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학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송학이 발생한 사회적 배경
2) 북송에서 발생한 유학
3) 남송의 주자학

3. 맺는말

본문내용

것으로 된다. 즉 기에는 음양정조에 차별이 있어서, 바로 이것이 만물이 가진 여러가지 대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해서 우주의 만물은 이기이원의 결합에서 생겨 육성되는 것이다.
「理氣에 의한 인간관 윤리설-格物窮理」
주자의 인간관 및 그로부터 생긴 윤리설은, 정이천의 방향에 충실히 따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이천에 의하면, 만물속에는 理가 내재하는데, 특히 인간 내에 있는 이를 성'이라 부른다. 그 성은 이의 다른 이름이다. 그러나 인간은 신체를 가진 존재이므로 그 성은 이와함께 기의 요소도 포함하는 것이다. 거기에서 정이천은 현실 인간의 성을 이로서의 성, 즉 본연의 성'과 기의 요소를 가진 기질의 성'으로 구분 하였다. 본연의 성은 순수한 천리이지만 기는 음양이나 청조청탁을 가진 것이므로, 기질의 성도 자연적으로 차이를 낳지 않을 수 없다.
그것만이 아니고, 본연의 성은 정지의 상태에 있기 때문에 외물과 접촉할 수 없지만 ,기질의 성은 움직여서 외물과 교섭을 가지는 것이므로 그로부터 불가피하게 정 내지 인욕이 생기게 된다. 이 것을 그대로 방임하면 본연의 성과 기질의 성과의 차이는 크게되고 인간은 그 본래의 형태를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거기에서 기질의 성을 어떻게 해서 본연의 성에 접근시킬 것인가 하는 실천적인 방법이 문제로 된다. 이 방법에는 주관적이 것과 객관적이 것과의 두 가지 방향이 있다. 주관적인 방법에는 내적 생활에 의한 것이디. 기질의 성은 외물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정이나 욕심을 낳는 것이므로 이것을 가능한 한 본연의 성, 즉 이의 정지상태에 가깝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주염계는 주정을 역설하고 있는데, 정이천은 그것이 노장사상이나 선학의, 허적'에 빠질 위험성이 있을까 두려워서, 보다 유교적인 경'의말을 사용한다. 또 이것을 주일무적'이라고도 하였다. 모두 그대로 주자에 의해서 답습되고 있다.
또 하나의 객관적인 방법으로는 격물치지'또는 격물궁리'라 불리우는 것이 있다. 이것은 대학'의 치지격물'이라는 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인간의 안에 있는 이 본연의 성은 그대로 완전한 것이고 천리 그대로여야 하지만, 그러나 현실 인간의 성은 동시에 기질의 성을 포함하여 불완전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 불완전한 성을 완전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내성적이고 주관적인 방법에 의한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일단 나의 밖으로 빠져나와 밖에 있는 이를 궁구하는 것이야말로 오히려 내안에 있는 이를 정확히 아는데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닐까 왜냐하면 나의 이도 외물의 이도, 이인 것에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나의 니는 인간욕심의 私에 빠져있기 때문에 알기어렵다. 울론 밖의 세계에 있는 일사일물의 이를 확실히 하는 쪽이 용이하고 확실하다. 외부 사물의 이를 아는 것은 곧 그대로 내안에 있는 이를 아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로지 내안에 틀어박히 고자 하는 노장철학이나 선학의 주관주의 벽을 깨부수고 외부 인륜의 세계, 정치의 세계의 통로를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그것은 또 본래의 유학의 정신으로 돌아가는 것이기도 하다.이상은 모두 정이천의 사상이고 주자는 이것을 충실히 계승하여 단지 이것을 정밀 상세하게 하는데에 그쳤다.다만,주자가 정이천과 다른 가장 큰 차이는 정이천이 격물궁리를 제창하면서도 그 실천적 모습을 거의 남기지 않은 것에 반해서,주자는 이것을 최대의 규모로 실현한 점이다. 정이천은 문인이 기록한 어록을 제외하고서 저서로 전해지는 것은 이천역전'중 일부일 뿐이지만, 주자는 사서오경'의 거의 절반에 걸쳐 주해를 하여, 유교경전에 철학적인 체계를 부여하는 대사업을 수행하였다. 주자학이 신유학으로서 확립되어 왕조지배의 이데올로기로서의 지위를 점하게 된 것은 여기에 최대의 이유가 있다고 할 수 있다.
3. 맺는말
이와 같이 송대의 사대부들은 경론을 새로이 연구하고 도의의 근원을 수립하여 불,도교의 이론에 도전하고 이민족에 의한 국취 국난을 국복아려고 하였다. 여기에서 송학은 종래의 훈고적 학풍과 治術위주의 逕學 중심에서 우주생성의 이치와 인간의 본성을 벌히고 또 유학의 실천적 과제로서 대의명분과 군신 부자의 관례를 밝히는 이론을 내세웠으므로 국가의 보호를 받아 송 독재군주체제를 유지 옹호하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선 일본 베트남에까지 전파되어 깊은 영향을 미쳤다.
참고자료:「중국사서설」 저자:조용국 출판사:?
「중국사상사」 저자:임병덕 출판사:온누리
「주자의 (심성론)에 대한 연구(1) 저자:채봉식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11.05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08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