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선시대 이전(제1단계)
2. 조선시대의 인구 성장
3. 1910~45년의 인구 성장(제 2 단계)
4 광복전의 인구 성장(요약)
5 광복전의 인구 성장
2. 조선시대의 인구 성장
3. 1910~45년의 인구 성장(제 2 단계)
4 광복전의 인구 성장(요약)
5 광복전의 인구 성장
본문내용
1.조선시대 이전(제1단계)
전쟁, 질병, 낮은 토지 생산성 등으로 다산다사의 인구 정체기
A.D 1년의 한국의 인구는 약
300 만 명으로 추정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 초까지 약 450~750 만 명으로 추정
2. 조선시대의 인구 성장
조선 초기의 인구수 약 320 만 명, 인조 17년(1639)-160 만 명, 현종 10년(1669)-500 만 명 초과, 융희 3년(1909)-1000 만 명 추가
인구 수의 추이 중 인구 수가 감소한 연도가 있었음.
~>교통이 불편, 행정력이 전국에 고르게 미치지 못했던 시기, 전쟁, 질병, 기근으로 인한 사망
위의 표를 보면 1669년에는 약 500만 명으로, 1807년에는 약 760만 명으로, 1904년에는 약 600명으로 감소하였다. → 이와 같은 인구수의 감소는 각 도의 면적이 넓은 점도 있겠지만 그 당시 수도와 거리가 먼 탓으로 통계자료가 누락 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1404년: 경상도, 평안도, 충청도, 전라도 순으로 인구 수많았음
1669,1904년: 경상도, 평안도, 전라도, 충청도 순으로 인구수 많았음
3. 1910~45년의 인구 성장(제 2 단계)
서양의학의 도입, 위생시설의 개설, 인구 부양력 증대 등으로 다산소사의 인구 급증기
본격적으로 인구성장: 1920년경
->1910년 한일 합방 이후 추진된 방역 실시~ 사망률 낮아짐
1925년 우리나라 첫 국세 조사에 의한 인구수: 1900 만 명(식민 경찰의 호구 조사에 기초를 둠 -> 현주 인구와 상당한 차이)
1994년:2500만 명(1925년에서 1.3배 증가, 1910년 인구의 1313만 명에서 약 2배 증가)
~> 1910년 인구가 부정확 하게 조사 된데 기인, 그리하여 1910년에 1750만 명 이었다는 주장도 있음
전쟁, 질병, 낮은 토지 생산성 등으로 다산다사의 인구 정체기
A.D 1년의 한국의 인구는 약
300 만 명으로 추정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 초까지 약 450~750 만 명으로 추정
2. 조선시대의 인구 성장
조선 초기의 인구수 약 320 만 명, 인조 17년(1639)-160 만 명, 현종 10년(1669)-500 만 명 초과, 융희 3년(1909)-1000 만 명 추가
인구 수의 추이 중 인구 수가 감소한 연도가 있었음.
~>교통이 불편, 행정력이 전국에 고르게 미치지 못했던 시기, 전쟁, 질병, 기근으로 인한 사망
위의 표를 보면 1669년에는 약 500만 명으로, 1807년에는 약 760만 명으로, 1904년에는 약 600명으로 감소하였다. → 이와 같은 인구수의 감소는 각 도의 면적이 넓은 점도 있겠지만 그 당시 수도와 거리가 먼 탓으로 통계자료가 누락 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1404년: 경상도, 평안도, 충청도, 전라도 순으로 인구 수많았음
1669,1904년: 경상도, 평안도, 전라도, 충청도 순으로 인구수 많았음
3. 1910~45년의 인구 성장(제 2 단계)
서양의학의 도입, 위생시설의 개설, 인구 부양력 증대 등으로 다산소사의 인구 급증기
본격적으로 인구성장: 1920년경
->1910년 한일 합방 이후 추진된 방역 실시~ 사망률 낮아짐
1925년 우리나라 첫 국세 조사에 의한 인구수: 1900 만 명(식민 경찰의 호구 조사에 기초를 둠 -> 현주 인구와 상당한 차이)
1994년:2500만 명(1925년에서 1.3배 증가, 1910년 인구의 1313만 명에서 약 2배 증가)
~> 1910년 인구가 부정확 하게 조사 된데 기인, 그리하여 1910년에 1750만 명 이었다는 주장도 있음
추천자료
사회복지 발달사(고대~조선시대)
인구성장구조
[역사] [근현대사]조선시대 서원의 성립과 교육적 기능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 Cause & effect 3 } Unit 2.World Issues - Lesson 1 [ World Population Growth / 세...
정부와 시민참여 - 영화 '이장과군수'와 비교한 조선시대 부패와 감찰제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강호가도, 훈민가 작품분석, 조...
[우수 독후감 요약] 조선시대 역사문화 여행 _ 최정훈, 오주환 저
[한국문학연구] <노처녀가Ⅰ>에 나타난 조선시대 여성의식
[경영학의 이해] 경영환경 - 경영환경의 개념, 일반 환경요인, 우리나라의 연령별 인구구조...
[조선시대정책결정(政策決定)]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과정 -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기구, 투입과...
정조 인물관련 레포트-내가 선정한 조선시대 제22대 왕인 정조
전통문화의 성 [조선시대 춘화 형성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