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원론 (시장이론, 효용,국민소득, 물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4. 시장이론의 응용
(1) 교환 경제의 이득 (mutual gains from exchange)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2) 독점과 시장의 실패

5. 국민소득의 결정
(1) GDP의 개념 및 측정
(2) 물가의 이해
(3) 국민소득의 순환
(4) 총수요와 총공급

본문내용

00
.GDP디플레이터: 물가, 실질GDP: 거래량 개념
(3) 국민소득의 순환
소득 순환
- 미시경제학과의 차이: 한 사람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침
-> 승수효과
.따라서 재화와 용역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순환되는가를 살펴보아야 함
- 국민소득순환
가계
Y S
T
M
C
기업
I G X T M
- 누출과 주입
.누출(leakage): S와 T와 M ---> 저축에 대한 새로운 이해
저축(절약)의 역설(Thrifty paradox): 케인즈
.주입(injection): I와 G와 X
- 누출과 주입 증감의 효과
.누출이 증가하거나 주입이 감소하면 국민소득은 감소
.주입이 증가하거나 누출이 증가하면 국민소득은 증가
.예; 수출(X)이 증가하면, 국민소득은 증가
승수효과
- 승수효과: 케인즈
- 한계소비성향
.한계소비성향(MPC) = C / Y
.즉 국민소득이 100원 증가할 때, 소비가 80원 증가하면, 한계소비성향은 0.8
- 수출이 10억원 증가하면 국민소득은 얼마나 증가하는가?
.수출이 10억원 증가하면 1차적으로 국민소득은 10억원 증가
.국민소득이 10억원 증가하면 소비가 8억원 증가 (한계소비성향=0.8로 가정)
.이렇게 증가된 소비는 누군가의 소득이 됨: 국민소득 8억원 증가
.국민소득이 8억원 증가하면 다시 소비가 6.4억원 증가
.이렇게 증가된 소비는 소득증가로 이어지고 이것이 다시 소비증가 소득증가 소비증가 ------로 이어지는 과정이 계속됨
.이러한 과정을 거쳐 수출이 10억원 증가할 때, 국민소득은 그 이상으로 증가
승수효과
- 승수
.정부지출승수 = 소득 / 정부지출
.수출승수 = 소득 / 수출
.투자승수 = 소득 / 투자
- 승수효과의 한계
.위에서 수출증가 소득증가 소비증가 소득증가 소비증가 ---- 이 계속 발생할 수 있는가?
.위에서의 기본 가정
수요는 공급을 창조한다(케인즈): 세이의 법칙과 반대
수요가 있으면, 공급은 자동적으로 쫓아온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공급이 수요만 있으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님
총수요와 총공급을 한꺼번에 고려해야 함
(4) 총수요와 총공급
총수요
- 총수요: AD
==
C + I + G + X - M
.총수요곡선: 물가와 총수요와의 관계
.물가상승 C, X의 감소와 M의 증가 총수요 감소
총수요곡선은 우하향
- 총수요곡선의 이동(shift)
.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서 물가 이외의 요소가 바뀌면, 총수요곡선은 이동
.저축성향의 증가 -> 총수요하락(좌측으로 이동)
.정부지출의 증가 -> 총수요곡선의 이동(우측)을 초래
- 얼마만큼 이동하는가: 승수효과의 크기에 좌우됨
총공급
- 형태
.개별시장에서의 공급곡선의 합
.물가(가격)가 오르면, 기업의 이윤(가격-생산비용)이 높아지고, 공급이 늘어날 것임
- 세가지 영역: 현실감안
.Keynesian range
물가는 sticky: 단기적으로 물가는 잘 변하지 않음
공급여력이 충분한 경우 (불경기 등으로 공장가동률이 매우 낮을 때)
.Classical range
완전고용이 이루어진 상태
(고전파 경제학: 시장의 균형 장기적으로 완전고용)
.general range
물가가 상승하면, 공급자들은 공급량을 늘릴 것임
이러한 range가 일반적임
- 총공급곡선의 이동
.기술수준의 발달
.임금, 유가 등 생산비의 변화
완전 고용
- 실업의 정의
총인구(P): 약 4,500만명
생산가능인구(LF): 15세 이상, 총인구의 약 75%
경제활동인구(L): 생산가능인구의 약 60%
취업자(E)
실업자(U)
비경제활동인구(NL): 일할 의사가 없는 인구 (연로자, 주부, 학생, 실망실업자 등)
- 실업률 및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 = U/L *100
.경제활동참가율 = L/LF *100
- 실업의 종류
.자발적 실업과 비자발적 실업
.실업의 종류
1)마찰적 실업 (frictional unemployment): 자발적 실업
2)경기적 실업 (cyclical unemployment)
3)구조적 실업 (structural unemploment): 산업구조조정 등에 수반
(교과서의 기술적 실업도 이에 포함해서 생각)
- 완전고용
.비자발적 실업이 없는 상태의 고용
.완전고용은 실업률이 0인 상태가 아님 (자발적 실업은 사회 혹은 개인의 발전을 위해 필요함)
.미국의 경우, 약 5-6%, 한국은 약 3% 수준
.완전고용하의 GNP: 잠재GNP, Yf
- 예: 로빈슨섬
총인구: 200명
15세이상: 150명
학생(15세이상): 40명
취업자: 60명
자발적실업자: 10명
비자발적실업자: 30명
실망실업자: 10명
==> 경제활동인구: 100명, 비경제활동인구: 50명
실업률: 30%, 완전고용실업률: 10%
- 우리나라의 실업률이 낮은 이유
1) 취업: 일주일에 한시간 이상 근로 -> 우리나라만은 아님 (ILO기준)
2) 농림어업 및 자영업자(무급가족 종사자 포함)의 높은 비중
3) 사회적 분위기 (가장)
4) 사회보장제도(실업수당)의 미비
5) 실망실업자의 높은 비중 (여성취업등)
균형
- 균형: AD = AS
.여기에서 균형 소득(GDP)와 균형 물가를 알 수 있음
.여기서의 소득은 명목 소득이 아니라 실질 소득임에 유의
- 그러나 이러한 균형이 완전고용을 보장해주지는 않음
인플레이션 갭과 디플레이션 갭
- 갭: 완전고용하의 국민소득과 균형국민소득과의 차이
.인플레이션 갭: Ye가 Yf 보다 클 때, 이 차이
.디플레이션 갭(경기침체갭): Ye < Yf
총수요관리정책
- 케인지안들은 경제의 자동조정능력이 불완전하다고 생각
.혹은 그 필요 시간이 너무 김(In the long run, we are all dead.)
- 정부는 경제정책을 통해 총수요를 변동시키고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 갭이나 디플레이션 갭을 없애고자 함
.수단: 재정정책과 금융정책
- 예; 정부지출의 증가 -> AD 곡선의 shift -> 균형국민소득의 증가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침체하의 물가상승 (stagnation + inflation)
- oil shock 등과 같이 총공급곡선이 위로 shift한 결과
.70년대 초반과 후반에 스태그플레이션이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었었음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12.1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8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