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 윤선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들어가며

제 2 장 송강 정철
1. 송강의 시대와 생애
2. 송강의 문학
2.1. 유교 사상
2.1.1 충의 사상
2.1.2 효제
2.2. 불교 사상
2.3. 도가 사상
3. 작품에 나타난 성격 및 특질
3.1. 비판적 현실 인식
3.1.1 현실인식의 사실성
3.1.2 비판·고발의 풍자성
3.1.3 고뇌 · 갈등의 자의식
3.2 송강의 민족주체의식

제 3 장 고산 윤선도
1. 윤선도의 생애
2. 윤선도의 시가
2.1 국문시가
2.2 한시문
3. 윤선도의 사상
3.1 윤선도의 자연관
3.1.1 풍류로서의 자연
3.1.2 벗으로서의 자연
3.1.3 물아일체로서의 자연
3.2 윤선도와 유교사상
3.2.1 충군연주

본문내용

이 표상되어 있는 주제의식이며 그가 남긴 많은 문장들의 중심 내용이기도 하다. 정의롭지 못한 염량세태에 영합하기를 거부하고 고집스럽도록 타협을 모른 그의 행동규범은 필부들로서 감히 흉내낼 수 없는 고귀한 것이었다.
고전문학 사상연구는 유교사상·불교사상·도교사상·무격사상·실학사상 면에서 해야 할 것이나, 송강의 문학사상 연구는 유·불·도, 동양 3대 사상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정철 작품에 나타난 성격 및 특질'에서는 주로 신용대의 논문을 참고로 하였다. 이 외에 정철에 시조에 대한 특질을 논의한 것이 더 있는데, 내용들이 중복되었다. 이 중에서 비판적 현실인식에 대해서는 정철의 생애와 그의 인품과도 잘 연관되어 설명이 된 것 같다. 그러나, 민족주체의식에 대한 부분은 좀 더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물론, 그가 다른 양반들보다 한글을 많이 사용했지만 그것을 바로 민족주체의식과 연결한다는 것이,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점이 많은 것 같다.
송강은 단가도 많이 짓기는 하였으나 그 소장은 단가보다는 장편에 있다. 두 미인곡이며 관동별곡과 같은 것은 222구, 228구나 되는 장편이면서도 字字 句句에 그 정력과 공정이 들어보이지마는 겨우 78구에 지나지 못하는 단가에 있어서는 더러 날리고 실상 회심의 작으로 볼건 몇몇 수가 아니된다. 그러하여 그 내용으로나 형식으로 具格하여 된 것이 적고 畸形인 것이 많다. 워낙 송강의 작은 그 색채보다도 그 선이 勝하여 그리 풍성하고 화려하지는 않는 바에 더구나 이 기형임이랴. 그러나 우리 시가사에 있어 그 어느 한 부분으로는 송강보다 더 날이가 있을는지 모르되 단가와 장편을 통하여 본다면 그만한 이가 또 있을까. 만약 송강과 같은 才分과 노력을 더욱 그 詩道에 전념하였더라면 더 좋은, 더 많은 작품을 남겼을 것이 아닌가. 그 몇 편, 그 몇 수로도 그와 같은 큰 영향을 끼치고 그 暗黑하던 시대에도 한 줄기 광명을 이어오던 것이 아닌가. 송강은 우리의 한 은인이고 그 가사는 한 重寶이다
그러하므로 송강 문학의 꽃은 역시 가사라고 말하는 것은 결코 그르지 않을 것이다.
그가 정극인의 「상춘곡」으로부터 비롯된 가사문학을 완성, 조선 시대의 대표적 문학의 한 장르로 올려놓았을 뿐더러, 가사문학의 특징이었던 자연의 예찬도 그에 이르러 비로소 만개했다. 가사문학의 가장 큰 공로를 자연의 발견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어쩌면 이는 송강의 덕일는지도 모른다.
윤선도의 생애에는 숱한 시련과 갈등으로 엮어진 일면이 있다. 입신의 꿈을 실현하던 출사와 좌절의 수렁으로 쫓겨나던 유배라는 상반된 상황에서, 무려 3차에 걸친 14년여의 귀양살이와 본의 아닌 退官은 그에게 뼈저린 시련을 안겨주었다. 때문에 유배와 퇴관의 쓰라린 아픔을 깔고 있는 많은 한시를 비롯하여 「견회요」「몽천요」등의 시조는 모두 내면세계의 절실한 욕구에서의 意形象化라는 점에서 결코 과소평가할 것이 못된다.
