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어와 여성어의 음운, 어휘의 차이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성어와 여성어의 음운, 어휘의 차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2-1. 남성어와 여성어란 무엇인가?
2-2. 성차별어
2-3. 성차이어 (설문조사 1~4)
2-4. 한국어 여성어의 음운적 특징 (설문 5 ~ 9)

- 참고조사 * 종결 어미의 서법과 억양 *

3.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2
32
91
23
45
67
합쇼체
평서문
-습니다↗
5
2
5
-습니다↘
15
3
1
21
1
27
의문문
-습니까↗
1
1
2
4
9
명령문
-십시오
청유문
-십시다
소계
16
9
3
23
10
36
기타체
접속문
상승어미↗
4
6
7
하강어미↘
4
4
5
4
6
16
종결문
상승어미↗
6
6
2
하강어미↘
7
3
3
8
15
총 계
49
58
114
58
70
134
(2005 5.30)
(2005 5. 31)
조정린
타블로
조정린
타블로
해요체
접속문
-요↗
7
2
8
1
-요↘
평서문
-요↗
1
7
3
-요↘
24
35
28
41
의문문
-요↗
13
18
21
14
명령문
-요
4
2
1
3
청유문
-요
1
9
15
소계
50
73
51
74
합쇼체
평서문
-습니다↗
3
7
5
6
-습니다↘
5
15
5
18
의문문
-습니까↗
1
명령문
-십시오
청유문
-십시다
5
3
5
4
소계
13
26
15
28
기타체
접속문
상승어미↗
7
2
7
하강어미↘
1
4
3
16
종결문
상승어미↗
6
2
하강어미↘
9
1
8
총 계
80
112
86
118
이 분석에 따르면 해요체 사용에서 사회자인 조영남:이경실은 22개:32개(5월 5일), 23개:45개(5월 12일)로 여성이 높다. 조영남은 합쇼체:해요체=16개:22개(5월 5일), 23개:23개(5월 12일)로 해요체가 약간 많거나 같아 엇비슷한데 이경실은 합쇼체:해요체=9개:32개(5월 5일), 10개:45개(5월 12일)로 해요체가 압도적으로 많다. 출연자인 김보성은 합쇼체:해요체=36개:67개로 약 1:2의 비율인데 리아는 합쇼체:해요체=3개:91개로 거의 해요체만 써서 합쇼체는 남성 어법으로 잘 쓰이고 해요체는 여성 어법으로 잘 쓰임을 보여 준다. 또한 위 표는 접속문이나 평서문에서 여성의 상승조가 두드러짐도 보여 준다. 특히 해요체는 접속문에서도 잘 삽입되어 접속문인지 종결평서문인지 구별이 쉽지 않으나 합쇼체는 접속문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종결문에서만 나타나는 것도 특징이다.
우리의 분석에 따르면 해요체의 사용에서 타블로 : 조정린은 50:73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날은 51:74로 나타났다. 이는 앞선 연구와 다르게 본 설문의 경우는 남성이 여성보다 해요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마다 성격과 환경 차이 그리고 프로그램의 특성에서 오는 사회언어학적 요인으로 보인다. 다른 것들은 예상대로 같은 현상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여성이 접속문이나 평서문에서 “주로” 상승조를 쓰지만 사태를 기술하는 경우라든가 기타의 경우 자의적으로 남성처럼 하강조를 쓰기도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3-1 변인
- 남성어와 여성어의 음운적 어휘적 사용 변인은 남녀간의 차이가 보인다.
- 같은 주제를 연구한 1980,1990년대의 논문과 비교할 때 본 연구와의 차이(음운적인 면) 가 보인다.
남성어와 여성어의 경우 처음 가설을 설정할 때 남성과 여성간의 어휘적 음운적 차이를 보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먼저 어휘적인 차이에서는 남성과 여성에게 절대적으로 사용되는 어휘와 상대적으로 사용되는 어휘로 나누어서 조사한 결과 예상대로 나타났다. 1990년대 자료를 참고한 결과 90년대 까지는 화장품과 간호사는 여성 절대어에 속했으나 본 설문에서는 화장품과 간호사가 여성상대어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으로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나고 남녀 직업의 구분이 어느 정도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남성 절대어와 상대어의 경우 ‘군인’같은 단어는 90년대 에는 남성절대어로 인식되었으나 현재는 남자상대어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여성어와 마찬가지 현상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남성어와 여성어의 음운적 차이에서는 남성과 비교하여 여성의 음운적 특징을 조사해보았다. 주로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경음, 축약, ㄹ첨가, 중첩, 중성모음의 양성모음화가 더 많이 나타날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이는 여성이 사회적인 위치에서 남성보다 더 귀엽기를 바라는데서 오는 경음과 아름다운 어휘를 사용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 오는 ㄹ첨가 사용 그리고 중첩에서는 경쾌한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축약의 경우는 남녀 모두에게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그 이유로는 정보통신 발달로 통신상에서 언어의 경제적 원칙에 따라서 빠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언어를 선호하기 때문에 남성 여성 모두 축약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중성모음의 양성모음화에서는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중성모음을 양성모음으로 더 많이 할 것이라고 가설하였는데 남성과 여성모두 그 음가 그대로 중성모음으로 사용하였으나 유독 그게 → 고게 의 경우 남성은 중성모음을 그래도 사용하였지만 여성은 양성모음화 하여 사용한다고 답했다. 이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더 귀엽게 보이려는 성향에서 나타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보면 앞으로 어휘의 경우 상대어의 개념이 더 넓어질 것이고 음운의 경우는 축약 현상을 제외하고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강정희(1987), “여성어의 한 유형에 관한 조사 연구 ‘-는/ㄴ거 있지(죠)’를 중심으로”, <국어학 신연구> 1, 서울: 탑출판사.
구현정(1995ㄱ), “남 · 여성형 어휘의 사회언어학적 의미”, <어문학연구> 3, 상명여대.
김진홍(1984), “언어의 변이형으로서의 남성어와 여성어에 관한 연구”, 동아대 석사논문.
박창원(1999), “여성어 연구사”, 박창원 외(1999), <언어와 여성의 사회적 위치>, 서울: 태학사.
김선희(1991), “여성어에 대한 고찰”, <목원대 논문집> 19.
오주영(1983), “남성어와 여성어의 차이”, <부산 산업대 논문집> 4.
유성곤(1989), “여성어에 관한 연구”, <계명대 동서문화> 21.
이석규김선희(1992), “남성어여성어에 관한 연구”, <목원대 어문학연구> 2.
임홍빈(1993), “국어의 여성어”, 장태진 편저(1995), 국어사회언어학논총, 국학자료원.
김선희(1991), “여성어에 대한 고찰”, <목원대 논문집> 19.

키워드

남성어,   여성어,   남성,   여성,   음운,   어휘,   성별어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06.19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2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