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의 성리학 사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황의 성리학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한국성리학의 전개
(1) 성리학의 정의
(2) 성리학의 수용
2. 성리학의 발달
(1) 성리학의 두 흐름
(2) 성리학의 융성
3. 한국성리학의 특징
(1) 정주학(朱學)
(2) 주지주의(主知主義)
(3) 예(禮) 숭상의 풍토를
(4) 명분론적(名分論的)
(5) 주지론(主知論)의 보수성을
(6) 인존 정신(人尊精神)을 지향

Ⅱ. 본론
이황(李滉)
1.생애와 활동
2.성리학의 근본정신과 학문방법
(1)위기지학(爲己之學)과 구인성성(求仁成聖)
(2) 이기(理氣) 존재론
(3)사칠(四七)논쟁-사단칠정(四端七情)론
(4)궁리(窮理)와 격치(格致)의 인식론
(5) 거경(居敬)의 수양(修養)론
(6)양명학 비판

Ⅲ. 결론
1. 이황의 평가
2. 느낀 점

Ⅳ. 참고

본문내용

사람 등이 나타났다. 이런 경향의 정점에서 이지(李贄)는 일상적 생활에 입각하여 종래 가치체계의 형이상학성·허구성을 철저하게 비판하였다. 그 결과 경제생활의 향상을 배경으로 명나라 말기에는 주체의식이 고양되어 자유주의적·비판주의적 경향이 강화되는 한편 관헌에 의한 탄압, 전통적 입장을 고수하는 학자들로부터의 비판이 더하여져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청(淸)나라 때는 다시 주자학을 정통으로 세우는 사상통제가 더해지고, 또 양명학의 비실용성이 지적되면서, 이 세력은 급속도로 쇠퇴하였다. 그리하여 실증(實證)을 존중하는 객관주의적 학풍이 생겨났지만, 인간주체성의 존중, 기성가치에 대한 비판의식 등 양명학의 성과는 사상적 유산으로 계승되었다.
※ 한국의 양명학 - 양명학이 한국에 도입된 시기는 17세기 무렵이나, 왕수인의 《전습록(傳習錄)》이 들어온 것은 1521년(중종 16) 이전으로 왕수인이 살아 있을 때이다. 그러나 그때 지식인들은 정주(程朱)의 사상계통에 치우쳐서 이와 다른 사상은 사도(邪道)로서 백안시(白眼視)하여 오랫동안 빛을 보지 못하다가, 장유(張維)·최명길(崔鳴吉)·정제두(鄭齊斗) 등에 의해서 연구되고 또 일본에까지 영향을 주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비판
퇴계가 양명학, 심학을 비판하는 입장의 전반적인 성격은 한 마디로 왕양명을 불교와 같은 이단으로 규정하여 배척하는 것이다. 그의 논변이 지닌 비판의 초점은 결국 육상상에서 왕양명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심학전통이 모두 本心을 종지(宗旨)
) 어느 종교의 중심 되는 가르침
로 하는 것이며 아무리 스스로 불교를 비판한다하더라도 결국 禪學과 동일한 것이라 규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리학의 성립과 더불어 체계화되었던 불교비판의 이론을 다시 반복할 필요 없이 그대로 양명학에 대한 비판으로 적용하고 있다.
퇴계의 비판에서 몇 개의 구절에서 왕양명의 언급이 한정된 의미에서 긍정적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언급은 왕양명의 입장을 더욱 깊이 이해하는 길로 풀어가려는 것이 아니라 주자학의 체계를 표준으로 정립하는 입장에서 양명학이 지닌 한계를 규정하고 나아가 근원적 오류를 지니는 것으로 비판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 이 사실이다. 따라서 왕양명의 어떠한 견해도 끝내는 비판과 배척의 대상으로 확인될 뿐이요 수용의 여지를 남겨두지 않는다.
