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의 연구-정석가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가요의 연구-정석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원문 해독 및 어석 연구

Ⅲ. 否定에 否定을 통한 肯定의 美學

Ⅳ. <정석가>의 민요적 성향과 송도가로서의 전이 양상
1. 민요적 성향
2. 송도가적 성격

V. 맺음말

본문내용

지고 오로지 '나 님'의 관계만이 성립되어 이른바 '獻詞'의 성격으로 바뀌게 되었다.
<정석가>가 왕실에 유입되기 전에 왕식에서는 두가지의 보완작업을 서둘렸으리라 헤아려 진다.
첫째, 서사의 첨가이다. 원래의 민요에다 왕실의 임의에 따라 일부 대목을 첨가시키는 일은 결코 어색한 일이 아니다. <정석가>의 서사는 본·결사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지않고 어법면에서도 致語類의 색채가 농후한며 장중하고 엄숙한 뜻을 내포하고 있어 이런 발상을 가능케 한다.
둘째, 본·결사의 原詞를 다듬어서 이를 궁중음악에 맞추는 일이 진행되었을 것이다. 가시리, 서경별곡, 쌍화점, 청산별곡 등 고려가요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후렴구·여음구·반복구 등은 원래 민요였던 노래가 궁중으로 속악가사의 형태로 채용·개편되면서 악곡의 형식에 맞추다 보니 일어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맞추어 <정석가> 역시 문구와 어휘의 개변에 관한 한 정확한 짐작이 허용되지 않는 터이지만 열한 번에 걸친 행의 반복은 분명히 왕실 악가로 뿌리를 내릴 때 이루어진 것이라 사료된다. 민요적 차원에서도 가능하지만 <정석가>의 경우는 아무래도 궁중악곡, 이를테면 宋에서 들어온 新樂報에 맞추기 위해서 그러한 변모가 있었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본다. 다음, 결사에 관해서 잠시 언급하자면 이를 編詞의 과정에서 後添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는데, 이 결사는 민요지만 唐樂에서 말하는 바 口號的인 기능이 다분히 있다는 것이다. 당악에서의 口號는 대체로 한시로 되어서 宴樂(연악)전체의 행사를 마무리짓는 기능을 맡고 있다.
V. 맺음말
이상으로 <정석가>의 원문해석과 비유의 특징 그리고 민요적 성격과 송도가적 성격를 잠시 살펴보았다. <정석가>는 민간전승되다가 궁중의 속악으로 변모 차용된 노래로써, 그 표현방법이「가시리」나「서경별곡」처럼 그 이별을 서러워하고 그 단장의 별한을 하는 것과는 전연 그 류를 달리하는 완곡한 방법으로 그 想의 기발함에 있어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뛰어난 작품이라 할만하다.
<참고문헌>
김선, 한국고전문학의 정해와 감상1, 예문당, 1994
김학성, 국문학의 탐구, 성균관대 출판부
김형규, 고가요주석, 일조각, 1977
박노준,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5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1971
임기중, 고려가요의 문학사회학, 경운출판사, 1993
전규태, 한국시가연구, 고려원, 1986
전병욱,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199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9.07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