그러나 윤선도의 시에는 자연과의 친화에서 지어진 것이 이보다 훨씬 많다. 흔히 자연시인이라 하고 자연과의 관계에서 物我一體니 自然隨順이라 함은 자연애의 취향이 남다른 그의 자연관 때문이다. 따라서 그에게 자연의 시가 많은 것은 泉石을 사랑하던 사람에게서 흔히 보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런데 윤선도의 對自然의 태도에는 이와 다른 또 한 면이 있음을 특기할 수 있다. 단순한 몰입이나 수순의 대상이 아니라 이상적 삶의 공간 확보로서 추구하던 造形自然의 형성이다. 자연에 순응하는 삶이 아니라 자신의 관념 속에 자연을 끌어당기고 조작한다고 함은 이 같은 경향을 지적한 말이다.
) 鄭炳憲, 「고산 국문시가의 변모양상」, 『고산연구』2호, 260쪽.
자연을 재구성하기 위해 윤선도는 원림 경영을 하기도 했는데, 그러한 생활배경에서 그만의 특별한 작품이 탄생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그의 시조에 대해 다음의 몇 가지 특색적인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즉 고시조는 대개 시제없이 지어진 것이 많은데, 윤선도의 경우는 이와 달리 모든 작품에 작가적 안목을 보인 주제적 제목이 붙어 있다. 이는 대부분 소주제의 시형을 바탕으로 하여 대주제의 시로 종합하는 연작형태의 구성을 취한 것이 특색이다. 「어부사시사」가 가사적 장형으로 확대된 까닭은 이러한 연작성 때문이다. 그리고 그의 시조는 기교면에서 탁월하고, 특히 「오우가」는 天·地·人의 三元世界에 대비되는 우주의 上·中·下 三層空間에서 관심있는 자연을 순차적으로 택하여 치밀한 作詩構圖로 형상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어부사시사」역시 시적 구성이 유기적으로 구조화된 것이라 함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때문에 그의 시는 즉흥이라기보다 주로 作興에 의한 계작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아울러 그의 시조를 흔히 생활과 밀착되었다는니, 또는 일상적이고 평범함 속에 아름다움을 찾는 경지라 한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윤선도의 작가적 능력과 그의 문학성에 감명을 느낄 수 있으며, 국문학사상 그의 위치를 높이 평가하는 것이다. 특히 근 70년 동안에 끊임없이 시작을 계속했다는 점도 문학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존경의 마음을 감출 수 없는 이유이다.
참고문헌
한국시조학회,「고시조작가론」,백산출판사, 1986
박올수,「한국문학전집 시조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5
이상원,「17세기 시조사의 구도」, 월인, 2000
원용문,「윤선도 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89
상욱, 「고산 윤선도 문학의 자연관과 시간관 연구」, 동국대학교, 2002
정영산,「시조문학에 투영된 자연관」, 순천향대학교, 2001
최미수,「고산 윤선도 시조에 나타난 사상성 연구」, 순천향대학교, 2001
김수정,「고산 윤선도 시조에 나타난 자연관 연구」, 1999
장덕순, 「한국 고전문학의 이해」, 박이정, 199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94.
신경림·이은봉·조규익 편저, 「송강 문학 연구」, 국학자료원, 1993.
김갑기, 「송강 정철의 시문학」, 이화문화출판사, 1997.
신용대,《충북대인문학지》정철 시조의 비판적 현실인식, 충북대학교, 1990,
김전웅, 「정철시조연구」, 한국교원대, 1992
김성범, 「송강시조연구 - 주로 풍류성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1983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3.10.3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96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