퇴계의 이러한 양명학-심학 비판은 조선시대 도학의 기본성격으로서 정통주의적 이념을 이 시대에 천명한 것으로, 조선초기의 정도전이 유교 바깥의 불교를 비판한 것과 상응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곧 정도전의 불교비판은 조선 건국 초기에 광범하게 가로놓인 불교의 사상적ㆍ사회적 기반을 극복하고 도학이념을 사회적으로 정립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퇴계의 심학 비판은 조선 중기의 도학 이념을 확고하게 정립시키고 확산하는데 새로운 장애로 등장한 육상산ㆍ왕양명의 심학이 지닌 위험요인을 사전에 제거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비판을 통하여 조선시대 주자학을 정통으로 하는 도학을 수립하게 지향하였던 곳이요, 여기에 그의 비판정신이 지닌 핵심적 특성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중국ㆍ일본은 양명학이 상당히 융성하였지만 조선 후기 사회에 양명학이 표면에 공개적으로 등장할 수 없었던 것은 퇴계의 심학비판으로부터 직ㆍ간접의 영향이 미쳤던 것으로 볼 수 있다.
Ⅲ. 결론
1. 이황의 평가
퇴계 이황은 16세기 한국 성리학의 태두이다. 그의 성리학은 '경(敬)의 철학', '이존적 이기이원론
) 이(理)는 사람의 본성을 말하는데 이것은 절대적으로 선하고, 기(氣)는 물질의 모든 것들인데 이것은 천하다
', '주리론(主理論)'등으로 정의된다. 이런 정의는 이황 성리학의 윤곽과 특징을 잘 말해준다. 이황은 인품과 학식으로 때에 맞게 도(道)를 행하고 가르침을 드리웠기에, 당시는 물론이고 오늘에도 그의 인격과 학덕이 추앙 받고 있다. 퇴계의 문하에서 배운 제자들 가운데서 조목(趙穆), 김성일(金誠一), 유성룡(柳成龍)등 그 시대에 명망이 높은 많은 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이들 퇴계 문하는 영남지방의 학풍을 거의 지배하였으므로 영남학파라 일컫기도 한다. 퇴계와 동시대에 살았던 35년 후배의 율곡은 성리설에서 퇴계와 맞서 기호(畿湖)학파를 형성함으로써 조선 후기의 도학은 사실상 퇴계의 영남학파와 율곡의 기호학파로 크게 양분하여 전개되었다.
이와 같이 퇴계는 주리적 이기이원론의 토대 위에서 기대승과의 4단7정론을 통하여 한국 성리학의 특징인 심성론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성리학이 한국에 전래된 이후 이론 성리학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대표적인 위치에 있었다. 또한, 수양론의 실천방법을 정밀하게 규명함으로써, 조선시대 성리학의 기본 틀 인 이(理) 중시 성리학이 체계를 확립을 정립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2. 느낀 점
퇴계 이황을 성리학의 학자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한국 철학의 레포트를 쓰면서 그의 사상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게 되었다
먼저 이황에 대해 배울 점을 찾으라면, 고봉 기대승과의 4단 7정에 관한 논쟁을 통하여 학문적 논쟁의 모범을 보여주고, 성리학의 심성론을 크게 발전시킨 것과, 수양론의 실천방법을 정밀하게 규명하여 조선시대 도학의 기본 틀과 독자성을 정립한 것 그리고, 그의 사상이 일본에 많은 영향을 준 것이라 할 것이다.
반면, 비판을 하자면, 이황은 영남학파를 주도하였는데, 이는 나중에 위정 척사사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러나 위정 척사사상이 나라의 발전을 저해하였다는 점이 안타깝다. 그리고, 이황의 학문은 이와 기를 분리해서 볼 것을 강조하는 '이기이원론'과 이는 귀하고 기는 천하다 는 '이귀기천(理貴氣賤)' 사상에 입각한 이기호발설 등을 주장하는 등 을 '이기일원' 을 주장한 율곡 이이 에 비해 도덕적·이상주의적인 성격이 강했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다.
Ⅳ. 참고자료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윤사순 저)
『한국사상의 심층 연구』(조명기외 33인)
『한국사상의 탐구 - 인성물성론』(한길사)
『한국사상의 이해』(황준연 저)
http://my.dreamwiz.com/ohjs7/iw/iw1st.htm
  • 가격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12.22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7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