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꾼과 선녀 설화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무꾼과 선녀 설화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형 분류

Ⅲ. 유형별 전승 양상

Ⅳ. 구조 분석

Ⅴ. 신성혼의 성격과 의미

Ⅵ. 공간 구조와 그 의미

Ⅶ. 결론

본문내용

시련의 내용은 크게 보아 변신한 모습을 찾아내는 숨바꼭질 과 옥새나 화살 같은 물건을 구하거나 찾는 탐색 그리고 서로 능력을 겨루는 시합으로 나눌 수 있다.
나무꾼과 옥황, 남편과 왕이 겨루는 시합은 선과 악, 정과 사의 대결이라 할 수 있다. 옥황은 선녀와 나무꾼의 신혼의 유지를 결사적으로 반대하는 존재이며, 왕은 우렁이 색시를 약탈한 사악한 존재이다.
나무꾼이 옥황을 제거하여 선녀와의 신혼을 유지하고 남편이 왕을 축출하여 우렁이 색시와 재결합한 것은 수탈과 억압을 거부하고 부정으로부터 정의를 회복하려는 민중의식의 반영으로 볼 수 있겠다.
나. 동반 하강과 지상의 행복
동반하강형의 나무꾼과 선녀는 이상적인 세계인 천상에서 영원한 삶을 누리지 못하고 지상으로 동반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상적인 세계인 천상의 낙원을 두고 지상으로 동반 하강하는 것의 의미는 현실을 중시하는 민중의 의식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 시신의 승천과 효,열의 완성
나무꾼의 죽음은 천상의 선녀나 자녀들의 입장에서 보면 객사한 것에 해당한다. 전통적인 윤리관에서 보면 아버지의 주검을 내버려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나무꾼의 입장에서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으로 지상으로 내려오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Ⅵ. 공간 구조와 그 의미
1. 공간체계
한국 서사문학의 공간계는 수직적으로 3분되어 천상계, 지상계, 지하계로 나타나 있고, 수평적으로는 지상계, 수중계로 나타나 있다.
가. 수평적 공간으로서의 하늘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각 편에는 도보여행에 의한 승천 방법은 나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나무꾼과 선녀> 설화는 수직적 공간체계만으로 되어 있다.
나. 수직적 공간으로서의 하늘
<나무꾼과 선녀> 는 상승과 하강의 수직적 이동에 의한 천상계 왕복담으로 이 때의 하늘은 수직적 공간으로서의 하늘이고 천지는 수직적 공간 체계를 이루고 있다. 선녀는 날개옷을 입고 비상하여 천지를 오르내리고, 나무꾼은 두레박을 타고 승천했다가 천마를 타고 하강한다. 따라서 선녀의 본향 하늘, 나무꾼이 여행한 하늘은 수직적 공간으로서의 하늘이다.
2. 공간구조
이 설화의 구조상의 특징은 별개의 공간 하늘과 땅을 중심으로 한 사건의 대립적 갈등 구조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천상의 존재인 선녀는 하늘나라에서 지상으로 하강하여, 본의 아니게 날개옷을 잃고 나무꾼과 결혼하여 자식을 둘 이상 낳을 때까지 지상에서 생활하다가 날개옷을 되찾아 하늘나라로 귀환하는 천→지→천의 순환구조를 이룬다. 또 지상의 존재인 나무꾼은 선녀를 아내로 맞아 행복하게 살다가, 사슴이 일러준 금기를 어기고 날개옷을 돌려주어 선녀와 자식을 하늘나라로 떠나보낸 뒤 , 재차 사슴의 도움을 받아 두레박을 타고 하늘에 올라 가족들과 재회 히였다가 지상에 두고 온 가족들이 그리워 하강하여 재승천하지 못하고 죽어 수탉으로 변신하는 지→천→지의 순환구조를 이룬다.
3. 공간 이동의 과정과 의미
가. 타계여행
선녀와 나무꾼의 타계 여행은 수직적 상승과 하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들 남녀 주인공의 타계 여행에 이용되는 교통 수단을 살펴보면, 선녀는 날개옷을 주로하되 구름, 무지개, 두레박, 둥고리 등을 보조수단으로 이용하고, 나무꾼은 두레박, 나무, 덩굴, 말등을 이용한다.
선녀의 타계 여행의 표면적 동기는 지상수에서 목욕하기 위함이나 그 이면적 동기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이라 하겠다.
나. 신성의 획득과 상실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남녀 주인공은 공간적 배경 천지를 오가면서 사건이 전개되는 이야기이다. 천상 존재인 선녀가 지상에 하강하여 나무꾼의 아내가 된 것은 천상의 신성성을 상실하고 지상의 속성으로 전락한 것이고 나무꾼이 승천하여 선녀의 남편으로 행복을 누린 것은 지상의 속성에서 신성을 획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선녀의 이러한 신성의 상실이 선녀 자의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기에, 선녀는 속세의 아녀자로서 만족하지 못하고 다시금 신성 회복을 위한 천상으로의 복귀를 염원한다. 선녀의 신성 회복은 날개옷을 되찾아야 성취되므로 날개옷을 되찾기 위한 선녀의 집념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나무꾼은 지상 존재의 미천한 신분이라 스스로의 힘으로는 승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선녀에게 날개옷을 돌려주는 조건으로 동반 승천하든가, 선녀가 타고 하강한 기구인 동고리 속에 숨어들어 승천하든가, 선녀가 물을 길어 올리는 두레박을 타고 승천하든가 한다. 어느 경우에나 지상 존재의 미천한 신분이 승천하여 옥황상제나 선녀 등의 신성 존재의 영역인 천상계에 이르렀다는 것은 지상 존재로서의 미천한 신분을 일탈하여 천상의 신성을 획득한 것을 의미한다.
다. 신분 변화와 행복 추구
<나무꾼과 선녀> 설화는 남녀 주인고 나무꾼과 선녀가 천지의 공간을 이동함에 따라 그들의 신분에 변화가 일어나고, 그 신분상의 변화에 따르는 결핍이 이 설화의 사건 구성과 유형변이 동인을 이룬다.
라. 천지 분화의 가시적 표현
이 설화의 순환 구조는 하늘과 땅의 대립적 공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두 주인공 나무꾼과 선녀는 각각 지상과 천상에 근원을 둔 존재로 천지를 순환하다가 종국에는 각각의 근원으로 돌아간다. 따라서 이 설화는 천지의 순환과 근원에로의 환원이 커다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나무꾼 지상회귀형은 동일 근원의 하나의 세계였던 천지가 미분화에서 점차적으로 미분성을 상실하여 완전한 분화를 실현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따라서 나무꾼 지상회귀형의 순환구조가 갖는 의미는 이러한 인간의 의식이 분화에서 분화로 발전해 가는 모습의 가시적 표현이라 하겠다.
Ⅶ. 결론
<나무꾼과 선녀> 설화에 관하여 논의된 것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제Ⅱ장에서<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유형을 분류하고 자료를 검토하여 보았다.
제Ⅲ장에서는 이 설화의 여섯 유형을 중심으로 그 전승양상과 변이의 폭을 살펴보았다.
제Ⅳ장에서는 이 설화의 구조를 분석하여 대립적 반복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제Ⅴ장에서는 구조분석을 바탕으로 설화의 내면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제Ⅵ장에서는<나무꾼과 선녀> 설화의 공간구조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4.01.10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17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