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신분제도 연구 - 사노비의 존재양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사노비의 발생
1) 전쟁 포로
2) 경제적 요인
3) 혼속

3. 사노비의 성격
1) 사노비의 편적 ․ 성명 ․ 연령
2) 사노비의 결혼과 가정
3) 사노비의 재산 생명 신체에 대한 법적 보호
4) 사노비와 주인 및 국왕과의 관계

4. 사노비의 종류와 토지 경작에 따른 사회 경제적 지위 차이

5. 맺음말

본문내용

관여하였다.
솔거 노비는 주인의 경리 속에서 주인에 의해 최소한의 의식주가 해결되었으며 독자적인 경리를 가지고 있지 못했다. 소유주에 대해서도 무기한적 노동력을 제공하였고 솔거노비의 일상생활에 대해 소유주는 거의 무제한적으로 간섭했으며 행동의 자유가 거의 없었다. 이들은 노비 가운데 가장 낮은 지위에 처해 있었다.
외거 노비 중 토지 경작에 전념한 농경 노비는 관리 노비와 비슷하게 생계를 유지 했으며 소유주에 대해 일정한 크기의 현물이나 노동력을 제공했으나 부담은 관리 노비처럼 크지 않았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소유주의 간섭은 드물었고 이들의 경제적 지위는 양인 전호와 비슷하였다. 경영 노비는 농장의 소출에서 일정한 액수를 급료의 형태로 받아 독자적 경리를 세워 생계를 유지하였고 소유주에 대한 부역과 간섭이 거의 없었으며 노비 가운데 가장 높은 지위에 처해 있었다.
사노비의 비중에 대해 살펴보면 솔거 노비 가운데에서는 농경 노비보다 사령 노비의 비중이 컸고 외거 노비 가운데서는 농경 노비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컸다. 또한 솔거노비가 외거노비보다 수적으로 많았다. 전체적으로 보아, 사노비에 있어서는 사령노비가 농경 노비에 비하여 다소 수적으로 우세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즉, 사노비의 지위는 사령노비 < 농경노비(솔거 노비) < 관리노비< 농경노비< 경영노비
순으로 나타 낼 수 있고 수의 비중은 농경 노비 < 사령 노비, 솔거노비> 외거노비로 나타낼 수 있다.
5.맺음말
이상에서 사노비의 발생과 성격, 사회 경제적 위치에 대해 사료를 바탕으로 알아보았다. 사노비는 주로 경제적 원인에 의해 일반 양인이 노비가 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혼인으로 인해 노비가 세습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사노비의 성격에 대해서 사료를 통해 살펴보았는데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사노비는 주인 호적에 부적되어 종파 및 그 소생의 이름과 나이, 전래의 변별, 그리고 노처·비부의 양천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사노비가 주인의 소유 노비 신분이었음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사노비는 이름만이 있었을 뿐이고 성은 없었다. 그리고 사노비는 공과·공역의 부담이 없었지만 정노제에 입각하여 파악되었다. 이것은 사노비도 국민이었다고 하는 관념의 소산이었을 것이다.
또한 사노비의 신분 귀속은 일천즉천의 원칙에 따라 부모 가운데 한 쪽이라도 노비이면 그 소생은 노비가 되었다. 그리고 사노비의 가정에 있어서는, 솔거노비의 경우는 가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외거노비에게 있어서도 가족원에 대한 처분권은 주인에게 있었지만, 현실적으로 가정은 다소나마 온존되었다.
그리고 솔거노비는 법적으로 재산권이 인정되었지만, 실제에 있어서 자신의 재산을 가지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한편 외거노비는 법적으로 재산에 대한 주체적인 권리가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도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독자적인 재산을 가지고 있었다. 또 사노비는 주인이나 다른 사람에 의해 기도되는 생명에 대한 위협으로부터 법의 보호를 받고 있었지만 솔거노비는 주인의 가해행위가 불법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그리고 사노비는 사회적 행위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자신이 직접 지고 있었다.
한편 국왕이 사노비에게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이렇다 하게 뒷받침해 준 것은 거의 없었다. 국민으로서의 지위를 전제로 한 국왕과 사노비의 지배와 예속의 관계는 이념적·관념적인 것으로 보아도 지나치지 않다. 사노비가 지배와 예속에 있어서 현실적·사실적 관계를 맺고 있던 것은 주인이었다.
마지막으로 사노비의 사회경제적 지위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사노비중 외거 노비보다솔거노비가 수적으로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사회 경제적 지위는 사노비 중 가장 낮았다. 외거노비의 경우는 양인 전호와 그 지위가 비슷할 정도로 높았다.
사노비에 대해 여러 모로 검토한 결과, 공노비가 독자적인 경리를 가지고 독립된 가계를 꾸려나갈 수 있었으며, 재산에 대한 주체적인 권리가 인정된 것
홍승기, 『고려 시대 노비 연구』,「공노비의 특성」p53~86 1981, 한국연구총서42
에 비하면 그 지위가 매우 낮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노비 가운데 외거노비는 그나마 가정이 보존되고 독자적인 경리를 꾸릴 수 있었지만 사노비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던 솔거노비의 경우, 주인에게 예속되어 있어 거의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할 수 없었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노비의 생명을 국가에서 보호해주었다는 사료가 있고, 노비에게 어느 정도의 권리가 있음이 인정되는 사료(사노비를 정노제에 의해 파악한 것, 법적으로 재산권 인정, 자기 행위에 스스로 책임을 지는 것 등)가 몇 가지 보이지만, 그것은 법에만 표시되어 있는 관념적인 것일 뿐 실생활에서는 노비는 거의 인간다운 권리를 가질 수 없었다. 고려에서의 사노비는 대개 사람들이 노비를 인식하듯 신분의 최하위에 위치에 있으면서 주체적인 삶을 결코 영위할 수 없는, 주인에게 종속된 존재에 불과하였다.
이번 레포트를 계기로 사노비에 대한 사료를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으로 사노비의 실생활이 어떠했는지 알게 되었고, 짐작대로 대다수의 사노비가 거의 인간답지 못한 생활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노비 중 외거 노비 (농경 노비, 경영노비)는 양인전호와도 그 지위가 비슷하였다는 것은 놀랄만한 사실이다.
시간의 부족과 필자의 게으름, 소양 부족으로 사노비의 성격을 사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에만 치중하고 사노비의 종류와 역할 ·지위차이(솔거노비와 외거노비와의 차이는 많이들 알고 있지만 솔거노비 혹은 외거노비 간에 역할, 지위 차이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를 사료를 통해 자세히 논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參考文獻
『高麗史』
『高麗史節要』
강진철, 「고려시대 농업경영 형태」, 1976, 한국사연구 12; (1980, 고려토지제도사연구)
허여직, 考慮史, 高麗史節要의 사료해석「國寶戶籍으로 본 社會構造」1977, 한국사연구16
홍승기, 『고려시대 노비 연구』, 「고려시대 사노비의 법제상 지위」 1981, 한국 연구원
홍승기, 『고려귀족사회와 노비』, 「사노비의 성격」1983, 일조각
김소성, 「고려시대의 노비 발생 考」1987,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12.0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4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