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의 정의와 방송 프로그램 모니터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모니터(monitor)의 정의

2. 모니터요원의 기본적 자질

3. 방송 프로그램 모니터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존재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드라마, 뉴스, 광고에서 흔히 나타나고 있다.
최근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많이 향상되었고, 전문직에 종사하는 여성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드라마 자체가 사회성을 띠고 있지 않은 데서 오는 현실과의 괴리는 여전하다. 이번 모니터링에서도 알 수 있었듯이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여성들의 증가라는 사회변화를 드라마는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드라마 속 여성의 직업은 주부이거나, 직업여성일 경우 디자인 분야, 미용사 및 단순노무직 등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또한 남성의 경우 가업승계를 이어받아 성공이 탄탄대로로 이어지는 사람과, 부의 차이를 극복하고 결혼에 성공하는 흔치 않은 경우가 드라마에서는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등장인물의 직업 및 활동에 관한 관심사를 묘사함에 있어서도 남성인물들은 직업적 성공, 일에 대한 성취감에 인생의 목표를 두는 반면 여성은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시점에서 사랑과 결혼에 매몰되면서 인생최고의 가치를 가정과 사랑에 두는 모습들이 많이 보였다. 이러한 묘사는 사랑과 결혼 앞에서 여성의 일은 단기적 전망만을 보여줄 수밖에 없다는 편견을 심어줄 수 있으며, 여성의 직업에 대한 성취감과 열정이 부족하게 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계속되면 결국 자연스럽게 여성이 남성보다 열등하다는 생각을 갖게 되고 나아가 현재는 물론 미래의 남녀관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직업 활동을 포함한 성차별은 사회 전반적으로 넓게 퍼져 있으나, 사회적인 성에 대한 고정관념은 인식의 차이로 인해 쉽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드라마 역시 마찬가지이다. 물론 과거에 비해 진취적인 여성상과 부드러워진 남성상 등 전통적인 가부장적 묘사에서 많이 발전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여성상이 긍정적으로 묘사되면서 21세기의 바람직한 여성상을 제시하는 데에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방송은 사회적 인식의 틀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 중의 하나이다. 성차별적 고정관념 개선 및 올바른 성정체성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하며 하루하루 더 발전하고 나아지는 방송 프로그램을 기대해 본다.
IV. 참고 문헌
방송 진흥원 ( http://www.kbi.re.kr/ )
방송 위원회 ( http://www.kbc.go.kr/ )
KBS 애정의 조건 홈페이지 ( http://www.kbs.co.kr/ )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5.25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27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