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초등체육의 문제점
1. 교사의 문제
1) 체육에 대한 낮은 의식 수준
2) 교사의 자신감 결여(실기)
3) 체육교과의 연구 부족
4) 무사안일주의식 수업 관리
2. 수업의 파행 운영
1) 기능 전수 위주의 수업
2) 아동의 실수업 참여 시간 부족
3) 어려운 과제에 대한 단계적 접근 부족
4) 신체 활동의 개인차를 인정하지 않는 수업
5) 땜질 수업으로서의 체육수업
6) 교과 내용의 누락
3. 체육 시설 기구의 문제
1) 야외 실기와 기상 영향
2) 운동장의 지질(地質) 조건
3) 다용도 체육관이나 수영장 등의 시설이 부족
4) 체육 기구의 수량 부족
5) 체육 기구의 관리
6) 운동장 주변 체육 시설의 보완
4. 체육교과서 개발의 문제
5. 평가의 문제점
1) 평가를 위한 평가
2) 총합평가 중심의 평가
3) 운동기능 중심의 평가
4) 한정된 학습내용의 평가
5) 단순기능과 결과중심의 평가

Ⅲ. 해결 방안의 모색
1. 교사의 의식과 행동 개조
2. 체육 시설 기구의 확충
3. 체육과에서의 창의력 교육
4. 체육교과서의 개선 방안
5. 평가의 현실적 대안

Ⅳ. 결 론

본문내용

. 특히 대입수학능력시험제도가 생기고부터 이런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평가가 학생들의 단순한 기억력을 시험하는 것이 아니라면 논리적인 사고를 측정하는 방향은 긍정적이다. 체육 이론 시험도 이런 추세와 동떨어질 수 없다. 이론 시험의 유형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여기에 있다.
실기 평가는 단순 기능·결과 중심의 평가였다. 점수화 등급화하기 쉽고 객관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이 가지고 있는 한계는 또한 많다. 위에서 지적한 대로 교육은 과정과 결과의 단절이 아니라 통일적인 과정인데도 결과만을 평가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그래서 과정이야 어찌 되었든 결과만 좋으면 된다.
또한 운동은 단순 기능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다. 복합 기능으로 나아가고, 기본 기능과 복합 기능이 어우러진 종합 기능으로 발전해야 온전한 기능이 된다. 그러므로 점수화가 쉽다는 이유로 단순한 기능에 머물러서는 안된다. 복합 기능을 평가하고 종합 기능까지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모선생님은 이런 문제를 고민하다가 모둠평가를 도입했다고 한다. 종합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경기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하고 모둠을 만들어 경기를 시킨다. 그 결과와 과정을 성적에 반영하는 것이다. 물론 선생님이 단순 기능평가의 필요성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실기평가의 한 유형으로서 선택할 수 있는 모둠평가의 가능성이다.
셋째로, 평가를 위한 평가는 지양해야 한다. 수업하지 않은 내용을 평가하는 경우, 체력검사 종목을 평가종목으로 대치하는 경우, 학년간 평가의 계열성이 없는 경우 등은 지양되어야 한다. 어떤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여러 가지 특기를 고루 반영하기 위해서는 실기 평가 종목을 많게 해야 한다는 이유로 배우지도 않은 체력검사 종목을 시험 종목에 끼워 넣는다고 한다. 같은 이유로 배우지 않은 종목을 넣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고민은 충분히 이해가 간다. 하지만 이런 잘못된 관행의 연속은 체육 평가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또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잘못된 관행의 지속보다는 실기 평가의 유형과 방법의 개발을 통해 극복해야 한다.
Ⅳ. 결 론
체육교육은 내·외적으로 많은 외풍에 흔들리고 있다. 이는 체육교육이 안고 있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에 기반 한다. 이런 문제들의 해결은 체육교사들의 지혜와 힘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는 인식과 실천이 더욱 요구된다.
교사가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의 출발은 체육교과의 본질을 인식하지 못하고 체육 학습목표달성에서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치는 교사의 실기기능의 전문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런 전문적인 실기기능의 부족은 체육교과 및 체육활동의 전반적인 것에 대한 회피나 무관심을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는 평가에서 그 한계가 노출된다. 체육교사는 전체 교육을 규정하는 제 요인들 특히 환경적인 요인 등이 평가를 제한하는 상황을 올바로 이해해야 한다. 또 하나는 교사들의 자기반성과 관련된 문제이다. 평가의 목적은 학생들을 점수화하고 차별화하는 데에 놓여있지만은 않다. 평가는 교사에게도 자신의 지도방법 등을 돌아보는 중요한 지표이다. 그런데도 우리의 현실은 학생들을 재단하는데 그치고 교사의 문제를 바라보는 지표로 전혀 작용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체육평가와 체육교육의 발전을 기대한다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이다.
또한 학생의 발달상황에 맞는 보다 구체적인 난이도 수준 및 학습지도 방안에 대한 수정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학습의 제한 요소인 시설 및 용구의 확보를 위한 교사의 노력과 관심, 그리고 정책적인 배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장의 교사들에게 체육수업을 위한 지침서인 동시에 학생들에겐 체육관련 지식의 보고인 체육교과는 체육에 대한 관심과 흥미, 기대를 유발시키는 결정적인 매개체이다. 그러므로 새로 개발될 교과서는 21세기 세계화를 향한 학교체육의 질적 제고란 차원에서 교육과정 이념에 부합하고 현장에 실천 가능하며, 학생들의 적성과 흥미, 능력, 기능발달 단계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개정, 출판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매번 교과서 개정시마다 개정에 필요한 세미나와 각종 연수, 학계에 대한 공청회 등을 통해 나름대로 질 좋은 교과서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개발의 필요성과 문제점 제기는 항상 연구나 발표를 위한 헛구호에 그치고, 실제의 개발 과정은 과거의 답습이 되어왔지 않았나? 하는 생각에, 이러한 관행과 행태가 새로운 시대에는 자리잡지 못하도록 철저한 점검 및 감시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교과서를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현장의 체육 교사들도 과거 교과서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교과서에 대한 기대와 믿음을 갖고 수업에 보다 적극적인 활용과 함께 자신의 수업개발을 위한 도구로 삼아야 할 것이다. 좋은 교과서는 외부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전문성에 의해 현장에서 재구성되어질 때 가장 바람직한 모습으로 창조되어지기 때문이다.
서론에서도 언급했듯이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 체육 교육의 정책이 뒷받침 된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지만 그렇지 못하더라도 교사는 지금 보다는 훨씬 더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진정한 체육교육의 진술은 교사의 아동에 대한 열의와 노력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
참고문헌
1. 안양옥(1996) 초등체육 교육과정의 평가. Vol 3. 한국스포츠교육 학회지 pp.
37-47.
2. 이장우·김정식(1994) 체육교육의 지도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Vol 33. 한국체육 학회. pp.302-312.
3. 김용옥(1994) 현행국민학교 체육교육과정의 운영실태 분석 및 그 개선방안 연구.
Vol 한국체육학회지. pp.49-64.
4. 박영민·김정식·김일화(1996) 교육현장의 여교사 증가가 체육교육에 미치는 영 향. 34회 학술 발표회 논문집. 한국체육학회. pp.278-289.
5. 전국 체육교사 모임 홈페이지(http://my-cgi.netian.com/∼oak 82/)
6. 에듀넷(http://edunet.nmc.nm.kr/)
7. 한국체육대학교 학술자료 정보검색(http://library.knupe.ac.kr/)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01.21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1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