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인류학의 역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인류학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회학적 사유 : Émile Durkheim

2. 영국의 사회인류학 : 기능주의functionalism
○ Bronislaw Malinowski(1884-1942) psychological functionalism
○ Alfred Reginald Radcliffe-Brown(1881-1995)
○ 말리노브스키와 래드클리프-브라운의 이론적 공통점
○ 말리노브스키와 래드클리프-브라운의 이론적 차이점
○ 기능주의에 대한 비판

3. 신진화주의와 문화 생태학
○ Leslie Whithe(1900-1975)
○ Julian Steward(1902-1972)

본문내용

식량으로 획득하고 저장하는 단계(구· 신세계의 고대 문명)
3) 동력 혁명으로 석탄, 석유, 천연 가스 같은 지하자원을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이용하 는 단계(근대 산업 국가)
4) 핵에너지가 전쟁의 도구로서가 아니라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편리하게 제공되는 단계
화이트가 '문화'란 말을 사용할 때, 그것은 특정 지역 및 민족의 문화가 아니라 인류 전체의 집합적 경험으로서의 보편 문화를 가리킨다. 인류 문화는 하나의 전체로 간주되며, 그것이 개별 환경 속에서 어떤 지역적 변이를 나타내는 가는 화이트의 관심사가 아니었다.
그의 문화론의 또 다른 특징은 기술, 사회, 관념으로 이루어진 문화는 독자적, 저율적인 현상 영역으로서 그 자체의 진화 법칙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런 문화 현상을 생물학, 심리학, 지리학(생태학)등 다른 차원의 요인으로 환원하여 설명함은 비과학적으로서 "문화는 문화에 의해"설명함을 대전제로 하고 있다.
Julian Steward(1902-1972)
20세기 중반 미국 인류학에서 문화의 보편적 규칙성과 인과론을 찾으려 한 인류학자는 레슬리 화이트만이 아니었다. 로위와 크뢰버의 제자였던 줄리언 스튜어드 또한 보아스 학파의 역사 특수주의적 연구방향에서 벗어나 문화적 보편성을 찾으려는 방향으로 갔다. 그러나 스튜어드는 레슬리 화이트의 연구방향을 따르지는 않았다. 그는 화이트의 진화론이 그릇되었다고 주장하지는 않았지만, 단지 지나치게 일반론적이어서 구체적인 특정 문화의 발전계기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했다.
스튜어드는 자신의 이론은 19세기 단선진화unilineal evolution와 비교하여 자신의 이론을 다선진화multilinear evolution라고 명명하였으며 화이트의 진화론적 도식은 보편적 진화 univesal evolution라고 불렀다.
스튜어드는 화이트처럼 인류의 단일문화가아니라 다양한 특정 민족과 지역에 발견되는 문화들에 관심을 가졌다. 과거에 문화 접촉이 있었다고는 생각할 수 없는 멀리 떨어진 여러 지역에서 평행적인 문화 발전의 계기가 발견될 때, 그런 유사성을 낳게 한 메커니즘은 과연 공통적인가 아니면 이질적인가를 검증함이 다선 진화론의 최우선적 과제라고 그는 말한다.
스튜어드는 구세계의 문명과 신세계의 문명 간에 발견된 근사현상들(convergence)은 환경과 문화의 상호작용 때문이라고 하였다. 스튜어드는 환경에 대한 인간의 다양한 반응에서 명백히 알 수 있듯이 환경이 결정적이라고는 하지 않았으나 인간의 사회들은 환경에 반응하여야 하므로 환경을 무시할 수는 없다고 하였다.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인간들은 초유기체적인 요소, 즉 문화를 도입한다. 문화를 환경에 대한 적응의 수단으로 간주한 스튜어드는 문화생태학cultural ecology를 제창한다.
문화생태학은 수많은 문화적 변수들을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스튜어드는 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문화핵심cultural core'이라는 개념을 제안한다. 문화핵심이란 환경에의 적응 및 그 이용과 가장 밀접히 관련된 제도와 기술을 의미한다. 비슷한 문화핵심들을 가지는 여러 문화들은 같은 문화유형cultural type에 속하게 된다. 즉, 비슷한 문화핵심을 가지는 문화들은 유사한 환경에 대해 유사한 반응을 보이게 된다는 것이고, 또 내부적으로도 동일한 구조적, 기능적 관계들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문화유형들은 그 복잡성의 정도에 따라 연속선상에 늘어놓게 되면 사회적·문화적 수준은 명백하게 드러난다. 스튜어드는 유사한 단위들이 비교될 수 있도록 사회 문화적 통합의 수준을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스튜어드는 가족수준family level, 복합가족수준multifamily level, 그리고 국가수준state level이라는 3범주를 연속선상에 배치했고, 후에 이를 정정하여 무리사회band, 부족tribe, 酋邦사회chiefdom, 국가state라는 연속선을 설정하였다. 사회문화적 복합성의 각 수준들은 통합의 수단이 각각 다르다. 여기서 통합수단들은 친족, 결사association, 경제적 보완관계, 경찰력 및 관료기구 등이다.
참고문헌 -----------------------------------------------------
1. 한상복 외 지음, 문화인류학 개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2. 한국문화인류학회 지음, 처음만나는 문화인류학, 일조각, 2003.
3. 로저키징 지음, 전경수 옮김, 현대문화인류학, 현음사, 1996.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7.18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1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