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답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복궁 답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경복궁 조사
1. 창건배경
2. 변천사
3. 건물별 둘러보기
1 광화문
2 근정전
3 사정전
4 수정전
5 경회루
6 강녕전
7 교태전
8 흠경각
9 함원전
10 자경전
11 함화당과 집경당
12 향원정
13 시해터
14 재수합
15 비현각
16 자선당
17 건춘문
18 영추문
19 신무문
20 집옥재

본문내용

무엇보다 집옥재의 또 하나 특이한 점은 밖에서 보면 단층 건물로 보이나 내부는 다락같은 것을 두어 통로로 연결한 이층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집옥재는 정면 5간 측면 3간 겹처마에 맞배지붕으로 되어있으며, 협길당은 팔작지붕 양식에 전면 5간 규모이나 'ㄱ' 자로 꺾여 있다.
현재 이곳은 경복궁 경비를 담당하는 경찰 경비대에 의해 일반인 접근이 통제되고 있다.
문 하나로 청와대와 곧장 통하는 경북궁의 북문인 신무문이 집옥재 바로 뒤에 있기 때문이다.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터전만 남긴 채 소실되자 1606년 11월에 경복궁 복구가 논의되었으나 실천되지 못하였고, 1616년 말과 1617년에도 중건이 논의되기는 하였으나 역시 중지되었다.
현종(顯宗)도 재건을 염원하긴 하였으나 공역에까지 이르지는 못하였으며, 단지 1669년(현종 10)에 신덕왕후(神德王后) 부묘 때 그 제주소(題主所)를 강녕전 터에 장전(帳殿)을 설치하여 봉안한 바 있을 뿐이다.
숙종도 황폐한 경복궁에 가서 살피면서 감회에 젖었으며, 영조도 또한 그 복구를 생각하고 1772년(영조 48)에는 문소전 터에 비를 세우고 비각을 건립하였으나, 끝내 경복궁의 중건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경복궁의 중건은 1865년(고종 2) 4월 2일 대왕대비인 신정왕후가 대원군의 건의를 받아들임으로써 이루어졌다.
영건도감을 설치하고 도제조에 조두순(趙斗淳)·김병학(金炳學)을 임명하고 제조로 흥인군(興寅君) 이최응(李最應)·김병기(金炳冀)·김병국(金炳國)·이돈영(李敦榮)·박규수(朴珪壽)·이재원(李載元)·임태영(任泰瑛)·이경하(李景夏)·허계(許棨)·이현직(李顯稷)·이주철(李周喆)이 차하(差下)되었다.
1867년 5월 2일에는 수정전(修政殿) 상량문의 제술관(製述官)을 선정하였다.
8월 18일에는 전각과 문의 이름들을 지었고, 11월 8일에는 완성된 건물의 당호(堂號)를 지었다.
11월 14일에 백관들이 경복궁 출입시 승지(承旨)는 영추문을, 문관은 정문인 광화문의 홍예문 중 동쪽문을 이용하게 하고 무관은 서쪽으로 드나들도록 제도화하였다.
1868년(고종 5) 6월 10일 경복궁 재건공사가 사실상 끝난 단계에 이르렀으므로 임금의 이어(移御)에 대비하여 병조에서 입직(入直)을 준비하였고, 7월 2일에 드디어 임금은 대왕대비를 모시고 새 궁궐에 이사하니 비로소 경복궁은 정궐(正闕)로서의 위엄을 다시 갖추게 되었다.
1869년 9월 16일에 경복궁 재건을 위하여 설치되었던 영건도감이 철폐되었는데, 준공된 전각은 합계 5,792칸 반이었다.
경복궁이 중건된 이후 1872년 4월 7일 신무문(神武門)을 개건하고 1873년 봄부터 건청궁(乾淸宮)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896년(건양 1) 2월 16일 경복궁의 수리공사에 착공하고 97년 5월 20일에는 경복궁의 만화당(萬和堂)을 경운궁(慶運宮)에 이건하였다. 1899년 9월 21일에 영보당(永保堂)에 불이 나 28칸이 소진되었다.
그 후 고종이 주로 경운궁에 시어하게 되면서 경복궁은 소강상태로 들어가는데, 이것으로 경복궁의 공역은 일단 마무리되고 또 나라가 멸망함으로써 궁궐로서의 수명을 다하고 말았다.
