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일. 서론
-정다산 민권의식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

기이. 본론
일. 정약용의 생애
일>수학시절(출생~1789년, 28세)
이>사환시절(1789~1800, 39세)
삼>유배생활(1801~1818, 57세)
사>향거생활(1818~1836, 75세)
이. 정약용의 민권의식에 대해서
-국정참여 주체로서의 민과 저항권의 용인에 대해서-

삼. 다산 민권의식의 한계에 대해서
-민본의식 속에서의 민권의식-

기삼. 결론
-탕론을 중심으로 본 다산 민권의식의 평가

본문내용

있다.
토지의 사적 소유가 빚어내는 소유의 불균등, 수취제도의 불합리성, 군역제도의 폐단 등을 바로잡기 위해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내어놓은 토지개혁안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여전제와 정전제가 그것인데, 이 두 제도는 많은 차이가 있지만 均等의 원칙, 耕者有田의 원칙, 국유의 원칙은 공유하고 있다. 이는 사회경제적 평등을 지향하는 그의 민본의식 · 위민의식이 매우 강했던 것으로 볼 수 있으며, '湯論' 에 보이는 그의 사유도 여기서부터 출발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이 茶山 民權意識의 한계라고 지적할 수 있겠다.
其參. 結論
-湯論을 中心으로 본 茶山 民權意識의 評價
"'湯論'은 탕이 걸을 벌한 것은 옳은 것인가?", "신하가 임금을 벌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 라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茶山은 여기에 대해서 두 가지의 근거를 들어서, 이 명제가 옳다고 주장하였다. 하나는 역사적인 근거로서, 그것은 헌원씨(=황제)가 행한 옛 법도이기 때문에 옳다고 주장하였다. 둘째는 논리적인 근거로서, 民이 천자를 선발한 것이기 때문에, 윗사람이란 아랫사람들이 추대하여 올린 것이기 때문에, 끌어내리는 것도 민이라는 논리를 전개하여 옳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湯論' 에서 통치자를 선출하는 것은 무용수들이 무용수들을 지휘하는 우두머리를 선발하는 것과 같다고 주장하고 있다. 무용수들의 우두머리는 무용수들을 잘 지휘하기 위해서이며, 舞師가 잘 지휘하지 못할 경우에는 가차 없이 선임자를 피하고, 다른 능력 있는 자를 舞師로 뽑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통치자의 선출은 일종의 계약관계로 생각할 수 있다. 즉 통치자는 민의 합의에 따라서 추대되는 것이며, 통치자는 이러한 민에 의하여 추대되는 것인 만큼, 민에게 선정을 베풀어야 할 이유가 있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계약을 어겼을 경우 통치자는 민에 의해서 즉각 교체되고, 능력 있는 새로운 통치자를 뽑아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湯論' 에서 사회계약을 연상할 수 있다. 국가는 자유로운 개인에 의해서 형성되며, 개인은 개인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개인이 지닌 천부의 인권을 이용해 통치자를 선발한다. 그러나 그 통치자가 개인의 권익을 보호하지 못할 때에는 그 책임을 물어 통치자를 쫓아내고 새로 뽑아야 한다는 사회계약의 논리는 근대민주주의의 초석이 되었다.
丁茶山의 '湯論' 은 참정권과 저항권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런 사회계약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는 丁茶山이 '民權意識' 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것을 근대의 民權意識과 바로 연관시키는 것은 어렵다. 전제군주제 사회에서 茶山은 民權意識을 제도화 시키지도 못했고, 또 茶山의 民權意識은 근대의 民權意識과 출발도, 초점도 달랐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茶山이 '湯論' 에서 보여주는 民權意識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茶山은 조선왕조라는 봉건적인 현실의 틀과 民本主義라는 유교적 이념의 틀 안에서 사회개혁을 지향해 갔지만, 그의 사유는 종종 그 틀의 바깥을 넘보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사유의 배경은 조선 후기 국가재조에 대한 견해의 집대성, 즉 실학이라는 사유의 집대성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茶山의 수많은 저작 중 '湯論' 에서 보이는 사유는 분명히 근대지향적인 '民權意識' 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이것은 다분히 근대지향적인 요소를 가진 것이었으며, 혁명과도 같은 것이었다. 아울러 그것은 전통적인 유교의 민본의식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우리는 茶山을 '유교적인 틀 안에서 근대를 사유한 사상가', '전통의 틀 안에서 근대를 사유한 사상가' 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終>
*참고문헌*
조선후기 행정개혁가에 대한 문화론적 이해 : 丁若鏞의 삶을 중심으로. 정재동(고려대 정부학 연구소)
朝鮮後期 實學의 社會倫理的 性格 -茶山 丁若鏞의 社會改革論을 中心으로- 張乘嬉(東國大學校 講師)
丁若鏞의 民權意識과 國民主權論으로의 이행 가능성에 관한 연구 백철현(인천대 행정학과 교수)
丁若鏞의 자작적(自作的) 인간관과 왕정개혁론 : 조선후기 정치권력의 공공성문제와 관련하여 정윤재(한국정신문화연구원)
丁若鏞의 社會改革 方法論 -法治的 관점에서- 趙允施
조선 후기 개혁사상의 고찰 -정조와 丁若鏞을 중심으로- 배병삼(성심외국어 전문대학)
丁若鏞의 身分制改革論 趙誠乙(연세대학교 박사과정, 국사학)
丁若鏞의 민본의식과 民權意識 金容憲(안동대학교 국학부 교수)
丁若鏞의 民權意識硏究 趙 珖
*참고저서*
연세실학총서(연세대학교 출판부)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6.06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2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