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세제와 환경오염 - 현황, 처리, 대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합성세제와 환경오염 - 현황, 처리,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합성세제와 환경오염

2. 합성세제의 사용현황 및 인식
▶ 사용현황
▶ 일반인의 인식

3. 합성세제의 환경에 대한 영향
▶ 합성세제의 독성 및 오염정도
▶ 세제의 부하원단위 및 오염부하량
▶ 식물에 미치는 영향
▶ 상수처리에 미치는 영향

4. 합성세제의 처리
▶ 생물학적 처리
▶ 물리화학적 처리
① 염소처리(소독)
② 광분해
③ 흡착

5. 세제 공해를 막기 위한 대책
▶ 오염에 대한 사회 구성원의 전체적인 인식이 필요
① 환경부, 환경에 유해한 제품에 대한 관리·감독 · 기준 無
② 환경부, 환경마크협회에 책임전가
③ 기업들, 과대광고로 소비자 눈가림, 책임회피
④ 소비자, 환경에 대한 인식부족

▶ 실천 방안

본문내용

적으로 적게 일으키는 제품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환경마크 제품이라면 환경에 무해하다고 쉽게 단정하게 된다. 다른 제품과는 달리 특히 세제의 경우, 이러한 오해는 세제의 과다사용으로 이어지게 된다.
즉, 환경보호라는 좋은 취지의 환경마크제도가 역으로 환경오염을 부추기는 역할을 할 가능성도 도사리고 있다 하겠다.
따라서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오해가 없도록 환경마크협회와 환경부의 노력이 필요하겠다. 또한 정부는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제품에 대해 소비자들만 세금을 부담하게 할 것이 아니라, 환경에 유해한 제품을 생산, 판매해 이윤을 얻는 기업도 환경세 형식의 환경복구비용을 부담하게 해야 한다. 환경에 무해한 세제 개발을 위한 정부차원의 지속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③ 기업들, 과대광고로 소비자 눈가림, 책임회피
세제로 인한 수질오염문제의 또다른 원인제공자는 기업들이다. 기업들은 분명 세제제품의 판매를 통해 이윤을 추구하고 있으면서도 그 제품의 생산, 소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에 대해서는 책임의식을 갖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환경마크를 획득한 합성세제 제품인 L사의 H제품이나 A사의 P제품은 '환경마크 획득', '환경친화제품'이라는 등의 광고로 소비자들에게 앞에서 언급한바 있는 오해, 즉 해당제품이 환경에 무해하다는 식의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또 그 밖의 제품들 역시 '생분해성세제', '초고농축 세제'라면서 나름대로 자사 제품의 환경성을 홍보한다. 이러한 광고에 자주 노출되는 소비자들이 합성세제의 환경유해성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A사의 보도자료를 보면 '합성세제사용이 수질을 오염시킨다'라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자사제품의 유해성을 거론하기보다는 단순히 "주부들이 합성세제를 표준량보다 과다하게 쓰는 것이 문제"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이것은 자사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유해성에 대한 책임을 소비자에게 떠넘기는 꼴이라고 하겠다. 기업들은 자사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유해성을 인정하는 한편 합성세제의 적정 사용량을 홍보하는데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더불어 앞서 언급한 환경세 형식의 환경복구 비용을 부담해야 할 것이다. 또 근본적으로는 무독성 합성세제의 개발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한다.
④ 소비자, 환경에 대한 인식부족
소비자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도 수질오염, 더 나아가 환경오염을 심화시키는 원인중의 하나이다. 우리 소비자들은 동일품목의 제품들중에서 환경오염을 덜 일으키는 제품보다는 더 싼 제품, 더 우수한 성능의 제품을 선호한다. 물론, 환경오염도 적고 가격도 싸고 성능도 우수한 제품이 있다면 가장 좋겠지만 그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합성세제의 세탁능률은 액체세제, 분말세제, 고체세제가 모두 비슷하나 오염도는 액체세제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분말세제, 고체세제가 가장 낮다. 그러나 세탁기 보급에 따라 고체세제의 사용은 줄고 액체, 분말세제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표준량보다 과다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우리 소비자들이 환경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은 1차적으로는 정부의 홍보부족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정부와 기업, 일반 소비자가 환경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고 오염방지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해나가야 한다. 특히 세제의 경우, 소비자들에게 세제가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지속적으로 알리고 무공해 세제개발을 위한 투자와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겠다. 또 정부는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제품에 대해선 그 제품을 생산한 기업들로 하여금 환경정화 부담금을 내게끔 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만 한다.
▶ 실천 방안
① 세제는 용도에 맞는 것을 선택하고 사용량의 최적농도 및 최적의 온도에서 사용하여야 하며, 독성을 고려해서 충분히 헹구고 세제 사용시에는 고무장갑을 착용하며 식기의 기름기 제거는 되도록이면 세제를 쓰지 않고 더운물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수세식 변소의 청정용(淸淨用)세제 사용은 오물의 적도발효(適度醱酵)를 방지하여 정화기능을 저하시킨다. ABS계 합성세제는 미생물이 분해할 수 없으므로 수질을 오염시켜 간접적인 인체오염을 가져오므로 자연분해되는 LAS계 합성세제와의 대치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1980년대에 들어서서 폐수 속에서 미생물에 의해 잘 분해된다는 LAS계로 생산이 이행하게 되었는데, 그 후의 조사에 의하여 LAS계도 ABS계와 마찬가지로 하천 바닥의 히드라와 어패류의 체내에 축적되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고급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의 안정성도 아직 확인되어 있지 않으므로 앞으로의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③ 자연수역에는 부하(負荷)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소 및 제거하는 자정능력(自淨能力)이 있다. 즉, 무기물질은 희석·침전되고, 미생물은 노출기간이 길 때 사멸하며, 열도 증발·대류·복사 등에 의하여 손실되고 유기물질은 생화학적으로 산화된다. 방사성 물질은 반감기가 경과될 때까지는 어쩔 수 없이 유하(流下)에 맡길 수밖에 없으며,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한 유기물질도 오랜 기간을 자연수역에 체류하게 된다. 물의 자연정화능력을 초과하는 액상폐기물의 부하는 자연수역에 체적되어 수질오염 또는 수질공해의 원인이 되므로, 부하되기 전에 그 원천 또는 도시종말처리장에서 제거해야 한다. 그러한 오염방지조치로서 법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④ 수원보호법의 제정과 기술적으로는 적극적인 오염방지 및 소극적인 정수강화(淨水强化)가 있으나 정수는 만능일 수 없기 때문에 오염방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기술적 보조대책으로는 물의 자정작용 특히 자연산화를 인공적으로 강화시킬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실시된다.
- 체수호(滯水湖) 형성: 하천의 중도에 둑을 만들어 인공호(人工湖)를 만든다. 이것은 독일 에서 하천침전장(河川沈澱場)이라고 하며, 호수의 자정작용을 응용한 것이다.
- 개로굴착(開路掘鑿): 체수호와는 반대로 인공개로(人工開路)를 설치하여 신속히 흘려보내 는 것으로 침전부패의 우려가 있을 때 실시된다.
- 청수유입(淸水流入): 다른 곳으로부터 청수를 끌어와서 유입희석(流入稀釋)하는 방법이 다. 수원보호의 문제는 세계공통이며 지하수보다는 지표수가 더 중대하다.

키워드

세제,   합성세제,   환경,   오염,   수질오염,   화학
  • 가격2,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12.12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7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