1917년에 창덕궁 대조전(大造殿)을 비롯한 대내 일곽이 불에 탔다.
이것의 복구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일본인들은 경복궁의 교태전(交泰殿) 일곽을 헐어다 재건에 썼다.
이때에 철거된 전각은 교태전·강녕전·연길당·경성전·연성전·인지당·흠경각·함원전·만경전·홍복전 등 400여 칸에 달하였다. 1996년에는 조선총독부 건물을 철거하였으며, 2009년까지 총 1,789억 원이 투입되어 경복궁 복원사업이 이루어진다. 1995년에는 강녕전이, 1999년에는 자선당 등이 복원되었으며, 2001년 10월에는 흥례문(홍례문)이 복원되어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경복궁을 보기 위해 전철 경복궁 역에 하차하여 국립중앙 박물관을 지나 매표소로 향했다.
함께 온 이가 없는데다 역사적 배경과 궁에 대한 지식이 희박하였기 때문에 안내를 듣기 위해 매표소 옆의 안내 음성을 대여 받아 근정전을 우선 둘러보기로 했다.
평소 지하철 노선표를 보며 꼭 한번 가보고 싶었던 곳이어서 무척이나 마음이 설레었다.
지도에 표시된 장소와 번호를 따라 그 앞에서 안내를 들을 수 있어서 궁을 모두 둘러보는데 아주 편리하고 시간도 절약되었다.
근정전에서는 봉황무늬가 있는 계단과 십이지신상, 천장에 있던 용의 화려함을 잊을 수 없었다.
임금이 정사를 보던 곳 여러 학자들과 학문을 논의하던 곳들을 지나 왕의 침실까지 다다랐을 때는 뜨거운 햇볕을 쬐고 있는 동안에도 왕의 침실 내부로부터 서늘한 바람이 불어나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낡고 퇴색한 기둥, 마루며, 창호지, 문지방 등을 보며 퇴색하지 않은 모습을 생생히 그려 볼 수 있었고, 백여년전, 그 문을 여닫았던 사람들의 채취가 느껴지는 듯 했다.
함원전과 교태전 뒤의 벽화가 새겨진 굴뚝과 담벼락들, 중국의 아미산을 그대로 묘사했다는 후원을 둘러보며 그 아름다움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림으로만 보아왔던 경회루는 과연 시대를 초월하는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다. 회색빛의 웅장하면서도 더할나위없이 장엄한 분위기에 매료되어 경회루 주변 버드나무 그늘의 간이 의자에 앉아 그 모습을 한참동안이나 보고 있었다.
끝에 다다라서 볼 수 있었던 별당으로도 쓰였다던 명성황후 시해장소. 그곳에 다다라 그 때의 그 사건을 기리기 위한 그림을 보며, 일본의 만행에 분노가 치밀어 오름을 느꼈다.
고궁을 살펴보며 당시 일반인인 우리로서는 결코 구경 할 수 없었던 궁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그 기쁨을 만끽할 수 있었다.
안내방송을 들으며 궁이 어떤 역할을 해 왔는지, 어떤 장소였으며, 당시 임금은 어떤 사상을 가졌는지 까지도 그 단편이나마 알 수 있었고, 우리 역사의 발자취를 한껏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우리 역사, 민족정신을 말살하려던 일본의 만행들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어 그 의미가 한층 더 크게 다가왔다.
궁궐을 돌아보며 다음에는 좀더 깊이 알아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발걸음을 돌렸다.

키워드

경복궁,   답사,   감상,   기행,   ,   궁궐,   궁중문학,   풍속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4.04.24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7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