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흐름을 통해 바라본 경제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고대에서 중세까지
1. 고대의 경제
2. 그리스 로마의 경제학
3. 봉건제도와 교부학파
4. 중상주의
5. 중농주의

Ⅲ. 고전학파
1. 스미스(Adam Smith)
2. 맬서스(Thomas R. Malthus)
3. 리카도(David R. Ricardo)

Ⅳ.역사학파와 사회주의 경제학
1.역사학파
2.마르크스(Karl Marx)와 사회주의 경제학

Ⅴ.근대경제학
1. 한계효용학파
2. 신고전학파
3. 제도학파와 스톡홀름학파

Ⅵ.현대경제학1
1. 케인즈(John Maynard Keynes)
2. 케인즈 학파

Ⅶ.현대경제학2
1.통화주의학파
2.합리적 기대가설
3.공급중시경제학

Ⅷ. 새 경제학의 모색

본문내용

아 이론이 현실을 묘사하는데는 일정한 근시점까지밖에 가지 못한다고 주장하였다.
Leonard Silk, op. cit., pp. 27∼28
Ⅶ.현대경제학2
1920년대 후기 발생한 경제대공황은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당시의 경제침체를 극복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경제현상은 이율배반적인 스태그플레이션의 현상으로 케인즈의 이론은 더 이상 어떠한 해답도 제시할 수가 없었다. 이처럼 케인즈의 이론은 지나치게 인위적인 안정과 균형의 유지에 집착한 나머지 생산성과 임금수준의 괴리를 초래했으며 고용을 보장하려는 정부의 집념은 경제전체의 생산성을 하락시키게 되어 위험함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케인즈이론에 대한 비판이 심화되고 새로운 경제학을 추구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통화주의학파, 합리적 기대가설, 그리고 공급중시경제학이다.
1.통화주의학파
1940년대와 1950년대 그리고 1960년대를 통해 케인즈 경제학은 주류경제학에 통합되었으나, 소수의 경제학자들은 케인즈 경제학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경제에 영향을 주기를 위해 조세와 정부지출을 조정하는 정부의 재정정책에 반대하는 데 그들의 주장을 결집하였다. 이들의 선도적인 지도자들을 밀튼 프리드만(Milton Friedman)과 그의 동료들이었으며, 그들은 '시카고학파'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통화주의자'학파라는 경제사상을 구축하였다.
1)화폐수량설
통화공급 규모의 변화는 물가수준을 변화시킨다. 통화공급이 늘어나면, 사람들이 지출할 수 있는 화폐가 늘어난다. 따라서 그들은 물건의 구입을 늘리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곧 부족이 발생하게 된다. 사람들은 비록 돈을 가지고 있으나, 그들이 구입하기를 원하는 물건을 발견할 수 없다. 따라서 , 그들은 그들이 원하는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서 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하기 시작한다. 물가는 오르기 시작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화폐의 공급규모는 언제 어디서나 물가수준을 변화시키는 요인이다.
2)주요이론
통화주의자들은 신고전학파 경제학이야말로 우리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만약 통화공급이 적절히 조절되면, 지출과 물가와 고용은 자동적으로 조절될 것이며 따라서 경제는 잘 풀려 갈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정부의 유일한 경제정책은 통화공급의 규모와 그 증가률을 조정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통화주의자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의 단기적인 변동 즉 인플레이션과 실업 등과 같은 것은 자연적인 시장의 힘이 적절한 시기에 치유할 수 있는 단기적인 조건에 지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2.합리적 기대가설
합리적 기대가설은 19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현상을 케인즈의 경제이론이 해명할 수 없어 이에 대한 돌파구로서 등장하게 되었다. 합리적 기대가설은 경제예측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 연구함으로써 케인즈 경제학을 부정하고 통화공급관리의 중시, 정부의 재정정책과 시장개입의 폐기, 자유시장 기능의 극대화 등 적극적인 이론으로 거시경제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였다.
1)무스(John F. Muth)의 합리적 기대가설
무스는 기대란 각종의 정보를 총합한 예측이기 때문에 그것은 당면 문제와 관련된 경제모델에 의한 예측과 같은 것이라 말하고 있다.
John F. Muth, "Ration'Expectations and the Theory of Price Movement." Econometrica 29, 1961, pp. 315∼316.
미래에 대한 경제주체의 기대는 타당한 경제이론에 근거한 에측과 일치해야 한다. 그리고 경제주체들의 기대는 그들의 경제행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경제모형과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합리적 기대가설은 포괄적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예측한 기대가 실제치와 일치할 경우 그 기대는 합리적이고, 미래의 기대는 경제모형과 상호의존적으로 형성되어야 하고 경제상황의 변화가 미래의 기대형성에 반영되어 그 경제모형과 일관성을 지녀야 한다. 또한 합리적기대는 효용극대화와 이윤극대화를 만족시키는 미시경제적 기반 위에 서 형성되고 경제주체가 미래를 예측하는데 필요한 정보수집에는 기대하는 변수의 정보뿐만 아니라 그 변수와 관련된 다른 변수에 관한 정보도 포함되어야 한다.
3.공급중시경제학
공급중시경제학은 1970년대 이후 장기적으로 구조적 침체국면에 처한 미국의 경제를 부활시키기 우해 생산성의 증대와 공급측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80년 미대통령선거에 사용됨에 따라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면서 등장하게 되었다.
1) 특성
공급중시경제학은 아직 확고한 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학자에 따라서 정의가 다르다.
서봉식(역), op. cit., pp. 107∼110
하지만 공급중시경제학에 대한 정의에서 몇 가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공급중시경제학은 근로의욕을 높이고, 자본투자를 유발하기 위해 조세를 감면하고, 정부지출을 낮추고 민간투자를 위한 재정적 지위를 제공한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공급중시경제학은 생산성의 장기적인 저하와 투자의 감퇴가 인풀레이션의 기본원인이며, 그것이 미국경제가 직면한 최대의 위기라고 보고 공급과 세제측면에서 새로운 관심을 갖게 되었다.
Ⅷ. 새 경제학의 모색
현대 경제학의 위기는 무엇보다도 경제현상이 급변한 데 기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인플레이션이다. 인플레이션은 정부의 예산규모의 급격한 팽창, 대기업과 대노조의 묵계에 의한 제도화, 정부의 규제 그리고 자원의 문제 등에 의해 야기된다. 현대경제학이 위기에 봉착하게 된 것은 인플레이션을 해결할 수 없게 된 데서 비롯되었던 만큼 이것은 현대 경제학의 가장 큰 과제이다. 이러한 과제는 기존경제학들이 해결할 수 없었던 이유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경제학을 정립해야 하는 시점에 왔다. 그리기 위해서는 기존의 가치관의 새로운 정립과 새로운 경제혁명이 필요한 것 같다.
참 고 문 헌
경제학사, 경제혁명의 구조적 분석, 주명건, 박영사, 1993
경제학은 살아있는가?, 역사의 창을 통해 본 경제학, Elbert. V. Borden, 태진출판사, 1992
현대경제학 원론, 김대식외 2명 고저, 박영사, 1997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03.18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7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