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진입장벽과 해외진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2.1. 내부화 수준과 해외진입방식
2.2. 해외진입장벽과 조직실패
2.2.1. 독립효과(main effects)
(1) 진입장벽(경쟁장벽)
(2) 정치적 장벽
(3) 문화적 장벽
2.2.2. 중재효과(moderate effects)

III. 연구방법
3.1. 표본 선정
3.2. 변수측정
3.3. 분석방법

IV. 연구결과
4.1. 해외진입장벽의 독립효과 분석

V.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표 6>에서 보듯이 가설에서 예측했던대로 해외진입장벽이 높은 국가에 규모가 크고 국제경험이 풍부한 기업이 직접수출로 진출한 경우(11건-64.7%)가 규모가 작고 국제경험이 미약한 기업이 직접수출로 진출한 경우(6건-35.3%) 보다 더 높게(2배 정도) 나타났다. 반면, 해외진입장벽이 높은 경우 규모가 작고 국제경험이 미약한 기업은 직접수출보다는 간접수출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함(5% 유의수준)을 보여준다. 이는 기업규모와 경험이 해외진입장벽이 수출방식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중재역할을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표 7> 중재효과: 해외직접투자방식 선택의 경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합작투자 단독투자 총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높은 해외진입장벽/ 14(50.0%) 14(50.0%) 28(51.9%)
낮은 기업규모*국제경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높은 해외진입장벽/ 7(26.9%) 19(73.1%) 26(48.1%)
높은 기업규모*국제경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총계 21(38.9%) 33(61.1%) 54(100%)
Chi-square=3.021 p-value=0.08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편, <표 7>에서 보듯이 예상했던대로 해외진입장벽이 높은 국가에 규모가 크고 국제경험이 풍부한 기업이 단독투자로 진출한 경우(19건-73.1%)가 규모가 작고 국제경험이 미약한 기업이 단독투자로 진출한 경우(7건-26.9%)에 비해 더 높은(2.7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규모와 경험이 해외진입장벽이 수출방식 결정에서와 마찬가지로 해외직접투자방식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중재역할을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해외진입장벽(정치적 장벽, 문화적 장벽, 경쟁장벽)이 해외진입방식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해외진입방식은 소유권 및 통제, 즉 내부화 수준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해외진입장벽은 조직실패의 원천으로 작용해 해외진입장벽이 높을 수록 내부화의 유인을 약화시켜 내부화 수준이 낮은 진입방식이 선호된다는 논리이다(Buckley and Casson 1976, Anderson and Gatignon 1986). 미국 228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해외진입장벽이 높을 수록 내부화 수준이 낮은 진입방식이 선호된다는 가설이 입증되었다. 특히 정치적 장벽과 문화적 장벽이 높을수록 예측했던대로 내부화 수준이 낮은 진입방식이 선호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예상과는 반대로 경쟁장벽이 높을 경우 내부화 수준이 높은 진입방식이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아마 현지시장의 경쟁장벽이 높을 경우 외국진출기업들이 경쟁에서 밀려나지 않기 위해 시장통제를 위한 더 적극적인 진출전략을 구사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한편, 통계분석의 결과는 해외진입장벽이 수출방식 결정보다는 해외직접투자방식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 주는데, 이는 수출방식보다는 해외직접투자방식이 더 높은 자원개입으로 인한 해외진입장벽에 대한 조직실패 위험부담이 더 크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해외진입장벽이 진입방식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업의 규모와 경험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을 것인데, 이는 해외진입방벽으로 인한 조직실패 위험에 대한 기업의 대응은 그들의 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증분석 결과 해외진입장벽이 높을 경우 규모와 국제경험이 큰 기업이 규모와 국제경험이 낮은 기업에 비해 내부화 수준이 높은 진입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함을 보여주었다. 이는 기업의 규모가 크고 국제경험이 풍부할 수록 해외진입방식의 선택폭이 넓을 것이라는 Root(1987)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해서 다음과 같은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해외진입장벽으로 정치적 장벽, 문화적 장벽, 경쟁장벽으로 구분하여 각 대리 변수들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해외진입장벽의 항목과 측정방안에 대한 더 심도있는 접근이 요구된다. 둘째, 해외진입장벽의 변수 중 경쟁장벽은 외국진출기업의 경쟁능력의 간접적인 지표로 볼 수 있지만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해외진입장벽과 더불어 외국진출기업의 경쟁능력이 해외진입방식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분석해보는 것도 바람직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간과되고 있는 현지국의 협소한 시장규모 또한 해외시장진입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것인데, 일반적으로 현지국의 시장규모가 클 수록 외국 진출기업들은 높은 시장통제를 통해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내부화 수준이 높은 진입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Gomes-Casseres 1989, Erramilli 1996). 넷째, 비롯 수출과 해외직접투자가 기업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해외진입방식이라 할지라도 본 연구는 여타 계약방식(예를 들어, 라이선싱)의 선택의 경우를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보완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해외진입장벽의 개념을 여타 국제경영분야에 적용시켜 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해외진입장벽은 국제마케팅전략, 즉 표준화전략 대 현지적응전략의 결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격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3.11.18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