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형이의어의 구별을 위한 한글한정어 사용에 관한 연구 : 색인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지금까지의 동형이의어 구별방법

3 한정어 사용방법의 새로운 제안
3.1 한글한정어의 타당성
3.2 기입어 및 한정어의 형식
3.3 한정어의 사용범위
3.4 한정어의 사용원칙

4 한글한정어의 확대 응용

5 제안 방법의 문제점

6 결론

본문내용

(뿌리다) [간장 / 소금을 치다]
치다(소리내다) [소리를 치다]
치다(썰다) [무채를 치다]
치다(쏠리다) [솜이 한쪽으로 치다]
치다(운동하다) [공 / 테니스 / 탁구를 치다]
치다(저지르다) [사고를 치다]
치다(짓이기다) [떡을 치다]
치다(청소하다) [눈 / 마당 / 우물 / 외양간 / 딸을 치다]
치다(치이다) [차에 치다 / 덫에 토끼가 치다]
치다(파내다) [도랑을 치다]
치다(펴다) [그물을 치다]
치다(흔들다) [꼬리 / 날개를 치다]
한정어를 채용하고 있는 영어사전의 예를 보면 그림 2와 같다(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이 사전에서는 안내어(guide word)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림 2에서 기입어와 안내어만을 뽑아 수록된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다. 안내어의 형이 명사, 명사구, 동사, 동사구, 전치사, 전치사구, 형용사 등 다양하다는 것과 배열순서가 일정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ead (control)
lead (show away)
lead (direction)
lead (in front)
lead (influence)
lead (metal)
lead (pencil)
lead (live)
lead (animal)
lead (electrical)
둘째, 전거파일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전거파일에서는 기입어를 유일하게 식별하여야 하므로 한정어 적용의 기본논리는 같다. 이름전거, 통일서명전거, 주제명전거가 있으며, 이름전거에는 개인명, 단체명, 회의명, 지명이 포함된다. 이 중 책명과 인명의 가상적인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다만 동양인명인 경우에는 특수하게 한자를 한정어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책명인 경우에는 필요하다면 저자명, 출판지, 출판년, 기타 다른 한정어를 추가하여 구별할 수도 있다.
김대중(교수) [金大中] 생년월일
김대중(정치가) [金大中] 생년월일
김대중(정치가: 언론가) [金大中] 생년월일
아베마리아(구노)
아베마리아(슈베르트)
아베마리아(베르디)
그림 2 안내어로 동형이의어를 구별하고 있는 사전의 예
5 제안 방법의 문제점
이상으로 제안한 방법은 동형이의어가 발생하는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을 채용하는 데 논란이 될 수 있는 두 가지 문제가 있다.
하나는, 부여하는 한정어의 형식에 일관성과 논리성이 약하다는 데 있다. 어떤 일군의 동형이의어에 대해 부여한 한정어는 색인자마다 다를 수 있다. 왜냐하면 대상 개념이 개인의 배경에 따라 '이해'의 정도가 달라 대응되는 한정어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념표현의 다양성으로 인한 일관성과 논리성의 결여는 모든 자연언어가 갖는 본질적인 문제이며 이를 완벽하게 해결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다만 일관성과 논리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원칙을 찾는 데 힘을 쏟아야 할 것이며, 본고에서 논한 원칙을 채용한다면 적어도 개별적인 사전 내에서는 이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는, 인간의 지적 노력이 많이 든다는 점이다. 자동색인법이 발전하고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시점에서 색인시 동형이어의가 발생할 때마다 이를 식별하기 위한 한정어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힘드는 일이다. 또한 한정어로 모든 동형이의어를 구별한 사전을 미리 완벽하게 준비한다는 것도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정확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효율성 있게 제공할 수만 있다면 힘이 들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해야 하는 일일 것이다. 관리자 측면이 아니라 이용자 측면에서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글한정어를 사용하여 구별한 사전을 한 번만 만들면 모든 기관과 시스템이 이 사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동색인시스템에서도 문맥에 의해 다의성이 해결된 해당 기입어를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기존 사전을 자동색인시스템이 이용함으로써 색인시 개별적으로 한정어를 결정해야 할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6 결론
색인의 세계에서 한정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동형이의어를 구별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통제어휘사전에서 한정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한정어로 한글, 한자, 영문 등을 혼용하고 있으며 그 사용기준이 불분명한 실정이다. 장차 어휘사전에 포함되는 분야가 확대되고 수록용어가 늘어나게 되면 동형이의어의 구별이 어렵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형이의어가 있는 경우에 색인자와 일반 탐색자가 이들을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새로운 한글한정어와 복합한정어의 사용에 대하여 현재 구축하고 있는 시소러스를 중심으로 논함과 아울러 시소러스 이외의 사전에서의 확대적용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정보서비스의 대상이 일차적으로 당해 언어권의 일반 이용자라는 점에서 보면, 특정 언어권에서 생산된 시소러스에 자국어를 주된 표현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고 기본적인 작업이다. 그러나 한글한정어 및 복합한정어의 형식은 표목의 문제와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으므로 본고에서 제안한 방법에도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정어를 보다 일반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규칙성, 일관성 및 객관성을 찾으려고 노력은 하였으나 다양한 동형이의어의 유형과 한정어의 형식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방과학연구소(1994). 「국방과학기술시소러스」. 대전: 국방과학연구소.
이재철(1961). 「주제명표목표」. 서울: 연세대학교.
한국경제신문사(1993). 「경제신문 시소러스」.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한국통신연구개발원(1995). 「시소러스」.
한글학회(1991). 「우리말큰사전」. 서울: 어문각.
Cambridge University Press(1995). Cambridge Internatinal Dictionary of English.
ISO/DIS 999-1993: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Guidelines for the Content, Organization and Presentation of Indexes.
Library of Congress(1992).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15th ed.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3.03.07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