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의 사회변동 과정에서 나타난 신앙의 제양태 연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몸 되는 말

1장. 사회 변동에 대한 사회학적인 이론

1절. 사회 변동의 산물로서 종교이론

2절. 사회 변동을 억제하는 종교이론

3절. 사회 변동을 촉진하는 종교이론

2장. 50년대 사회변동에 나타난 신앙 양태

1절. 50년대 한국 사회변동사

2절. 50년대 한국 사회변동에 나타난 신앙 양태

3장. 60년대 근대화 속에 나타난 신앙 양태

1절. 60년대 한국 사회변동사

2절. 60년대 신앙의 양태

4장. 70년대 산업화 속에 나타난 신앙 양태

1절. 70년대 사회변동사

2절. 70년대 신앙의 양태

5장. 80년대 민족통일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신앙 양태

1절. 80년대 사회변동사

2절. 80년대 통일에 대한 기독교의 신앙고백


Ⅲ. 맺는 말

본문내용

을 위한 교회의 실천 과제들로서 평화 통일교육의 실시, 이
산가족 왕래 . 교류. 재결합 , 남북교회의 방문, 세계교회와의 유대
강화, 그리고 1995년 통일의 희년을 선포한다.
한편 제3차 글리온 회의가 1990년 12월 1일 열려 통일의 희년선포와 아울러 선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회의의 논의 사항은 새누리 신문 12월 1일자와 8일자 참조 ) 만남의 과정 속에서 신뢰를 회복하는 가장 평범하면서도 진실된 만남을 통하여 한국 기독 운동의 90년대의 지평을 형성 하였다. 비록 보수적인 교단에서는 문제를 보는 핵심이 반공 이데올로기와 발전 이데올로기라는 환상 속에서 진보 교회를 비판 하고 있지만, 60년대 이후 한국 교회에 나타나고 있는 물신주의와 성장주의에 대한 교회의 새로운 대안으로 한국 민중 가운데 건전한 선교적 비전이 될수 있음을 지적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맺는 말
이상에서와 같이 한국기독교는 사회의 변동 상황 가운데 보수적인 모습으로 한편으로는 진보적인 운동의 전위세력으로 역사에 참여하는 현상을 살펴 보았다. 50 년대 반공 이데올로기 가운데 현실의 문제에 괸심을 가지고 참여를 모색하는 기독 지도자들로, 60년도 4. 19 혁명을 겸험한 이후 한국 현대사 속에서 민족의 현실에 적극적 참여하는 진보적인 기독교와 아울러 신흥 종교의 군상들에 대하여서도 살펴 보았다. 또한 70년대 유신 헌법이라는 민족 운동의 최대 신련기 속에서도 한국 민중 운동을 이끌어온 기독교의 모습과 아울러 양적 성장에 급급해 하면서 한국 사회변동 가운데 오히려 역사를 뒤로 돌려 놓는 보수적인 군상에 대하여서도 각 학자들의 이론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80년대 각 운동이 활발히 진행하는 가운데 부분운동으로 민족 통일 운동을 끊임 없이 추구하여 온 기독교의 모습 또한 찾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기독교의 민족 통일 운동에 대하여 제일 먼저 반박 성명서를 내었던 것은 다름 아닌 보수적인 기독교단 이였다는 사실 속에서 종교의 모호성을 다시 한번 생각 해 볼수 있었다.
60년대 이후 한국 기독교의 급신장은 오히려 한국의 현대사가 그 만큼 불안 하였다는 사실이라는 반증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불안정한 사회 속에서 종교가 단지 소외계층의 박탈감이나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한 기능만을 수행 하면, 종교의 창시자와 함께 역사의 뒷편으로 사라져갔던 역사를 되새겨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당면한 한국 기독교의 문제는 양적인 성장의 문제라기 보다는 한국의 사회변동 과정 중에서 한국 교회가 어떻게 문제를 바라보고 수용하며 변화시켜 나갈 것인가를 진지하게 물어 보아야하는 것이 90년대 한국 기독교 운동의 과제임을 생각 하여 본다
종교가 사회와 유리된 체 존재 할수 없다고 한다면, 당면 문제들을 어떻게 대처를 할것이며, 앞으로 전개될 한국사회의 변동과정 속에서 자기를 어떻게 규정하여 나갈 것인가 ? 라는 문제는 한국 기독교 존립의 문제와도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다고 본다.
성장율 0% 라는 한국기독교의 90년대 오늘의 모습 속에서 절실히 문제를 제기 하여야 한다고 본다.
참고 도서 .................................................................
Baum, G. 종교와 소외, 이원규 역,서울.기서.1983
Berger,P. 종교와 사회, 이양구 역, 서울.종로.1981
Luckmann, T. 보이지 않는 종교, 이원규 역, 서울.기독 교문사.1982
Maduro, O. 사회적 갈등과 종교, 강인철 역, 서울.한신연.1988
O'Dea, T. 종교 사회학 입문, 권규식 역, 서울.대기서.1969
Robertson, R. 종교의 사회학적 이해, 이원규 역, 서울.기서.1988
강만길 외. 한국 현대 사회운동 사전, 서울.열음사.1988
권규식.종교와 사회변동, 서울.형설.1983
권대복. 진보당, 서울, 지양사,1985
기독공보. 1959.12.21
김계호. 종교와 사회변동의 관계성들에 대한 연구,
서울.감리교신대원석사논문,1988
기사연. 진통하는 한국 교회, 서울,기사연,1990
김재준. 역사 참여의 문제와 우리의 현실, 서울.기상.1958
------. 4,19 이후의 한국교회, 서울.기상.1961
------. 기독인의 사회참여, 서울.기상1967
박현채. 민족 경제론, 서울.한길사. 1978
백락청 외. 4월 혁명론, 서울.한길사.1983
서남동 외. 왜 산업선교는 선교의 본령인가, 서울.기상.1979
송건호. 해방전후사 인식 1, 서울. 한길사.1980
------. 한국 그리스도교 운동사, 서울.신학사상. 1984.봄
오경환. 종교 사회학, 서울.서광사.1979
이만열. 한국 기독교와 역사 의식, 서울.지식산업사.1981
이삼열. 평화선교와 통일의 실천, 서울.기상.1990.9
이원규. 한국교회와 사회, 서울.나단.1989
------. 종교의 세속화, 서울. 기서.1987
조승혁. 한국교회와 민중 선교의 인식, 서울.정암사.1986
------. 도시산업선교의 인식, 서울.민중사.1981
조원경. 1960년대 이후 한국 기독교운동에 대한 신학적 반성,
서울.감신대원 석사논문.1985
조향록. 권력과 책임, 서울.기상.1966,5
편집부. 한국 사회변동론, 서울.한울.1990
------. 동향과 전망 2, 서울.태암. 1988
------. 3, 서울.태암. 1988
------. 오늘의 자본주의와 국가, 서울.한길.1988
------. 분단의 현실과 통일 운동, 서울.민중사.1984
------.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기독교, 서울.사회문제 연구원.1982
------. 교회도 하나 나라도 하나, 서울.형상사.1989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 사회변동과 한국의 종교, 서울.정신문화원.1987
한승주. 제 2공화국과 한국 민주주의 , 서울.종로.1983
------. 1950년대 인식, 서울.한길사.1982
현영학. 사랑의 윤리와 사회정의 , 서울.기상.1957,9
홍근수. 남북한 교회의 선교적 과제, 서울.기상. 1989,3
홍현설. 민주정치에 대한 기독교적 비판, 서울.기상.1958,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3.01.0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6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