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종결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종결어미의 형태론적 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II. 종결어미의 형태 구조

III. 종결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1. 국어 종결어미의 형태론적 유형
1) 갖춘 형태
2) 못갖춘 형태
(1) 기능 변동 형태
(2) 기능 전용 형태
2. 문장종결소

IV. 맺 음 말

본문내용

적 문장종결소로서 그 기능이 분명한데, 이것은 문장을 종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한편으로는 마침법의 하위 범주를 결정짓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음운론적 문장종결소는 문장 종결의 기능과 마침법의 하위 범주 결정 기능으로 나뉘어진다.
지금까지 살펴본 문장종결소의 유형을 정리하면 (22)와 같이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22) 문장종결소의 유형
ㄱ. 기준
①문장종결소의 층위
②마침법의 하위 범주 결정
ㄴ.유형
①형태론적 문장종결소
서술법: '-다'
의문법: '-냐'
청유법: '-자'
명령법: '-라'
②음운론적 문장종결소
문장 종결의 수행-억양
마침법의 하위 범주 결정의 수행-억양
(22ㄱ)의 기준 ①은 문장종결소의 층위를 구별할 때 적용되고 기준 ②는 형태론적 문장종결소와 음운론적 문장종결소에 의해 실현되는 마침법의 하위 범주 결정에 적용된다.
IV. 맺 음 말
우리는 국어 종결어미를 형태론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지금까지의 앞선 연구에서 특별히 주목하지 않은 문장종결소를 필수 어미소로 설정하고, 종결어미의 형태를 이루는 어미구조체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그 형태와 문장종결소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 글에서 논의된 내용을 대강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결어미의 형태를 재분석하면 그 형태를 이루는 어미구조체의 구성 요소가 분석된다. 그 어미구조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어미소로 구성되는데, 보편적으로 (4)와 같이 선행어미, 청자높임소, 그리고 문장종결소 등의 어미소가 구성 요소로 관여하며, 종결어미의 어미구조체는 (5)와 같은 유형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둘째, (5)와 같이 분석된 어미구조체에 문장종결소가 결합된 양상에 따라 종결어미의 형태를 (8)과 같이 유형화할 수 있었으며, 문장종결소가 결합된 어미구조체의 재구조화에 의해 이루어진 형태를 갖춘 형태라 하고 문장종결소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어미구조체의 재구조화에 의해 이루어진 형태를 못갖춘 형태라 하여 구별하였다. 못갖춘 형태의 종결어미는 다시 둘로 나뉘어진다. 하나는 어미구조체의 한 요소가 문장종결소로 기능이 변동됨으로써 문장 종결의 기능이 획득되는 기능 변동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비종결어미로도 기능하는 형태가 종결어미로 문법 기능이 전용되어 사용되는 기능 전용 형태이다.
셋째, 기능 변동 형태의 종결어미는(10) 본디 문장종결소가 결합되어 있었으나 이른바 간소화로 말미암아 삭제되고 말았는데, 그 형태를 이루는 어미구조체의 마지막에 결합된 구성 요소인 청자높임소 '-이-'가 '-이'로 기능 변동됨으로써 문장종결소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 말미암아 기능 변동 형태는 청자높임법의 등급이 한 단계 낮아지게 되는데, 그것은 문법 형태소가 감당하는 문법 기능 부담량의 한계성 때문이다. 그리고 기능 전용 형태의 종결어미는(14) 본디 비종결어미였으나 문법 기능이 전용되어 종결어미로 기능하는 형태를 말하는데, 종속 연결어미, 보조적 연결어미, 명사화 내포어미 등의 비종결어미가 종결어미화하는 과정에는 그 문장의 통사구조 일부분의 삭제와 끊어짐의 수행-억양이 얹힘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보조적 연결어미에서 종결어미화한 '-어', '-지', '-게', '-고' 등의 형태는 모두 둘 이상의 마침법에 통용될 뿐 아니라 동일한 등급의 청자높임법을 실현하며 그리고 높임보조사 '-요'의 결합에 공통적으로 제약이 없으므로 이것들은 모두 기능 전용 형태의 종결어미임이 확인되었다.
넷째, 종결어미의 기능 수행에 필수적으로 관여하는 문장종결소는 형태적으로 분석 가능한 것과 음운적으로 분석 가능한 것으로 구별되는데, 전자는 형태론적 문장종결소라 하고 후자는 음운론적 문장종결소라 하여 구별하였다. 형태론적 문장종결소는 갖춘 형태의 종결어미와 기능 변동 형태의 종결어미에서 분석될 수 있으며, 음운론적 문장종결소는 기능 전용 형태의 종결어미에 얹히는 끊어짐의 수행-억양을 말한다. 이것은 형태적으로는 분석되지 않으나 형태론적 문장종결소와 동일하게 문장 끝맺음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종결어미에 관여하여 문장 종결의 기능을 수행하는 문장종결소의 유형은 (22)와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
참고문헌 ----------------------------------------------
1. 고창운. 1996. 통용의향씨끝 '-어', '-은데', '-지', '을래'의 통사와 의미, <한말연구>2.
2. 권재일. 1983. 어미 체계와 통사 기술, <언어학>5, 한국언어학회.
3. 권재일. 1992. <한국어 통사론>. 서울: 민음사.
4. 권재일. 1996. 음운변화와 문법변화, <음성학과 언어학>. 서울대출판부.
5. 김기혁. 1995. <국어 문법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6. 김태엽. 1994ㄱ. 간소화와 문법 기능 변동,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7. 남기심. 1985. 접속어미와 부사형어미,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8. 박창해. 1990. <한국어 구조론 연구>. 탑출판사.
9. 서정목. 1983. 명령법어미와 공손법의 등급, <관악어문연구> 8.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0. 서정목. 1988. 한국어 청자대우등급의 형태론적 해석(1), <국어학> 27. 국어학회.
11. 서태룡. 1981. 문법형태소 중심의 통사론 연구에 대하여, <한국학보> 25.
12. 안명철. 1996. 어미와 어미소, <이기문교수정년퇴임기념론총>. 신구문화사.
13. 왕문용. 1996. 국어 통사적 연구에서의 형태 분석, <국어학> 27. 국어학회.
14. 유현경. 1986. 국어 접속문의 통사적 특질에 대하여, <한글> 191. 한글학회.
15. 이기갑. 1983. 전남 북부방언의 상대높임법, <언어학> 5. 한국어언어학회.
16. 이기문. 1972. <국어사개설>. 탑출판사.
17. 이상태. 1995. <국어 이음월의 통사.의미론적 연구>. 형설출판사.
18. 이영경. 1992. 17세기 국어의 종결어미 연구, <국어연구> 108.
19. 최재희. 1997. 국어 종속 접속의 통사적 지위, <한글> 238. 한글학회.
20. 최현배. 1971. <우리말본>. 정음사.
21. 한길. 1991. <국어종결어미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2.06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7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