양한 특성은 얼마든지 있을 것이다.
또 하나의 예를 뜰어 보자. 유명한 만화를 영화화한 '딕 트레이시'는 완벽한 상호 텍스트성의 유희를 보여준다. 스타들이 기괴하게 얼굴을 분장하면서까지 만화의 인물들로 변해있다. 여기서 영화는 더이상 그럴싸한 현실을 재현하는 매체가 아니다. 만화를 그림의 연속으로써가 아니라 실제의 인물들로써 움직이게 하는 <무빙픽쳐>로 변한 것이다. 비현실적인 세트,인물,조명,제한된 색조의 이용 등은 기존의 영화가 그럴싸함을 추구한 것에 노골적인 경멸감을 보이기도 한다. 명시적으로 비현실성을 드러냄으로써 허구 속의 현실이 아닌 허구 속의 허구를 즐기게 한다. 즉 '딕 트레이시'라는만화의 <완벽한 영화적 재현>은 상호 텍스트성의 막다른 유희와 같다.
위에서 볼 수 있는 상호 텍스트성, 장르의 혼합, 파스티쉬와 패러디, 향수성, 관객의 참여 혹은 관객의 인지도의 이용, 테크놀러지와 인간 혹은 자연의 융합, 매체에 대한 자기 반영성, 그리고 간혹 드러나는 <대서사>의 전복 가능성 등이 상업 영화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징후 들이다. 최근에 이러한 상업 영화들의 예를 들어 보자.
----포스트모던한 록 뮤지션인 데이비드 번이 만든 영화'실화'와 텔리비젼 코미디의 단편 이야기를 영화로 만든 '영구와 땡칠이'에서 위의 모든 특성을 찾아 볼수 있다.
----캐나다의 감독인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일련의 영화들 '비디오드롬','플라이', '데드 링어즈'에서 테크놀러지와 인간의 융합이 어떻게 그려졌는지를 보자. 도한 그러한 융합이 포스트모더니즘에서 말하는 주제의 해체와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보자. 그리고 그러한 표현에서 영화라는 매체에 대한 탐구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보자.
----'에이리언'연작물과 '니키타'에서는 지배적인 여성에 대한 묘사가 어떻게 거부되며, 가부장제도 사회에서의 전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자.
----임권택의 '장군의 아들'이나 쥬세페 토르나토레의'시네마 천국' 그리고 고전적인 장르를 빌어온 최근의 영화들에서 향수의 개념을 어떻게 이용하는지를 보자.
----폴 버호벤의 '토탈리콜'과 니콜라스 로이그의 '트랙 29'등의 영화에서는 현실과 꿈, 허구와 현실의 혼동을 보자.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징후들은 작가들이 독특하고 개성적인 스타일을 상실해가고 있는 부정적인 상황으로, 다시 말하면 예술과 미학의 필연적인 실패, 새로운 것의 실패, 그리고 과거에의 구속으로써 비판받기도 한다. 또한 '백투더 퓨쳐'를 예로 들 수 있는 헐리우드 상업영화의 지배적인 형식 내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들은 전통과 과거의 비판적 해체가 아닌 순응적 회귀에 지나지 않는 <반동적 포스트 모던>영화라고도 비판 받는다. 그러나 최근 영화들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징후가 결코 형식의 <막다른 골목>이 아니라는 것은 영화에서의 모더니즘 경향과 그 맥이 이어져 온 실험 영화나 언더그라운드 영화의 경향, 그리고 그 장르 안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들을 살펴 봄으로써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업 영화에서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주제외 형식 등을 이용하면서 포스트모더니즘이 관객에게 무엇을 요구하는지,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의 풍자가 얼마나 심각하면서도 가벼우며, 영화라는 매체에 세련된 관객이나 그렇지 않은 관객 모두에게 어떠한 호소력을 갖는지를 알 수 있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2.12.12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