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철학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본론
제1장 중국 철학 사상 일반
제2장 유가 철학 사상
제3장 도가 철학 사상
제4장 불가 철학 사상
제5장 기 철학 사상

결론...

본문내용

인 실체에 종속시켰던 인물인 주희는 ‘리본체론’의 전제 아래에서 ‘기화론’의 관점을 최대한 발휘하였다. 그는 ‘리’와 ‘기’가 서로 분리될 수 없다고 생각하면서도 ‘리’가 근본이며 ‘기’는 ‘리’를 자신의 존재 근거로 삼는 말단의 것이라고 보았다. 주희의 리본기발(理本氣發) 사상은 이정의 리본기화론(理本氣化論)을 발전시킨 것이다.
원명(元明) 시대의 기론은 기본체론(氣本體論)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송대(宋代) 기본체론보다 훨씬 세련되고 발전된 형태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의 기론은 새삼 설명 할 필요 없이 청대(淸代)와 근대 중국 기론의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4. 근대 변혁기의 기론-청말에서 현대까지
청말(淸末)에서 민국초(民國初)에 이르는 일련의 기간은 중국 전통 기론 속에 서양문화, 특히 서양 근대 과학이 접목되는 시기이다.
청대에는 비록 실증적 경향의 기론이 우세하였지만 송명 리학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는데, 아편전쟁을 통한 좌절한 리학뿐만 아니라 중국 전통 문화 전체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길로 들어섰음을 보여 주었다. 서양의 막강한 군사력과 근대 공업 문명의 충격은 당시 지식인들을 일깨워 주었다. 그들은 나라와 민족을 구하기 위해 서양의 문화를 수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당시의 기론 또한 시대적 색채를 띠게 된다. 즉 서양 근대 과학의 유입에 따라 종래의 생성론적인 기론은 거의 자취를 감추고 대신 서양 근대 과학을 수용할 때의 아날로지(Analogy)로서 기(氣)가 주목받게 되는 것이다.
3. 중국 전통 기론의 특징
현대 중국철학사에서 ‘기’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주목받게 되는 것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이다. 왜냐하면,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대부분의 대륙 철학자들의 기본 관점이 바로 “철학사는 유물론과 유심론의 투쟁의 역사이다”라고 하는 점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이러한 관점을 성리학의 체계 위에도 그대로 적용시켜서, 유물론과 유심론의 구분 기준을 전적으로 ‘리’와 ‘기’ 개념에서 찾는다. 즉 ‘리’개념을 강조하는 사람은 유심론자이고‘기’ 개념을 강조하는 사람은 유물론자라는 것이다. 이것은 그들이 기 개념을 물질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인해 중국 현대 철학자들은, 특히 1949년에서 1966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기 개념 및 중국 철학사에 있어 최초로 기 개념을 체계적으로 논증한 장재(張載)에 대해 주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향은 당시(1949~1966년)간행된 대부분의 저술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데, 그 대표적인 경우가 장대년(張岱年)의 「중국 고전 철학중의 몇 가지 기본 개념의 기원과 변천」 및 후외로(侯外盧)의 『中國思想通史』이다.
〔결론〕
중국 철학은 인도 철학과 함께 동양 철학을 대표하는 사상이고, 또 주변의 한국이나, 일본 등에까지 광범위하게 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중국 사상사를 네시기로 나누고 있는데, 제1기는 주초(周初)에서 한초(漢初)까지(BC 21~BC 2세기)로 황하문명[黃河文明]의 정신문화가 순조로운 발달을 이루어 공자(孔子)를 비롯한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사상이 만개(滿開)했던 시대이다. 제2기는 한왕조(漢王朝)의 체제가 확립되어 당말(唐末) 5대까지(BC 2~AD 10세기)로 왕조체제와 결부된 유교의 권위가 확립되고 마침내 고정화되면서 불교와 도교(道敎)가 대두하게 된다. 제3기는 송초(宋初)에서 청말(淸末)까지(10~19세기)로 유교가 새로운 해석으로 다시 생명을 찾은 시대이다. 송학(宋學) 즉 주자학(朱子學)과 명학(明學) 즉 양명학(陽明學)을 정점(頂點)으로 하는 시대이다. 제4기는 청말 아편전쟁 이후로, 서양세계의 충격에 의해 전통사상이 근본적 변혁을 강요당하며 지금의 중국 철학으로 발전되어 내려오게 된 것이다.
그 가운데서도 중국(中國)의 두 줄기의 큰 사상으로 간주되는 사상이 있는데, 하나는 공자(孔子), 맹자(孟子)를 중심으로 하는 유교(儒敎)사상이고, 다른 하나는 노자, 장자를 비조(鼻祖)로 하는 도교(道敎)사상이다. 앞서 보았듯이 두 사상은 여러 가지 면에서 대조적이다. 유교(儒敎)는 격물치지(格物致知)를 해서 먼저 개인적인 인격을 수양한 후 ,이것을 확충해서 치국평천하(治國平千下)를 하여 현세적인 행복을 추구하자는 것인 데 반해, 도교는 인위적인 노력을 포기하고, 오직 천지 자연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면서 모든 일을 운명이 명하는 대로 따르는 것이 진정 행복한 생활이 된다고 하고 있다. 이 같은 두 사상이 주장의 결과도 또한 대조적으로 나타났다. 유교는 중국 사회의 상류계급에 침투하여 백성을 다스리는 지도자의 위치에 있게 만들었고, 도교는 일반 서민 사이에서 신봉되어 그들의 마음을 위로 해 주었다. 다시 말해서 유교는 귀족적이 되었고 도교는 훨씬 서민적이 되었다. 유교는 다분히 정치적인데 반해 도교는 상당히 종교적인 경향을 띄었다. 장자는 노자와 함께 이른바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노장(老莊)사상의 창시자의 한 사람이지만 같은 계열의 사상이면서도 두 사람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노자는 보다 정치적이고 장자는 보다 종교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리하여 장자의 사상은 그가 죽은 뒤 후대(後代)에 도입된 불교사상(佛敎思想)을 수용(收容)하는 데 큰 영향력을 미쳤고 또 불교를 중국식으로 소화하는 데 크게 이바지한 인물로 기록된다.
중국 철학이 동양철학을 대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이유는, 여러 사상의 구분과 역사의 흐름 속에서도 오랜 역사와 독자성을 띠면서 정치이념으로 삼고 후대로 전해지면서 잘 계승하고 발전시켰기에 가능한 것이라 볼 수 있겠다.
중국 철학에 대해서 한마디로 정리를 내리자면 서양 철학과 마찬가지로 愛智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인간과 하늘, 그리고 자연 속에서 다른 객체가 아닌 공동체의 일원으로 하나가 되는 것을 최고의 이상으로 두는 것 같다. 문제 해결의 방법에서도 중국 철학 특히 유가 철학은 문제 해결의 방법을 환상과 공상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현실과 유기적 관계 속에서 양자의 갈등 해소를 모색해 가는데 이러한 것이 바로 중국 철학의 일관된 성격이라 생각한다.

키워드

도가,   유교,   법가,   불교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4.08.11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9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