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동어미화전가>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변화 양상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개가 과정에서 보인 주체적 면모와 한계

3. 가부장적 제도로부터의 해방과 독립된 여성으로의 재기

4. 여성연대주의의 실현 양상

5. 결론

본문내용

특정 계층에 국한하여 여성의 연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이는 이 작품의 백미라고 할 수 있는 화전놀이를 통해 이루어지는 여성의 연대가 계층의 상하나 빈부의 차이를 초월하여 형성된다는 사실과도 직결된다.
<된동어미화전가>는 된동어미의 인생역정을 중심으로 하여 앞 뒤에 화전놀이의 상황을 그려내고 있다. 화전놀이 중간에 한 청춘과부가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자 된동어미가 자신의 삶을 풀어내어 그녀에게 조언을 하고, 그 청춘과부는 된동어미의 말을 듣고 깨달음을 얻어 적극적으로 화전놀이에 참여하게 되었고 그 자리에 모인 다른 여인네들 역시 된동어미의 인생살이에 느낀 바 있어 더욱 신명나게 놀게 되었다는 것이다.
) 된동어미의 인생담이 끝나면서 청춘과부가 깨달음을 얻는 장면과 이후 된동어미가 노래한 후 신명나는 화전놀이판이 이루어지는 장면을 함께 보면 다음과 같다.
"힝쳔졀노 피다거요 싶난여사 우다거요/ 달은매양 발근거요 바람은일상 부다거라
마음만여사 팅평힝면 여사로보고 여사로듯지/ 보고듯고 여사하면 고싶될일 별노읍소
안자우던 쳬츈과부 황연딪각 힝달나셔/ 덴동어미 말드르니 말슴마다 까까오링
이다슈심 풀러다여 이리져리 부쳐보셔 ------ ( 중 략 ) ---------
듸동어미 ------- ------- ------- ------- 노링힝니 우리마암 더욱조의
화젼노름 이좌셕의 힝노링가 조흘시고/ 힝노링도 힝?힝니 우리다시 힝길읍다
구진맘이 읍셔지고 착한맘이 도라오고/ 걱졍근심 읍셔지고 흥체잇게 노라시니
신션노름 뉘가반나 신션노름 한듯힝다/ 신션노름 다를손가 신션노름 이와갓지"
결국 된동어미의 인생역정을 통해 청춘과부는 물론 화전놀이에 참석한 모든 여인들이 하나가 되어 함께 신나게 어울렸다는 것인데, 된동어미의 인생역정의 어떤 부분이 이들로 하여금 이러한 경험을 하게 만든 것일까. 된동어미의 고단한 삶을 각자 나름대로의 자신의 삶과 비교하면서 형성된 공감대만으로는 하나가 되게 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신명나게 놀 수 있게까지 하기는 어려웠으리라 생각된다. 철저한 절망 끝에 생의 만년에 이르러 체득한 된동어미의 독립된 여성으로서 올곧게 선 모습 속에 모든 여인네들이 감명을 받고, 스스로도 마찬가지 독립적인 존재임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화전놀이에 참여했기에 더욱 신명나는 놀이판이 되었을 것이다. 이 놀이판에는 더 이상 누구의 아내도 없고, 누구의 어머니도 없이 그저 여성들만이 존재할 뿐이며, 된동어미의 의식 변화는 된동어미의 삶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여성연대의 분위기 속에 다른 여성들의 삶에까지 영향을 끼치게 된 것이다.
5. 결론
이 글은 그간 사회적 계층적 시각을 중심으로 연구되던 <된동어미화전가>를 철저히 여성적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된동어미는 굴곡 많은 삶을 거치면서 가부장제의 울타리를 벗어나 독립적인 인격체로서 자신의 위상을 정립하는 여성의식의 발전을 경험했음을 알 수 있었고, 더불어 고단한 삶 속에서 된동어미와 당대 여성들 사이에서 맺어진 여성연대의 흐름도 포착해낼 수 있었다. 조선시대 말기 중인층에서 하층빈민으로의 계층적 하강을 경험한 된동어미의 일생이 계속되는 불행으로 점철되는 것은 기존 연구에서 지적했듯이 당시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하층에게 가해지는 벗어날 수 없는 빈곤의 악순환에 그 원인을 둘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각으로 작품을 볼 경우 <된동어미화전가>는 당시의 사회상을 사실적으로 투영했다는 점에서는 일정한 가치를 가지면서도 사회적 필연적 연결고리 없이 자연적, 우연적으로 일어나는 재해로 인한 상부를 불행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는 한계를 지적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와 같이 여성적 시각을 택해 작품을 바라보면 된동어미의 삶은 또 다른 의미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된동어미는 일생동안 나름대로의 주체성을 가지고 닥쳐오는 불행에 대처해 나갔으나 결정적으로 그 시대 여성이 공유한 한계라고 할 수 있는 가부장제의 틀을 깨지는 못했다. 그러나 삶의 막바지에 이르러 남편-아들-친정이라는 가부장제의 주요 영역이 모두 소멸되거나 손상되는 처절한 고통을 통해 그 틀을 깨고 나올 수 있었고, 그 후로는 정신적 달관의 경지로 생각될 정도의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있었다. 이 작품이 창작된 것이 20세기 초엽으로 이미 중세가 해체되고 근대로의 발돋움이 시작된 시기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된동어미의 의식 변화는 당시대 여성들보다 앞선 감은 있지만 분명 가능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의식 변화는 교육이나 지식의 습득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고통과 극복의 과정을 치열하게 치룬 여성에게만 인내의 열매처럼 얻어지는 것이기에 상층여성이 아닌 하층여성에게서 먼저 시작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작품의 막바지에서 나타나듯 여성연대의 장을 통해 전파될 수 있었을 것이다. 단 하층여성 사이에 이루어지는 만큼 그 의식의 변화가 논리적으로 그들 내부에 정립될 수 있었는지는 의문이나 실천의 가능성은 어느 경우보다 컸으리라 추측된다.
참고문헌
김문기,서민가사연구,형설출판사,1983.
유탁일,"화전가(덴동어미의 비극적 일생)의 서사구조",석하권영철박사회갑기념 국문학논총, 효성여대출판부,1988.
고혜경,"가사에 나타난 조선말기 하층민의 삶과 의식",한국고전문학연구회 월례발표회,1988.
김유경,"서사가사연구",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88.
서영숙,여성가사연구,집문당,1996.
유해춘,"화전가(경북대본)의 구조와 의미",어문학 51,한국어문학회,1990.
정흥모,"<덴동어미화전가>의 세계인식과 조선후기 몰락 하층민의 한 양상",어문논집 30,
고려대 국어국문학연구회,1991.
김종철,"운명의 얼굴과 신명-<된동어미화전가>-",한국고전시가작품론2,백영정병욱선생10주
기추모논문집,1992.
박혜숙,"여성문학의 시각에서 본 <덴동어미화전가>",인제논총 8,인제대학교,1992.
장정수,"서사가사 특성연구",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89.
조동일,한국문학통사 3,지식산업사 3판,1994.
<영문제목> A Study on Female Consciousness in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01.22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0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