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의 효시에 대한 문제 제기와 한국영화사에 대한 소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의리적 구투`는 영화예술이 아니다.

2.한국영화의 개념정의

3.한국영화의 발달

4.한국의 현대영화 (춘향전~서편제)

결론

본문내용

과 안이한 제작태도로 예술성도 잃어갔다.
70년대 말에는 유현목의 《장마》(79)가 돋보였고 동시녹음영화가 출현하였다. 80년대에 접어들면서 임권택(林權澤)의 《만다라》(81)와 이두용(李斗鏞)의 《피막(避幕)》(81) 등 한국적 소재의 작품들이 국제적으로 호평받았다.
이어 80년대 중반을 계기로 젊은 감독들의 작품활동이 활발하여 외국비평가들로부터 ‘한국의 새로운 물결(The Korean New Wave)’이 일고 있다는 평을 들었다. 즉 박광수 감독의 《칠수와 만수》, 이명세의 《첫사랑》, 장선우의 《우묵배미의 사랑》 등이 그것이다. 80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은 한국영화의 중흥기로서 각종 세계영화제에서 수상기록을 남겼는데, 89년 로카르노국제영화제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배용균 감독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을 비롯, 임권택 감독의 《씨받이》 《아제아제바라아제》 《아다다》는 각각 베네치아국제영화제, 모스크바국제영화제, 몬트리올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한편 93년 《서편제》는 관객 100만을 돌파하는 신기록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국영화 예술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제작과 흥행, 그리고 배급을 위한 질서가 갖추어져야 컬러 텔레비전과 스포츠 붐, 그리고 다양해진 레저 붐의 틈바구니에서 영화는 소생할 것이다. 따라서 점차 감소 되어가는 관객 속에서 어떻게 제2의 기회를 모색하느냐 하는 문제가 한국영화의 과제인 셈이다.
결론
그렇다면 한국영화의 효시로서 새로운 작품의 거명은 연쇄극이 아닌 순수한 영화예술을 목적으로 제작한 영화 중에서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적인 내용을 한국인이 투자해서 한국인 스탭이 만들어낸 영화를 논해야 한다면, 게다가 일제 식민지하에서 우리의 민족적 입장을 고려한다면, 한국영화의 효시는 1924년 이필우가 만든『제1회 전국여자정구대회』로 지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국영화의 날>은 1924년 단성사에서『장화홍련전』이 조선의 관객들에게 개봉된 9월 5일자로 지정해야 한다. 그 이유는 <한국영화의 효시>는 비공개 작품일지라도 한국영화 탄생이라는 차원에서 지정하는 것이고 <한국영화의 날>은 극장에서 관객이 영화를 만난다는 관점에서 공개된 영화를 전제조건으로 해야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두산대백과사전
http://www.cineseoul.com
http://www.kfai.co.kr
http://www.kfds.org
http://www.cine21.co.kr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04.08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2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